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국제기구의 유해화학물질 관리정책

*홍*
최초 등록일
2008.06.25
최종 저작일
2008.06
5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국제기구의 유해화학물질 관리정책

목차

1. 국제기구별 화학물질 관리정책
1.1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1.1 화학물질 그룹 및 관리위원회
1.1.2 관련규정
1.1.3 우리나라가 OECD 가입 시 수락한 규정
1.1.4 우리나라가 OECD 가입 시 조건부 수락한 규정
1.1.5 신규화학물질에 대한 OECD화학물질관리정책
1.1.6 우수실험실운영원칙(GLP) 및 테스트가이드라인
1.1.7 위해성평가
1.1.8 위해성관리
1.1.9 주요 유해화학물질별 관리대책
1.1.10 화학물질 사고예방 프로그램
1.1.11 오염물질배출이동등록제도(PRTR)
1.1.12 분류 및 표시의 조화
1.2 IFCS (화학물질안전에관한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Forum on Chemical Safety)
1.2.1 설립배경
1.2.2 주요활동
1.2.3 추진상황
1.2.4 ISG 제 1차 회의
1.2.5 ISG 제 2차 회의
1.2.6 IFCS 제 2차 회의
1.2.7 ISG 제 3차 회의
1.3 IPCS (국제화학물질안전계획,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1.3.1 설립
1.3.2 사업목표
1.3.3 주요활동
1.4 UNEP (유엔환경계획,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1.4.1 설립목적
1.4.2 주요활동
1.5 EU (유럽연합, European Union)
1.5.1 RoHS (전기전자제품유해물질제한지침, 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1.5.3 REACH (Reg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2. 유해화학물질 관리에 대한 국제 협약
2.1 오존층파괴물질에 관한 몬트리울 의정서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lete the Ozone Layer
2.1.1 몬트리올 의정서 체제의 의의
2.1.2 몬트리올 의정서 체제의 내용
2.1.3 오존층 파괴물질의 규제조치
2.1.4 무역규제조치
2.1.5 재정 및 기술 지원 제도
2.1.6 몬트리올 의정서 체제의 평가
2.1.7 발효 및 가입 현황
2.2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로 인한 피해에 대한 보상과 책임에 관한 바젤의
정서 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Disposal (Basel Convention)
2.2.1 유해폐기물과 바젤 협약
2.2.2 당사국 의무
2.2.3 재생가능 폐기물과 바젤 협약
2.2.4 재생이용 작업
2.2.5 재생가능 폐기물의 이동 규제
2.2.6 가입현황
2.3 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관한 스톡홀름 협약
Stockholm Conven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2.3.1 주요 내용
2.3.2 평가
2.3.3 기본 원칙
2.4 특정 유해화학물질 및 농약의 국제교역에 있어서 사전통보승인에 관한 로테르담 협약
Rotterdam Convention on the Prior Informed Consent Procedure for Certain
Hazardous Chemicals and Pesticides in International Trade
2.4.1 협약 범위
2.4.2 금지 또는 규제대상 화학물질에 관한 절차
2.5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협약 (런던협약)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 and
Other Matter (London Convention)
2.5.1 체결 배경
2.5.2 런던협약의 목적 및 규제내용
2.5.3 핵폐기물 해양투기금지 및 동결에 관한 결의안
2.5.4 개정안 채택과 핵폐기물 투기 전면금지
2.5.5 협약평가

3. REACH에 대한 기업과 정부의 대응
3.1 REACH의 중요성
3.2 국내 REACH 대응여건
3.2.1 관련 인프라 부족
3.2.2 과다한 비용발생
3.3 정부의 지원대책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Introduction.
인류는 활발한 산업 활동으로 인간의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생산품을 만들어 소비하고 있으며 생산자는 기술의 발달에 의해 기존의 물질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물질들을 변형 또는 재조합 등의 처리를 거쳐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좀 더 기능적이고 효율적인 제품을 만드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략..

