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續美人曲`알아가기

*솔*
최초 등록일
2007.03.17
최종 저작일
2006.12
1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2006년 2학기 고전문학사 과제였습니다.

속미인곡을 골라서 속미인곡에 대한 분석과 사미인곡과의 비교를 하였습니다.

목차

목 차

Ⅰ. 들어가며
1. 續美人曲의 작품 선택 배경
2. 續美人曲이 수록된 송강가사

Ⅱ. 續美人曲 분석
1. 성주본 원문
2. 대화분석에 대한 異見
1) 김사엽의 대화 분석
2) 정재호의 대화 분석
3) 최태호의 대화 분석
4) 그 외의 논의
5) 나의 생각
3. 고유어의 미학

Ⅲ. 思美人曲과 비교
1. 창작배경
2. 내용 비교
3. 정철의 연군 의식
4. 정철의 여성적 목소리

Ⅳ.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제와 관련한 선생님의 부연설명이 끝났다. 다음 차례는 고전문학과 관련한 작품하나를 골라야 한다. ‘어떤 작품을 선택하면 쉽게 쓸 수 있을까?’ 과제가 몇 개가 더 남아있기 때문에 빨리 끝내야 한다는 생각에 요령 피울 생각이 먼저 들었다. 작품은 송강 정철의 續美人曲으로 정했다. 續美人曲을 선택한 이유는 국문학개론의 수업영향이 크다. 국문학과 학생으로서 續美人曲의 원본을 외웠던 것이 기억에 큰 자부심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續美人曲에 대해서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에 작품 선택은 쉽게 할 수 있었다.
전에 익히 접해본 친숙한 가사라는 이유에서 續美人曲을 선택한 이유가 우선 제일 크다. 그리고 국문학개론 시간에 작품론보다는 가사장르 부분으로 접하고 넘어갔던 기억이 남기 때문에 續美人曲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성을 느꼈다. 과제를 위해 자료를 찾으면서 문득 ‘내가 續美人曲에 대해서 어떤 내용을 기본 지식으로 알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송강 정철이라는 조선 문인이 썼다는 것? 관동별곡도 정철의 작품이라는 것? 두 여인의 대화체 형식이라는 것?’ 국문학과 3학년 학생이라고 하기에는 분명 매우 부끄러운 일이다. 아주 많이 친숙하다고 생각해 온 續美人曲에 대해서 고등학교 때 배웠던 것 까지 기억을 못하고 있었다. 그저 내가 續美人曲을 외웠었다는 것 하나만으로 이번 작품 선택을 한 것이다. 思美人曲을 외웠더라면 작품 선택은 달라졌을 것이다.

참고 자료

1.장정수(2005),「국문시가의 꽃:『송강가사(松江歌辭)』」,남명학연구원
2.임종욱 엮음(2002),우리의 고전 시가1,나무아래사람
3.김진욱(2004),송강 정철 문학의 재인식,역락
4.서영숙(1995),‘속미인곡’과 ‘성산별곡’의 대화양상 분석,한국고시가문학회
5.정재호(1991),韓國歌辭文學講讀,집문당
6.박춘우(1996),<속미인곡>연구,대구어문논총(통권 14호),우리말글학회,p.327.
7.최태호(2000),송강문학논고,역락
8.정재호(1984),한국가사문학론,집문당,pp71~75.
9.서영숙(1995),‘속미인곡’과 ‘성산별곡’의 대화양상 분석,한국고시가문학회
10.반교어문학회(1999),조선조 시가의 존재양상과 미의식,보고사
11.서정국(1977),어휘가치로 본 송강가사의 작품가치,
12.허왕욱(2004),16세기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 표현의 양상,『한국어문교육』,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3.정병헌(2000),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돌베개
14.문홍구(2001),「송강의 연군시가 연구」,『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15.나정순(2000),한국고전시가 문학의 분석과 탐색,역락
16.박영주(1999)「송강 시가의 정서적 특질」,『한국시가연구』,한국시가학회
17.이현주(1995),「송강가사 (松江歌辭)의 형성과 변모양상」,『고시가연구』,한국고시가문학회 18.최규수(2005)「송강 시가에서 자의식의 비유적 형상화와 여성 화자의 의미」,『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5권
19.조규익(1993),「송강 정철의 장르의식」,『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20.김승곤(1987),「송강(松江)의 전,후 미인곡(美人曲)에 나타난 anima고」,『한성어문학』,한성대학교 한국어문학부
21.김용직(1992),「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의식 대비연구」,『한국문화 제13집』,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솔*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송강 정철(鄭澈)을 통해 보는 가사문학 歌辭文學 12페이지
    ) 관동별곡 (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과 속미인곡 (續美人曲) 의 ... 본론 송강 정철 (松江 鄭澈) 의 삶 사미인곡 (思美人曲) 속미인곡 (續美人曲 ... 사미인곡 (思美人曲) 과 속미인곡 (續美人曲) 의 연구비교 과 의 비교 사미인곡과
  • 한글파일 송강정철의 속미인곡, 사미인곡, 여성화자, 연군가사 32페이지
    4.1. 의 내용분석 4.2. ... 3.1. 의 내용분석 3.2. ... - 성주본(星州本) [서사(緖詞)] 이 몸 삼기실
  • 한글파일 조선시대의 가사문학 4페이지
    ) , 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이 있습니다. ... 대가인 정철(鄭澈)의 작품으로는 성산별곡 관동별곡(關東別曲) , 사미인곡(思美人曲 ... 더웠다 서늘해졌다 하는 계절의 바뀜이 때를 알아 지나갔다가는 이내 다시 돌아오니
  • 한글파일 속미인곡 교수학습과정안 30페이지
    작품분석 속미인곡(續美人曲) 정 철(鄭澈) 뎨 가? 뎌 각시본 듯도 ? ... 이 작품의 구성은 전곡(前曲)인 ‘사미인곡(思美人曲)’과는 달리 대화체로 ... )’의 속편으로 ‘사미인곡(思美人曲)’에서 못다한 심회(心懷)를 더 발전시켜
  • 한글파일 송강 정철의 문학세계(사미인곡, 속미인곡을 통하여 고찰) 7페이지
    저기 가는 저 각시(부인, 젊은 여자) 본 듯도 하구나 ... 예전에 임을 모시어서 임의 일을 내가 알거니, 물같이 연약한 몸이 편하실 ... 임 계신 곳의 소식을 어떻게 해서라도 알려고 하니, 오늘도 거의 저물었구나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續美人曲`알아가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