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배아복제에 대한 법적 윤리적 문제점 검토

*재*
최초 등록일
2008.01.02
최종 저작일
2007.08
9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문제의 제기 ‥‥‥‥‥‥‥‥‥‥‥‥‥‥‥‥‥‥‥‥‥‥‥‥‥1
Ⅰ. 배아복제를 둘러싼 논란 ‥‥‥‥‥‥‥‥‥‥‥‥‥‥‥‥‥‥‥‥‥1
1. 현대사회의 특징‥‥‥‥‥‥‥‥‥‥‥‥‥‥‥‥‥‥‥‥‥‥‥‥1
2. 법과 도덕의 연관성 ‥‥‥‥‥‥‥‥‥‥‥‥‥‥‥‥‥‥‥‥‥‥2
Ⅱ. 착상 전 배아의 개념과 유용성 ‥‥‥‥‥‥‥‥‥‥‥‥‥‥‥‥‥‥2
1. 착상 전 배아의 개념 ‥‥‥‥‥‥‥‥‥‥‥‥‥‥‥‥‥‥‥‥‥‥2
2. 착상 전 배아의 유용성 ‥‥‥‥‥‥‥‥‥‥‥‥‥‥‥‥‥‥‥‥‥3
Ⅲ. 착상 전 배아복제의 문제점 ‥‥‥‥‥‥‥‥‥‥‥‥‥‥‥‥‥‥‥‥4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향 ‥‥‥‥‥‥‥‥‥‥‥‥‥‥‥‥‥‥‥‥‥‥6
Ⅰ. 연구 범위 ‥‥‥‥‥‥‥‥‥‥‥‥‥‥‥‥‥‥‥‥‥‥‥‥‥‥‥‥6
Ⅱ. 연구 방향 ‥‥‥‥‥‥‥‥‥‥‥‥‥‥‥‥‥‥‥‥‥‥‥‥‥‥‥‥7

제 2 장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 ‥‥‥‥‥‥‥‥‥‥‥‥‥‥‥‥‥9

제 1 절 서 설 ‥‥‥‥‥‥‥‥‥‥‥‥‥‥‥‥‥‥‥‥‥‥‥‥‥‥‥‥ 9
제 2 절 착상 전 배아의 특징과 논란 검토 ‥‥‥‥‥‥‥‥‥‥‥‥‥‥‥ 9
Ⅰ. 생명공학과 생명윤리학의 갈등 ‥‥‥‥‥‥‥‥‥‥‥‥‥‥‥‥‥‥‥9
Ⅱ. 착상 전 배아의 법적 성격 ‥‥‥‥‥‥‥‥‥‥‥‥‥‥‥‥‥‥‥‥10
Ⅲ. 인간생명 시작에 대한 견해 차이 ‥‥‥‥‥‥‥‥‥‥‥‥‥‥‥‥‥ 11
1.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논의 ‥‥‥‥‥‥‥‥‥‥‥‥‥‥‥‥‥‥‥ 11
2. 규범적 관점에서의 논의 ‥‥‥‥‥‥‥‥‥‥‥‥‥‥‥‥‥‥‥‥ 12
3. 소결 ‥‥‥‥‥‥‥‥‥‥‥‥‥‥‥‥‥‥‥‥‥‥‥‥‥‥‥‥‥ 13
Ⅳ. 착상 전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 논란 ‥‥‥‥‥‥‥‥‥‥‥‥‥‥‥ 13
1. 착상 전 배아와 관련된 기본권 ‥‥‥‥‥‥‥‥‥‥‥‥‥‥‥‥‥ 13
2. 착상 전 배아의 생명권 보호 문제 ‥‥‥‥‥‥‥‥‥‥‥‥‥‥‥ 14
Ⅴ. 배아복제 및 연구의 허용 문제 ‥‥‥‥‥‥‥‥‥‥‥‥‥‥‥‥‥‥ 15
제 3 절 법철학적 시각 검토 ‥‥‥‥‥‥‥‥‥‥‥‥‥‥‥‥‥‥‥‥‥16
Ⅰ. 개관 ‥‥‥‥‥‥‥‥‥‥‥‥‥‥‥‥‥‥‥‥‥‥‥‥‥‥‥‥‥‥ 16
Ⅱ. 자연법론적 접근방법 ‥‥‥‥‥‥‥‥‥‥‥‥‥‥‥‥‥‥‥‥‥‥ 17
Ⅲ. 법실증주의적 접근방법 ‥‥‥‥‥‥‥‥‥‥‥‥‥‥‥‥‥‥‥‥‥ 18
제 4 절 소결 ‥‥‥‥‥‥‥‥‥‥‥‥‥‥‥‥‥‥‥‥‥‥‥‥‥‥‥‥ 20