2.5.2 런던협약의 목적 및 규제내용

런던협약은 국내수역(internal waters)밖에 있는 모든 해양지역에 각종 폐기물을 투기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해양오염을 막기 위한 목적에서 채택되었으며,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러시아, 우리나라 등 77개국이 가입한 국제협약이다. 이 협약은 해양투기문제를 전지구적 차원에서 규율하는 최초의 다자협약이라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많은 국가들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 왔다. 이 협약은 협약당사국에게 폐기물의 해양투기 방지의무를 부과하여, 각 국가로 하여금 인류건강과 생물자원 및 해양생물자원에 피해를 주고 쾌적함을 해치며 합법적인 바다의 이용을 방해하는 폐기물의 방출, 특히 선박, 항공기, 선착장, 바다 위의 인공구조물 등으로부터 폐기물을 해양에 투기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협약은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절대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아니며, 최소한의 국제기준을 설정하고 각 국가들이 이를 이행하도록 하되 더 엄격한 국내기준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국가들이 해양투기를 억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협약은 폐기물의 범주를 셋으로 구분하여, 가장 유해한 물질에 대해서만 투기를 금지하고 나머지 물질들에 대해서는 각 당사국의 특별허가 또는 일반허가에 따라 투기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협약의 부속서I에 열거된 폐기물은 유독성이 가장 강한 물질로서 해양투기가 절대적으로 금지된다(black list). 고준위핵폐기물과 국제원자력기구가 인류건강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의 이유로 해양투기를 제한하는 기타 고준위핵물질은 여기에 해당되어 해양투기를 절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참고 자료

1: 화학물질 안전관리 국제동향, 환경위해성연구과 환경연구관 최경희외 2명, 1999, 환경부
2: WEEE와 RoHs, 최봉준, 2008, 환경부 화학물질관리과
3: REACH대응 브로셔, REACH대응추진기획단, 2008, 환경부
4: REACH대응추진기획단 홈페이지, http://www.reach.me.go.kr
5: 화학물질관련 국제기구들의 활동동향과 국내화학물질 관리정책 및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 순천향대학교(환경보건학과), 1998, 박종범 (석사논문)
6: 유해화학물질의 적정관리를 위한 국제기구의 활동과 국내 화학산업의 대응전략, 정밀화
학-한국정밀화학공업진흥회, 1998, 김용화
7: 유해화학물질 함유제품 관리현황 및 향후과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신용승

자료후기(1)

*홍*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레포트 - 스모그 미세먼지 5페이지
    국제 기구 및 협약을 통해 정보 공유, 경험 교환, 기술 이전을 촉진하고, ... 미세먼지는 다양한 유해화학물질, 미생물, 토양 입자 등이 포함되어 있어 ... 대기 정화 기술의 개발, 대중 교육과 인식 제고, 법규와 정책 강화, 국제
  • 한글파일 [지역사회간호학] 환경보건 레포트 (환경호르몬) 20페이지
    국제사회의 관심과 대응, 국가별 대응전략 1. 주요 국제기구 2. ... SHL; Safe Harbor Level) 안전허용기준이란 목록에 등재된 유해화학물질이 ... 각국의 규제 화학물질에 대한 국제적 통보제도 추진 ?
  • 한글파일 (간호학과)지역사회 우리나라 안전보건체계조사 A+ 21페이지
    (MSDS)를 비롯하여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 유해.위험성 분류 정보 제공 및 MSDS 작성을 지원함으로써 화학물질로 ... 정보 수요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유해.위험성 분류정보,
  • 한글파일 국제보건과 간호 과제- WHO와 ICN의 활동과 역할 보고서 10페이지
    있는 화학물질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에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 관련된 정책을 제안하고, 관련된 국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 ... 보건·위생 분야의 국제적인 협력을 위하여 설립한 UN(국제연합) 전문기구
  • 한글파일 식품위생법령 관련 요약본 5페이지
    대상: 국제기구,국내외 연구기관,소비자 단체나 식품학회,새로운 원료 영업의 ... ,주류안전정책과,식품안전정책과,식품안전관리과,식품안전표시인증과 - 식품안전정책과 ... ┎중앙기구:식약처 ┖지방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책국 ┖건기식정책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국제기구의 유해화학물질 관리정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