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통합검색(554)
  • 리포트(507)
  • 방송통신대(27)
  • 시험자료(17)
  • 논문(2)
  • 자기소개서(1)

"동재 서재" 검색결과 81-100 / 554건

  • 한글파일 향교 분석자료 : 과천향교
    기존의 동재서재는 앞마당에 있었다고 생각한다. 과천향교는그림 8 명륜당 뒷마당. 향교직원이 동재, 서재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 뒷마당의 땅이 조금 더 크고 2채의 건물(동재, 서재)가 들어가기에 어울리는 듯 한 모양새 이지만, 앞마당에도 충분히 2채의 동재, 서재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이다. ... 동재서재, 동무와 서무의 부재 그림 3 과천향교 배치도 (손도면)향교의 대부분은 전학후묘의 배치로 되어있다. 외삼문을 지나면 양쪽으로 동재, 서재가 있고 뒤에 명륜당이 있다.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3.11.17
  • 파워포인트파일 한국건축론 - 가치있는 향교 (강릉향교)
    서재 서재 - 동재 평면도 동재 전경 서재 전경 동서재는 정면 5 칸 , 측면 2 칸 규모의 방형 평면의 건물이다 . ... 동재 서재 서재 내부 6 . 입면구성 6 -1. 대성 전 대성전 정면도 대성전의 벽체는 전체적으로 화방벽이 아닌 회사벽 형식으로 마감하였다 . ... 동재는 양반들이 서재는 평민이나 서민들이 이용했던 곳이다 . 4-3. 재방 재방은 정면 3 칸 , 측면 1 칸에 전면 툇마루가 부설된 규모이다 . 초석을 덤벙주초이다 .
    리포트 | 1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7.12.11 | 수정일 2018.02.22
  • 파워포인트파일 한국건축사 - 유교건축 (향교와 서원)
    동재서재 : 유생들이 숙식과 독서를 하는 장소로서 상급의 유생은 동재를 , 아래의 유생은 서재를 사용하였다 . ... 재사 : 학생들을 수용하는 재사는 강당의 전면 동서쪽에 두고 동재서재로 구분한다 . 전사창 , 고직사 , 창고 류 등의 건물은 사묘와 강당 공간 외부에 배치되었다 . ... 제향 기능 : 대성전과 동무 , 서무 교육 기능 : 명륜당과 동재 , 서재 제향 기능의 공간 대성전 : 공자의 위패와 중국의 4 성 , 우리나라의 18 현 등을 모시고 제향을 거행하는
    리포트 | 3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6.12
  • 한글파일 문화유적답사 (서원)
    이 중정당을 중심으로 안마당 아래쪽으로 동재서재 두 기숙사를 두고 뒤편 위쪽으로 사당이 있다. 3.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8.10.08 | 수정일 2020.02.26
  • 파워포인트파일 성균관의 건축양식과 역사
    반교를 지나 신문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대성전 , 동무 , 서무가 있고 , 대성전 뒤에는 명륜당 , 동재 , 서재가 있다 . ... 2009 아시아 건축 기행 성균관 [ 成均館 ] 01 성균관 위치 및 역사 02 성균관의 구성 03 명륜당 건축물 양식 04 동재 · 서재 건축물 양식 성균관 [ 成均館 ] 성균관 ... 동재 · 서재 건축물 양식 04 04 동서재 건축물 양식 04 동서재 건축물 양식 출처 05 출처 이상해 「궁궐 · 유교 건축」 p 149~199 윤장섭 「한국의 건축」 p 528~
    리포트 | 2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01
  • 파워포인트파일 대구 향교의 활성화 방안
    대구향교동재 , 서재 대성전과 낙육재 . 명륜당을 이어주는 작은문이다 . 명륜당 서재 동재 대구향교 양사재 매년 봄가을에 본 향내에서 유생들을 선발하여 기숙강학한곳이다 . ... 7 동재 8 양사재 9 낙육재 10 부속실 3x3 칸 / 다포계 내외 2 출목 / 겹처마 맺배지붕 / 5 량가 ( 어칸 ) / 전돌 / 연등천장 / 주고 3110 / 주칸 4100 ... / 낙육재 / 양사재 / 유림회관 / 공자상 등 특기사항 현재 터가 사찰터였을 가능성이 있음 향교 조사 기록 대구향교 배치도 1 대성전 2 서무 3 동무 4 내삼문 5 명륜당 6 서재
    리포트 | 3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8.01.18
  • 파워포인트파일 병산서원 건축 분석자료