제 3 장 배아복제와 관련된 법제 현황 ‥‥‥‥‥‥‥‥‥‥‥‥‥22

제 1 절 서 설 ‥‥‥‥‥‥‥‥‥‥‥‥‥‥‥‥‥‥‥‥‥‥‥‥‥‥‥‥22
제 2 절 외국의 법제 현황 ‥‥‥‥‥‥‥‥‥‥‥‥‥‥‥‥‥‥‥‥‥‥ 22
Ⅰ. 독일 ‥‥‥‥‥‥‥‥‥‥‥‥‥‥‥‥‥‥‥‥‥‥‥‥‥‥‥‥‥‥ 24
Ⅱ. 프랑스 ‥‥‥‥‥‥‥‥‥‥‥‥‥‥‥‥‥‥‥‥‥‥‥‥‥‥‥‥‥ 24
Ⅲ. 영국 ‥‥‥‥‥‥‥‥‥‥‥‥‥‥‥‥‥‥‥‥‥‥‥‥‥‥‥‥‥‥ 25
Ⅳ. 미국 ‥‥‥‥‥‥‥‥‥‥‥‥‥‥‥‥‥‥‥‥‥‥‥‥‥‥‥‥‥‥ 27
Ⅴ. 일본과 중국 ‥‥‥‥‥‥‥‥‥‥‥‥‥‥‥‥‥‥‥‥‥‥‥‥‥‥ 29
Ⅵ. 기타 ‥‥‥‥‥‥‥‥‥‥‥‥‥‥‥‥‥‥‥‥‥‥‥‥‥‥‥‥‥‥ 30
제 3 절 우리나라의 법제 현황 ‥‥‥‥‥‥‥‥‥‥‥‥‥‥‥‥‥‥‥‥ 31
Ⅰ. 개관 ‥‥‥‥‥‥‥‥‥‥‥‥‥‥‥‥‥‥‥‥‥‥‥‥‥‥‥‥‥‥ 31
Ⅱ.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32
Ⅲ. 생명공학육성법 등 관련법률 ‥‥‥‥‥‥‥‥‥‥‥‥‥‥‥‥‥‥‥ 34
제 4 절 검 토 ‥‥‥‥‥‥‥‥‥‥‥‥‥‥‥‥‥‥‥‥‥‥‥‥‥‥‥‥35
Ⅰ. 외국의 경우 ‥‥‥‥‥‥‥‥‥‥‥‥‥‥‥‥‥‥‥‥‥‥‥‥‥‥ 35
Ⅱ. 우리나라의 경우 ‥‥‥‥‥‥‥‥‥‥‥‥‥‥‥‥‥‥‥‥‥‥‥‥ 36
1. 문제점 검토 ‥‥‥‥‥‥‥‥‥‥‥‥‥‥‥‥‥‥‥‥‥‥‥‥‥ 36
2. 개정안 논의 ‥‥‥‥‥‥‥‥‥‥‥‥‥‥‥‥‥‥‥‥‥‥‥‥‥ 37
3. 새로운 대안 검토 ‥‥‥‥‥‥‥‥‥‥‥‥‥‥‥‥‥‥‥‥‥‥‥ 37

