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국제법상 독도의 영유권 분쟁

*재*
최초 등록일
2008.04.15
최종 저작일
2006.04
1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국제법상 독도의 영유권 분쟁에 관한 해양법,국제법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序
Ⅱ. 領有權 主張과 확보를 위한 國際法上 基本的 要件
Ⅲ. 韓國과 日本의 獨島 領有權 論爭
1. 問題의 提起
2. 獨島의 國際法上 地位
(1) 섬의 정의
(2)國際法上 섬(島嶼)으로서 獨島
3.日本의 獨島 領有權 主張의 國際法上 論據
(1)無主地 先占
(2) 對日講和條約 제2조에 의한 확인
4. 日本의 主張에 대한 한국측의 반박 논거
(1) 無主地 先占에 대하여
(2) 카이로 宣言과 日本領土處理
(3) 포츠담宣言과 日本의 領土處理
(4) UN決議로 獨立한 제3국으로서 받은 一連의 措置
(5) 對日講和條約과 獨島
Ⅳ. 中國과 日本의 釣魚島에 대한 論爭
1. 問題의 提起
2. 釣魚島의 歷史的 權原
(1) 中國이 主張하는 歷史的 記錄
(2) 日本에 의한 釣魚島 强占 經過
(3)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釣魚島 領有權 紛爭 전개 현황
3. 中國과 日本이 釣魚島 領有權을 主張하는 이유
(1) 中國이 領有權을 主張하는 이유
(2) 日本이 釣魚島 領有權을 主張하는 이유
4. 釣魚島 領有權紛爭의 최근 진전 상황
Ⅴ. 러시아와 일본간의 북방4개 島嶼(북방4도)의 領有權 論爭
1. 문제의 제기
2. 북방4개 島嶼의 領有權 대한 양국의 입장
3.북방4개 島嶼의 領有權 紛爭의 전개 현황
Ⅵ.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Ⅲ. 韓國과 日本의 獨島 領有權 論爭
1. 問題의 提起
獨島問題의 發端은 1952년 1월 18일자로 한국이 ‘引接海洋의 主權에 관한 대통령성언’을 발표하자 일본외무성이 이에 대한 항의를 제출한데서부터 한일간에 獨島의 領有權에 관한 외교전이 벌어지게 되었다. 1954년에 이르러는 일본이 獨島領有權問題를 國際私法裁判所(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를 통해 解決하자고 한국측에 제의 해왔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일본의 제의가 合法을 假裝한 또 하나의 잘못된 主張에 불과하다고 반박하며 그 제안을 거부하였다. 그 이후 한국 정부는 거의 변함없이 ‘獨島는 紛爭상태에 있지 않으므로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獨島에 관해 한 일 양국 간에 論爭이 오늘날
까지 첨예한 가운데 있다.
2. 獨島의 國際法上 地位
(1) 섬의 정의
UN 해양법협약은 제121조 제1항에서 "섬이라 함은 바닷물로 둘러싸여 있으며, 밀물일 때에도 수면 위에 있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지역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섬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첫째,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이어야 한다. 둘째, 바닷물론 둘러싸여 있어야 한다. 셋째, 만조시에도 수면 위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국제법위원회는 1956년 해양법에 관한 초안에서 "섬은 육지로서 물로 둘러싸이고 정상적인 상황에서 항상 만조선 위에 있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였다. 국제법, 특히 해양법에서 섬의 지위가 문제되는 이유는 일부 바위섬에 대해서는 배타적 경제수역이나 대륙붕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UN 해양법협약 제121조 제3항에 의하면 인간의 거주나 자체 경제활동을 지탱할 수 없는 바위섬은 배타적 경제수역이나 대륙붕을 갖지 못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섬과 구별되는 바위섬이 무엇이고, 인간의 거주나 자체 경제활동을 지탱할 수 없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UN 해양법협약 제121조 3항을 이렇게 해석하는 것은 합당한 일인가? 최근 학자들의 분석에 의하면 제121조 3항의 내용은 규범적 개념과 기준이 모호하여, 구체적인 경우에 법적인 기속력을 발휘하기 곤란하며, 지금까지 국가관행의 경향으로 보아 관습국제법으로 성립되었다고 볼 수도 없기 때문에 UN 해양법협약 제121조 3항은 이처럼 단순하고 명료하게 해석하는 것은 국제법 해석의 규범적 기준에 맞지도 않으려니와 현행 국가관행의 일반적 경향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종두, 동아시아 해양분쟁, 문영사,1997.
◉獨島硏究保全協會, 獨島領有의 歷史와 國際關係, 獨島硏究保全協會, 1997.
◉金榮球, 韓國과 바다의 國際法上 諸問題, 曉星出版社, 1999.
◉獨島學會, 韓國의 獨島領有權 硏究史, 獨島硏究保全協會, 2003.
◉이석우, 獨島 紛爭의 國際法적 이해, 학영사, 2004.
◉金榮球, 韓國과 바다의 國際法, 曉星出版社, 1999.
◉신용하, 獨島領有權과 연합국의 獨島문제 처리, 2003.
*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워포인트파일 독도, 국제법상 영토,독도의 역사,독도의 가치,독도영유권 분쟁 17페이지
    독도 국제법상 영토의 의미 독도의 역사 독도의 가치 독도영유권 분쟁 CONTENT ... 에도막부로 부터 울릉도 독도 인정받음 1905 년 일본이 다케시마로변칭하고 ... PART2 국제법상 영토의 의미 일반적 국가영역 영토 영공 영해 PART3
  • 한글파일 독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레포트(역사적, 국제법적 측면) 15페이지
    국제법적 관점 (1) 국제법상 영토 취득의 권원 (2) 1905년 일본의 ... 항의하면서부터 한일간의 영유권 분쟁이 시작되었다. ... 국제법적인 관점, 이 두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 한글파일 독도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과제 레포트 12페이지
    그렇게 함으로써 독도가 한·일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라는 인식을 국제사회에 ... REPORT 담당교수 학 번 학 과 이 름 독도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독도의 ... 국제법적 고찰 학번 학과 이름 1.
  • 한글파일 국제법에 의거한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증거 레포트 6페이지
    독도영유권에 대한 국제법적 쟁점」, 2010 · 임영정, 「독도영유권의 ... 영유권 관련 국제법적 쟁점 법리 재조 명」, 2010 · 곽진오, 「일본의 ... 해양법과 국제법, 조약등을 근거로 독도가 우리나라 땅이라는 점에대한 입장을
  • 워드파일 한-일 독도 영유권 분쟁에 대한 법제 정리 6페이지
    [한-일 독도 영유권 분쟁] 영토 개관 국가 영역의 범위 영토 : 국경으로 ... 일본이 선점한 것을 재확인 국제법상 무주지 선점(occupation)을 위해서는 ... 어업협정 제15조 : “이 협정의 어떠한 규정도 어업에 관한 사항 외의 국제법상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국제법상 독도의 영유권 분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