•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행정학]도시정부 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

*승*
최초 등록일
2006.09.26
최종 저작일
2006.01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도시 거버넌스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주류 도시 거버넌스 이론
2 도시 거버넌스 이론의 한계
3. 우리나라 도시정부 거버넌스의 제도적 특징
1 분석을 위한 기본틀
2 우리나라 도시정부의 거번너스 특성

본문내용

I. 문제의 제기

거버넌스 거버넌스(governance)는 매우 다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념으로서 사용하는 사람과 상황에 따라 그 개념 구조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Rhodes(1997)의 경우 거버넌스에 관한 6가지 상이한 개념 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를 비교적 대등한 지위를 갖는 다양한 참여자들이 기존의 계층제를 벗어내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정책결정에 참여하고 상호협력하는 시스템이라 정의한다.
에 대한 논의가 전통적 행정을 완전히 대체하고 행정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주장(이명석, 2002: 335)에도 불구하고 거버넌스 이론은 어느새 우리나라에서도 Kuhn의 과학적 혁명에서 주창하는 정상 과학(normal science)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국정운영의 방식은 더 이상 관료제적 계층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한 행위자들이 비교적 대등하게 참여하는 협력적 네트워크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라는 주장들에 근거하고 있다(Le Galès, 1995, 2002; Amin and Hausner, 1997; Jessop, 1997). 그 결과 국내에서도 거버넌스의 형성방안이나 계층제의 폐단에 대한 규범적 대안으로서의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김석준, 2000; 원구환, 2001; 조영석, 2003; 김순은, 2004). 또한 우리나라에서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혹은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려는 실증적 혹은 사례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송희준, 송미원, 2002; 성지은, 2004; 이곤수 외, 2005).
본 연구는 정부 정책에 대한 이러한 관심의 변화, 다시 말해서 “누가 통치하는가?(Who rules?)"에서 ”어떻게 통치가 이루어지는가?(How is governance achieved?)"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 변화가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도시 거버넌스의 전반적 특성을 파악하여 정상 과학으로서의 거버넌스 이론에 하나의 작은 도전을 시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왜냐하면 전통적인 계층제적 행정에 대한 처방적 대안으로서의 네트워크적 거버넌스의 지나친 강조는 오히려 사회 문제 해결의 효과적 기제에 대한 편향된 시각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거버넌스 시스템이 유럽의 독일이나 프랑스의 거버넌스 시스템보다 다양한 공, 사 행위자들의 수평적 참여를 보장한다고 해서 과연 전자의 거버넌스가 후자들의 거버넌스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인가?의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둘째, 정책 결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이루어진 상호협력관계가 일시적이 아니라 지속적 관계를 유지할 때에도 Mossberger와 Stoker(2001: 829)에 의하면 도시 거버넌스 레짐의 4가지 특징 중 하나는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인 협력 관계이다.
과연 행위자들간의 수평적 거버넌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인가의 물음도 제기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강황선․최병대. (2001). 서울 시정의 로컬 거버넌스 도입 방안.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석준. (2000). 한국 국가재창조와 뉴 가버넌스: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한국행정학보」, 34(2): 1-21.
안성호․이정주. (2004). 로컬 거버넌스와 지역경쟁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346-361.
이곤수․최원삼,․전영평. (2005).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실증적 분석: 포항시 사례. 「한국행정학보」,39(4): 39-62.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한국행정학보」, 36(4): 321-338.
유재원․소순창. (2005).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한국행정학보」, 39(1):41-63.
정무권. (2001). 정부와 NGO의 관계: 개념화의 문제와 이론적 쟁점. 「사회과학논평」, 21: 93-139.
정용덕. (2001). 「현대국가의 행정학」. 서울: 법문사.
조영석. (2003). 「갈등 조정기제로서 바람직한 지역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주민기피시설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 대학원.
최창현. (2003). 국가간 협치(governance)의 실증적 비교분석. 「행정논총」, 41(3): 51-77.
한승준. (2004). 분권화시대의 지역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프랑스의 계획계약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5): 281-302.
Boraize, F. and Négrier, E. (2001). Intorduction, in: F. Baraize and E. Négrier (Eds) L`Invention Politique de l`Agglomération, pp.3-29. Paris: L`Harmattan.
Borraz, O. and John, P. (2004). Introduction: Symposium on the Transformation of Urban Leaderhip in Western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8(1): 107-120
Cerny, P. (1997). Communication, in R.A.W. Rhodes,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Political Studies, 45.
Danson, M., Halkier H., and Cameron, G. (2000) Governance, Institutional Change and Regional Development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Development. Ashgate Publishing Company.
Dowding, K., Dunleavey, P., King, D. et al. (1999). Regime politics in London, Urban Affairs Review, 34(4): 515-545.
DiGaetano, A., and Kemanski, J. S., (1993). Urban regim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e politics of urban development in Britain. Urban Affairs Quarterly, 29:54-83.
DiGaetano, A., Strom, E. (2003). Comparative urban governance: An Integrated Approach. Urban Affairs Review. 38(3): 356-395.
Elkin, S. L. (1987). City and Regime in the American Republic,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lster, J. (1998). Deliverative Deom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ding, A. (1994). Urban regimes and growth machines: toward a cross-national research agenda, Urban Affairs Quarterly, 29(3): 356-382.
Harding, A. and Le Galès, P. (1998). Cities and states in Europe, Western European Politics, 21(3): 120-145.
Jessop, B. (2000). Governance failure, in g. Stoker (ed.)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 Basingstoke: Macmillan.
Keating, M. and Loughlin, J. (1997). (eds.). The Political Economy of Regionalism, London: Frank Cass.
Le Galès, P. (1995). Du gouvernement local à la gouvernance urbaine, Revue Française de Science Politique, Vol.45, No.1.
Lynn, Jr., L., C. Heinrich & C. Hill. (2001). Improving Governance: A New Logic for Empirical Research. Washington. D.C.: Gergetown University Press.
Mayntz, R. (1993). Governing failures and the problem of governability: Some comments on a theoretical paradigm, in J. Kooiman (ed.) Modern Governance, London: Sage.
Mossberger, K. and Stoker, G. (2001). The Evolution of urban regime theory: The challenge of conceptualization. Urban Affairs Review, 36(6): 810-835.
Nicholls, W. J. (2005). Power and Governance: Metropolitan Governance in France. Urban Studies. 42(4): 783-800.
Peter, J. (2000). Globalization, Institutions, Governance. in G. Peters and D. Savoie(eds.), Governa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Revitalizing the Public Service, Lond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Peter, J. (2001). Local Governance in Western Europe. London: SAGE.
Peters, B. and Pierre, J. (2000). Is there a Governance Theory? Paper Presented at IPSA World Congress, Quebec, August 1-6.
Pierre, J. (2000). Introduction: Understanding Governance, in J. Pierre. ed., Debating Governan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Rhodes, R.A.W. (1997). Understanding Governance: Policy Networks, Governance, Reflexity and Accountability. Bristrol, PA: Open University Press.
Richards, D. and Smith, M., (2002). Governance and Public Policy in the United Kingdo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toker, G. (ed.) (1991). The Politics of Local Government, London: Macmillan.
Stoker, G. (1998).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50(1).
Stoker, G., and Mossberger, K. (1994). Urban regime theory in comparative perspective.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12: 195-212.
Stone, C. N. (1989). Regime politics: Governing Atlanta, 1946-1988. Lawrence: University Press of Kansas.
Strom, E. (1996). In search of the growth coalition: American urban theories and the redevelopment of Berlin, Urban Affairs Review, 31(4): 455-481.
*승*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행정학]도시정부 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