제 4 장 배아복제 관련 법규와 법철학적 사상 검토 ‥‥‥‥‥‥ 39

제 1 절 서 설 ‥‥‥‥‥‥‥‥‥‥‥‥‥‥‥‥‥‥‥‥‥‥‥‥‥‥‥‥39
제 2 절 법철학 사상의 유용성 검토 ‥‥‥‥‥‥‥‥‥‥‥‥‥‥‥‥‥‥40
Ⅰ. 법철학의 역할 ‥‥‥‥‥‥‥‥‥‥‥‥‥‥‥‥‥‥‥‥‥‥‥‥‥ 40
Ⅱ. 생명의 질의 문제 ‥‥‥‥‥‥‥‥‥‥‥‥‥‥‥‥‥‥‥‥‥‥‥‥ 40
제 3 절 법제 검토 및 방향성 제시 ‥‥‥‥‥‥‥‥‥‥‥‥‥‥‥‥‥‥ 41
Ⅰ. 법제 검토 ‥‥‥‥‥‥‥‥‥‥‥‥‥‥‥‥‥‥‥‥‥‥‥‥‥‥‥ 41
1. 배아의 법적 지위 ‥‥‥‥‥‥‥‥‥‥‥‥‥‥‥‥‥‥‥‥‥‥‥ 41
2. 외국과의 사례 검토 ‥‥‥‥‥‥‥‥‥‥‥‥‥‥‥‥‥‥‥‥‥‥ 42
3. 법철학 사상의 교훈 ‥‥‥‥‥‥‥‥‥‥‥‥‥‥‥‥‥‥‥‥‥‥ 43
Ⅱ. 배아복제의 가치문제에 대한 네 가지 흐름 구분 ‥‥‥‥‥‥‥‥‥‥ 43
Ⅲ. 방향성 제시 ‥‥‥‥‥‥‥‥‥‥‥‥‥‥‥‥‥‥‥‥‥‥‥‥‥‥ 44
Ⅳ. 소결 ‥‥‥‥‥‥‥‥‥‥‥‥‥‥‥‥‥‥‥‥‥‥‥‥‥‥‥‥‥‥ 45

제 5 장 배아연구의 한계와 배아의 보호 방안 ‥‥‥‥‥‥‥‥‥47

제 1 절 배아연구의 한계 ‥‥‥‥‥‥‥‥‥‥‥‥‥‥‥‥‥‥‥‥‥‥‥47
Ⅰ. 배아 연구의 내재적 한계 검토 ‥‥‥‥‥‥‥‥‥‥‥‥‥‥‥‥‥‥ 47
Ⅱ. 배아보호와 환자의 생명보호와의 법익 충돌 문제 ‥‥‥‥‥‥‥‥‥ 48
Ⅲ. 배아보호와 환자의 생명보호에 대한 시도 ‥‥‥‥‥‥‥‥‥‥‥‥‥ 48
제 2 절 배아보호를 위한 방안 ‥‥‥‥‥‥‥‥‥‥‥‥‥‥‥‥‥‥‥‥ 50
Ⅰ. 소극적인 자제원칙 ‥‥‥‥‥‥‥‥‥‥‥‥‥‥‥‥‥‥‥‥‥‥‥ 50
Ⅱ. 생명권과 관련된 방안 ‥‥‥‥‥‥‥‥‥‥‥‥‥‥‥‥‥‥‥‥‥‥ 51
Ⅲ. 입법적 해결 방안 ‥‥‥‥‥‥‥‥‥‥‥‥‥‥‥‥‥‥‥‥‥‥‥‥ 53
Ⅳ. 국제적 합의 노력 ‥‥‥‥‥‥‥‥‥‥‥‥‥‥‥‥‥‥‥‥‥‥‥‥ 54
Ⅴ. 구체적 대안 ‥‥‥‥‥‥‥‥‥‥‥‥‥‥‥‥‥‥‥‥‥‥‥‥‥‥ 55

제 6 장 결 론 ‥‥‥‥‥‥‥‥‥‥‥‥‥‥‥‥‥‥‥‥‥‥‥ 56

제 1 절 논의의 정리 ‥‥‥‥‥‥‥‥‥‥‥‥‥‥‥‥‥‥‥‥‥‥‥‥‥56
제 2 절 제언 및 향후 과제‥‥‥‥‥‥‥‥‥‥‥‥‥‥‥‥‥‥‥‥‥‥ 58

