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기술교육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방안

*진*
최초 등록일
2009.04.07
최종 저작일
2003.01
3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방안 및 지도안입니다.
A+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술교육
1. 기술교과의 성격
2. 기술교과의 내용 영역
3. 기술교과의 수업 방법

Ⅱ. 문제와 문제해결
1. 문제와 문제해결의 개념
2. 문제의 유형
3. 문제해결 절차

Ⅲ. 수업과정안
1. 단원의 개관
2. 단원의 목표
3. 단원의 내용 구성
4. 단원의 필수지도요소 및 기초․기본 학습내용
5. 단원의 전개 계획
6. 본시 수업과정안(교사용 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기술교육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비롯된 공업 혁명은 세계를 농업 사회에서 공업 사회로의 대전환을 꾀하였고, 지금의 세계는 공업 사회를 벗어나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었다. 기술의 발전이 사회 전체의 모양새와 짜임새 뿐 만 아니라 개개인의 삶의 모습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와 같이 개인과 사회에 대한 기술의 영향력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모든 이에게 기술적인 지식, 태도, 기능 등이 절실히 요청되었다. 이 결과 학생들에게 기술에 관한 지식, 태도, 기능을 가르치려는 노력이 세계 여러 나라의 학교 교육에서 보편화되고 일반 교육(general education)의 주요 부분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우리나라도 1970부터 일반교육의 한축으로 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이상봉. 2001)
일반교육으로서의 기술 교육은 추구하는 직업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의 일상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적 지식, 태도 기능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다. 앞으로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개인과 사회의 변화 또한 더욱 더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 교육으로서의 기술 교육의 중요성은 기술의 영향력의 증대와 함께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1. 기술교과의 성격

국제기술교육학회(ITE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에서는 기술을 인간의 필요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연 환경을 변형하는 것이라고 했고, 기술 교육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공정과 지식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인간의 능력을 확장시켜주는 교과라고 하였다(ITEA, 2000).
기술은 인류 역사와 더불어 시작하였고, 문명도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생산 기술 및 생활 기술 체계를 이해하지 않고는 현대 문명을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도 정보 산업 사회 생활에 적응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술교과는 현대 기술 문명을 이해시키는데 필수 불가결한 교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참고 자료

권혁수. (2003) 중등기술 교과교육에서 체험활동 중심의 생산기술 교육과정 개발.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 수학, 과학, 기술․가정. 서울: 저자.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서울: 교육과학사.

두산 백과사전. (2007). 구조와 구조화의 개념. Retrieved January 2006 from http://www.encyber.com.

류창열. (2000). 기술교육원론.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부.

이무근. (2005).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배영사.

이상갑. (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박사 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상봉. (2001). 지식기반사회에 대처하는 기술 교육의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기술교육학회, 1(1), pp. 15-29.

장수웅. (2002).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미간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청원.

최유현. (1997). 실과교육연구. 서울: 형설출판사.

ITEA. (200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DeVore, P. W. (1980). Technology: An Introduction. Worcester, MA: Davis.

James, W. K. (1990).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Technology Teacher, 49(2), pp. 29-30

Pahl, G., Beitz, W. (1996). Engineering design. (Ken Wallace, Lucienne Blessing, and Frank Bauert Trans.). New York: springer.
*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기술교육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방안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