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나노의약 나노 바이오 기술 분석 [나노, 나노기술, 바이오, RAND 2020 기술 동향 분석 ]

*재*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9.02.17
최종 저작일
2009.02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나노의약 나노 바이오 기술 분석

목차

1. 기술의 개요
2.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전망
3. 나노바이오기술의 파급효과
4. 참고문헌
5. 해당기술고찰 및 개인적인 소감

본문내용

1. 기술의 개요

전문가들은 나노기술에 관해 단순히 ‘신기술’ 이라기보다는 ‘산업의 흐름을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 이라고 말한다. 나노기술은 원자와 분자를 자유자재로 결합하고 움직여 지금까지 자연계나 기존 재료에선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물질을 합성해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방식과는 판이하다[1].
최근 전문화 된 NanoMarkets의 research에 따르면 나노기술의 출현은 oral의 분야에서 부터 injectable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든 pharmaceutical route를 통해 영향을 미치면서, drug delivery 분야에 굉장한 파장을 미치고 있다[2].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 기술이란 약리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물질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효력을 발휘하도록 세포, 조직, 장기 및 기관으로의 전달을 제어하는 일련의 기술로 정의된다. DDS 기술의 적용대상 물질은 소분자 합성화합물을 비롯하여 펩타이드, 단백질, 항체, 치료용 DNA, siRNA, 바이러스 및 세포 등 거대분자 화합물이며, 활성을 갖지 않으나 세포 내 소기관 및 상호작용의 검색에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화합물의 세포 또는 조직으로의 전달을 통한 분자생물학적 기초연구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3]. 초기의 DDS 기술은 물질특허 만료로 인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약물을 대상으로 제약기업의 전략적 필요성에 의해 주로 약물의 제어방출(controlled release), 서방화(sustained release), 독성감소 및 복용/투여 편의성 증대를 통한 신규 의약품 개발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조합화학과 고효율검색 기술을 통해 대량으로 도출되는 유효 또는 선도화합물(hit- or lead-compound)의 약동력학, 약물동태 및 독성 등을 시험/평가하기 위한 기반기술로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4]. 또한, 소분자 합성화합물에 비해 큰 분자량과 상이한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순환계로의 흡수율이 매우 낮고, 생체 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질환 표적 장기나 세포로 전달되기 이전에 활성이 소실되는 거대분자화합물을 대상으로 DDS 기술을 적용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5]. 이러한 DDS기술개발의 근간에는 ‘체외 또는 세포외에서 공급된 물질을 생체나 세포가 가지는 고유한 장벽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극복하여 흡수시키거나 전달되도록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나노바이오기술’ 2002,12 p.13-15 발췌
[2] http:// www. in-pharmatechnologist.com/news
[3] Allen TM, Cullis PR: Drug delivery: Entering the mainstream. Science. 2004, 303:1818-1822.
[4] Jain KK: The role of nanotechnology in drug discovery. Drug Discovery Today. 2005, 10:1435-1442.
[5] Davis FF: The origin of pegnology. Adv. Drug Del. Rev. 2002, 54:457-458.
[6] European Commission. Nanosciences and Nanotechnologies: An Action Plan for Europe 2005-2009 COM
(European Commission, Brussels, 2005). http://cordis.europa.eu/nanotechnology/actionplan.
[7] Wagner V, Dullaart A, Bock AK, Zweck A: The emerging nanomedicine landscape. Nature Biotechnology. 2006, 24:1211-1217.
[8]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출처: 약물전달방법 (Drug Delivery System) 개요 및 최근 연구동향]
[9] www.fda.gov/cder/foi/label/2003/50740slr014_ambisome_lbl.pdf
[10] www.fda.gov/cder/foi/label/1999/50718s06lbl.pdf
[11] Matsumura Y, Maeda H: A new concept for macromolecular therapies in cancer
chemotherapy: mechanism of tumouritropic accumulation of proteins and the antitumour
agent SMANCS. Cancer Res. 1986, 6:6387-6392.
[12] Peer D, Park EJ, Morishita Y, Carman CV, Shimaoka M: Systemic leukocyte-directed
siRNA delivery revealing cyclin D1 as an anti-inflammatory target. Science. 2008, 319:627-630.
[13] Kim KS, Lee YK, Kim JS, Koo KH, Hong HJ, Park YS: Targeted gene therapy of LS174
human colon carcinoma by anti-TAG-72-immunoliposome. Cancer Gene Therapy. 2008,
advance online publication 29 Feb; doi: 10.1038/cgt.2008.11.
[14] Wu J, Liu Q, Lee R: A folate receptor-targeted liposomal formulation of paclitaxel. Int J Pharm. 2006, 316:148-153.
[15] Duncan R: Polymer conjugate as anticancer nanomedicines. Nature Rev. Cancer. 2006, 6:688-701.
[16] O’Hare KB, Duncan R, Strohalm J, Ulbrich K, Kopeckova P: Polymeric drug-carriers
containing doxorubicin and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against murine melanoma. J. Drug Targeting. 1993, 1:217-229.
[17] Low PS, Antony AC: Folate receptor-targeted drugs for cancer and inflammatory diseases. Adv. Drug Del. Rev. 2004, 56:1055-1058.
[18] Duncan R, Cable HC, Lloyd JB, Rejmanova P, Kopecek J: Polymers containing
enzymatically degradable bonds, 7. Design of oligopeptide side chains in poly [N-(2-
hydroxypropyl)methacrylamide] copolymers to promote efficient degradation by
lysosomal enzymes. Makromol. Chem. 1984, 184:1997-2008.
[19] Seymour LW, et al: Hepatic drug targeting; Phase I evaluation of polymer bound doxorubicin. J Clin Oncol. 2002, 20:1668-1676.
[20] http://www.sciencedaily.com/ 출처 :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1] 성하수/한국화학연구원 신약기반기술연구센터 ‘약물전달시스템: 나노의약의 개발 동향’
[22] http://newsroom.ucla.edu/ 출처: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3] http://www.breaknews.com/new/sub_read.html?uid=70630&section=section21
[---] 서영섭, 박영서, 한정화, 김수종, 송광호 공저, ‘나노공학 기초와미래’ , 2006 , p.142
[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나노바이오기술’ 2002,12 p.48-49 발췌
[2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나노바이오기술’ 2002,12 p.50-53 발췌

자료후기(1)

*재*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나노의약 나노 바이오 기술 분석 [나노, 나노기술, 바이오, RAND 2020 기술 동향 분석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