<참 고 문 헌> ‥‥‥‥‥‥‥‥‥‥‥‥‥‥‥‥‥‥‥‥‥‥‥ 61

본문내용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의 제기

Ⅰ. 배아복제를 둘러싼 논란

1. 현대사회의 특징

배아복제와 관련된 생명공학기술은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원자력기술, 우주공학기술과 함께 현대사회에서 고부가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현대판 판도라의 상자라고 볼 수 있다. 최근 1997년 영국의 월머트 박사가 복제양 돌리(Dolly)의 탄생을 알린 이후 1998년에는 미국에서 돈 월프 박사가 원숭이 복제에 성공하였고 마침내 2000년 6월에는 미국의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와 셀레라 제노믹스사는 인간유전자에 대한 염기배열지도를 완성하기에 이른다. 전경운, 유전자기술의 발전과 법제도적 과제, 게놈연구의 발전과 법적 과제-한남대학교 2003년도 학술심포지엄, 한남대학교 법과대학· 과학기술법연구소, 2003, 2쪽. 인간의 복제와 인간유전자에 대한 조작의 우려가 현실의 우려로 대두되게 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과학기술의 등장은 새로운 사회갈등 요인을 낳고 있다. 특히 생명공학과 유전공학의 눈부신 발전의 산물인 배아복제를 통해 불치병과 유전적 질병의 치유와 인간복제에 까지 이르렀으며 이는 수정란 상태의 배아에서 만능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장기 배양과 질병치료를 위한 줄기세포들을 얻어냄으로써 실현가능한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간배아는 줄기세포를 위해 희생되기도 하며 인간생명의 훼손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위험사회 U. Beck, Risikogesellschaft, 1986.로 지칭되는 현대사회의 세계적인 위험요소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법에 대해서는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법과 도덕의 관계 형성에도 타협점을 찾지 않을 수 없는 문제의식을 생성함으로써 담론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전에는 법이 생명현상이나 인체 혹은 생명공학 등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으며 근대법 이후 법의 주된 관심사는 육체와 정신을 통합한 전체로서의 사람, 즉 도덕적 인격 내지 정신중심의 인간존엄 명제에 놓여 있었다. 이 부분의 법의 공백은 도덕이 채워 왔으며 때로는 법에 대한 도덕의 우위를 점하기도 하였다. 박은정, 인간복제 문제와 법적 대응, 인간복제의 법적 대응 시민토론회, 1999. 2쪽. 예컨대 형법상 동의에 의한 신체의 완전성침해가 언제나 면책되지는 않는다든지, 자살관여죄가 인정된다든지, 이익보다는 해가 더 많은 의학치료에는 형사책임이 따른다고 보는 점 등을 보면 유추할 수 있다.

참고 자료

1. 국내문헌

<단행본>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4.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문국진, 『생명헌법학』, 고려대법의학연구소, 1989.
박은정, 『생명공학시대의 법과 윤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박이문, 『과학의 도전, 철학의 응전』, 생각의 나무, 200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5.
이상돈,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이상돈 외, 『현대법철학의 흐름』, 한국법철학회 편, 법문사, 1996.
이인영 외, 『생명인권보호를 위한 법정책』, 삼우사, 2004.
윤재왕 외, 『현대법철학의 흐름』, 법문사, 1996.
장영수, 『기본권론』, 홍문사, 2003.
최경석, 『인간생명의 시작은 어디인가 -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생명윤리』, (주)웅 진씽크빅, 2006.
최종고, 『법철학』 제2판, 2005.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편, 『인간복제의 금지필요성과 제한적 허용 연구』, 형사정책 연구원, 2001.

<학위논문>

권순현, 「인간복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김선택, 「헌법 제9조 제1문 전단 인간으로서의 존엄의 의미와 법적 성격」,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93~101쪽.
김영조, 「생명공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법적 문제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2006.
박수진, 「국제법상 생명공학기술의 규율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2004.
백수원, 「인간신체연구에 관한 헌법적 고찰」,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안성준, 「생명공학 시대에 있어서 인간의 존엄론」,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2005.
이우철, 「인간복제에 관한 헌법철 고찰」,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이은영, 「인간배아연구의 연구윤리 방향 모색」,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이재명, 「인간존엄의 헌법상 접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이한주,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대한 헌법적 평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5.
정정일, 「배아복제의 법적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황만성, 「인간의 생식자와 배아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02
M.Tooley(변순용/강미정 외 역), 「인격성」, 『생명윤리학Ⅰ, 인간사랑』, 2005, 267쪽.

<일반논문>

구영모, 「황우석·문신용 교수의 치료용 인간배아복제 사례 분석」, 『생명윤리』 제5권 제1호, 2004, 66쪽.
구모영,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부산법조논집 창간호」, 2006, 165쪽.
김선택, 「사법질서에 있어서 기본권의 효력」, 『고려법학』 제39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2, 173~174쪽.
김선택, 「생명공학시대에 있어서 학문연구의 자유」, 『헌법노총』 제12집, 헌법재 판소, 2001, 240~241쪽.
김선택, 「출생전 인간생명의 보호」, 한일법학회 제4회 공동 생명공학 발표문, 2004.9.4., 86~89쪽.
김일수, 「배아생명에 관한 법적 이해와 법정책의 방향」, 『형사정책연구』 제13 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5~24쪽.
김일수, 「생명공학·유전공학의 발달과 새로운 법적 과제」, 한남대학교 법과대학· 과학기술법연구소학술심포지엄, 2003, 6~15쪽.
김일수, 「생명·인권·법」, 발표문, 2쪽
김일수, 「인간복제의 윤리적 법적 문제」, 『법조』 제514호, 1999. 26쪽.
김일수, 이석배, 「착상이전단계에서 배아생명보호」, 『형사법연구』 제16호, 2001, 22~35쪽.
김철근,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참여연대 주최 대중심포지엄, 2001. 2~4쪽.
박은정, 「체세포이식 연구에 대한 국제적 규제동향」, 『국제법 동향과 실무』 제 2권 제2호, 외교통상부 조약국, 2003, 3~14쪽.
박은정, 「생명·과학·정의, 김옥길 기념 강좌」,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생명법 연구센터, 2001.
박은정, 「인간복제 문제와 법적 대응」, 인간복제의 법적 대응 시민토론회, 1999, 2~6쪽.
신동일, 「도그마틱, 정책 그리고 윤리-생명윤리논증을 위한 법해석」, 『김일수 교 수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2006, 756쪽
신동일, 「배아 생명 보호를 위한 형법적 개입의 시기」, 『형사정책연구』 제13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87~93쪽.
신동일, 「배아보호를 위한 형사정책」, 형사정책연구원, 2003, 17쪽.
신동일, 「생명공학의 위기와 법적 개입의 필요성」, 『범죄방지포럼 통권』 제18 호, 2006, 79쪽.
신동일, 「생명공학의 형법적 한계」, 『형사정책연구』 제12권 제3호, 2001, 178 쪽.
윤영철, 「인간복제의 제한과 이에 대한 국제적 대응」, 『과학기술법연구』 제9집 제2호, 2003, 160~161쪽.
윤영철, 「인간복제기술의 허용한계와 이에 대한 국제적 대응-게놈연구의 발전과 법적 과제」, 한남대학교 학술심포지엄, 한남대학교 법과대학 과학기술법 연구소, 2003, 13~14쪽.
이상돈, 「생명공학과 법 - 민주적 법치국가에서 생명공학법의 미래」, 안암법학회 2001년 추계학술발표회, 2001, 101~115쪽.
이웅희, 「개체 복제의 허용 여부와 허용 기준에 관한 연구」, 『생명윤리』 제4권 제2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37쪽
이인영, 「인간배아 보호를 위한 법정책의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13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60~66쪽
이인영, 「줄기세포연구의 법률적 쟁점사항 및 외국의 입법동향, 인간줄기세포 연구 의 가능성과 한계 및 대안」,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자료집, 2001, 21~30쪽.
이준일, 「생명복제와 기본권」, 『고려법학』 제42호, 2004, 136쪽.
임종식, 「배아를 인간으로 볼 것인가? - 14일론을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2000, 213쪽.
장영수,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과 기본권의 충돌」, 『고려법학』 제38호, 고려 대학교 법학연구원, 2002, 123~124쪽.
전경운, 「유전자기술의 발전과 법제도적 과제」, 게놈연구의 발전과 법적과제-한 남대학교 2003년도 학술심포지엄, 한남대학교 법과대학 과학기술법연구 소, 2003, 2쪽.
정현미, 「배아의 생명권과 착상전 유전자 진단」, 비교형사법연구 제5권 제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3, 265~266쪽.
황상익, 「인간배아연구의 윤리-인간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13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38~41쪽.
홍석영,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생명윤리』 제5권 제1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04, 21쪽.
H.-L.Shreiber(신동일 역), 「유전공학의 한계로서의 법」, 『인천법학논총』 제3 집, 2000, 208쪽

2. 외국문헌

Gene Outka, "The Ethics of Human Stem Cell Research," in God and the Embryo: Religious Voices on Stem Cells and Cloning, ed. by Brent Waters and Ronald Cole-Turner, Washing, D. 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3, 56~58.
H. Jonas, Technik, Medizin und Ethik, Frankfurt, 1987, s.190~193.
Report of the Committee of Inquiry into 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Merkel, Ebryonenschutz, Grundgesetz und Ethik, DRiZ 2002, S. 184~185.
New York Times 2001년 8월 10일자 보도
The Report of the committee of inquiry into Human Fertilization and Embryology(HMSO, London, July 1984)-the Warnock Report, s.11.22, p.66.

3. 기타자료

과학기술부, 중국의 줄기세포 연구동향(과학기술부 홈페이지 정보마당 해외과기동 향, 2005년 10월 21일 방문)
연합뉴스, 「배아(胚芽)도 인격을 가진 인간이다」, 「연구목적의 배아 이용은 허용 해야 한다」 2005.04.05.
연합뉴스, 「황우석 사건에 대한 정부의 평가와 대책」, 2006.08.13.
국민일보, 「인간배아 2만개 폐기된다」, 2006.05.26.
한겨레21, 「인간복제는 치명적 문제 많아 현실성 낮아」, 2002.12.26.
한겨레신문, 「성체 줄기세포" 관심의 계기로」, 2004.11.26.
한국일보, 「인간배아는 생명인가?」, 2001.01.14.
보건복지부, 「생명윤리법 개정안 등 발표문」, 2006.11.22.
보건복지부, 「2007년 3월 23일자 보도자료」, 홈페이지 방문, 2007.3.23.
*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인간 배아복제 생명과학기술 윤리적 문제 딜레마 5페이지
    윤리적 문제점들에 대해서 찬반 논의를 통해 검토를 한다. ... 이 글은 인간 배아 복제와 인간 개체 복제대한 윤리적 문제점들에 대해서 ... 먼저 인간 배아 복제대한 개념정리와 그에 따른 윤리적 문제점들에 대해서
  • 워드파일 생명윤리 5페이지
    문제점 장기매매와 장기이식의 문제점을 보완 eq \o\ac(○,1) 말기환자에게 ... 실수 및 오류, 배아대한 취급과 처리 문제 [치료복제] 1. ... 멸시, 훼손에 대한 윤리적 부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3) 배아
  • 한글파일 생명복제문제점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배아복제를 중심으로) 보고서 8페이지
    배아복제의 개선방안 1) 윤리적 측면의 문제점대한 개선방안 2) 과학? ... 배아복제문제점 1) 윤리적 측면의 문제점 2) 과학? ... 위해서 인간배아복제방법을 사용하는 문제에 대하여 국사 생명윤리자문위원회에
  • 한글파일 배아줄기세표 14페이지
    규제 1997년 9월 과학기술회의에 설치된 생명윤리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복제규제법이 ... , 동시에 윤리적으로, 그리고 기술적으로 많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 복제규제법의 실제적 의의는 인간 개체 복제대한 금지를 법적으로 선언한
  • 한글파일 인간복제 입장, 규제, 문제 5페이지
    조건부로 허용하였다. ■ 독일 독일은 인공수정에 대한 문제점검토한 벤다보고서를 ... 파괴하며, 유전적 동일성을 초래해 진화를 방해하고 질병에도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을 ... 관한 법률(생명윤리법)'이 제정되었다.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배아복제에 대한 법적 윤리적 문제점 검토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5월 3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