    동선의 흐름에 따른 4 체계 분석 입교당 영역 구 조 시 스 템 입교당에서의 시야 동재서재의 빈 공간과 닫힌 공간을 조절 하여 만대루로 향한 시선을 더욱 강조 동재서재의 기둥과 ... 서재와 연결될 수 있음 동선의 흐름에 따른 4 체계 분석 입교당 영역 구 조 시 스 템 축의 틀어짐과 공간의 여백을 이용한 동선유도 동재서재와 달리 87 도를 약간 틀어줌으로서 ... 영역구성 ( 축 ) 구 조 시 스 템 Main 공간 진입공간 만대루 입교당 / 동재 / 서재 장판각 사당 Surve 공간 주소 전사청 축 으로써 공간의 방향 이 다르게 형성 병 산
    리포트 | 2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5.11.06
  • 한글파일 한국건축사 - 조선시대 서원건축: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강당 대청에 앉아 누각이나 대문을 볼 때 왼쪽을 동재, 럼에도 불구하고 동재서재보다 우선하게 되는데, 상급생들이 동재를 사용하고 하급생들이 서재를 사용하게 된다. ... 전교당 양쪽으로는 유생들이 기거하는 숙소인 동재서재가 대칭으로 있다. ... 동재서재 : 강당의 앞이나 뒤쪽 좌우에는 유생들의 기숙사에 해당하는 2개의 재실을 놓는다.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6.11.04 | 수정일 2016.11.08
  • 한글파일 광주향교 나주향교 비교분석
    이후 1959년 동재·서재를 중건, 1980년 명륜당과 동·서익당 보수, 1981년 담장 개축, 대성전과 동재·서재 보수하여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 ,서재,외삼문 대성전,동무,서무,내삼문,명륜당,동재,서재,외삼문,양사재 건물규모 외삼문(4평),동재(11.5평),서재(11.5평),명륜당(57.5평),내삼문(5.2평),대성전(48.9평 ... 동재서재는 교생들이 기숙사면서 공부를 하는 곳인데 동재는 "동쪽에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양반의 자제들이 기숙사로 사용했던 곳이며 서재는 "서쪽에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평민의
    리포트 | 13페이지 | 10,000원 | 등록일 2015.06.07
  • 한글파일 조선시대의 학교를 찾아서 인제향교, 음성향교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동재, 서재, 명륜당, 내삼문 등이 있다. ... 제향 공간인 대성전과 교육 공간인 명륜당 사이에는 내삼문과 담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명륜당을 중심으로 동재서재를 두었다. ... 내삼문을 중심으로 전면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고, 후면에 문묘(文廟) 공간인 대성전이 배치되어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구조로 되어 있다.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5.30
  • 한글파일 한국건축사
    다음 명륜당은 익공양식이 주류를 이루고 동재서재는 익공양식과 민도릿집양식으로 서원과는 다르게 화려하게 건축된다. ... 명륜당앞에는 동재서재의 기숙사가있고 대성전의 앞에는 동부와 서부로 사당의 개념있다. 동부에서 조선의 학자들이 모셔져있어서 배움의 길을 따르길원하는 의미가 담겨져있다.
    리포트 | 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8.10.03
  • 한글파일 조선시대의 학교를 찾아서 인천향교, 부평향교
    동재서재는 정면 4칸·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동재·서재·내삼문 등이 있으며, 향교의 배치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구조를 따르고 있다. ...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문인 내삼문을 중심으로 전면의 낮은 곳에 강학(講學) 공간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가 있고, 후면의 높은 곳에는 문묘(文廟)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5.30
  • 한글파일 광주향교 분석
    광주향교의 강학공간(왼쪽부터 명륜당, 서재, 동재) 광주향교의 동재 평면도(9.8평) 광주향교의 서재 평면도(12.3평) 광주향교의 명륜당 광주향교의 명륜당 평면도(37.6평) 문묘공간 ... 명륜당은 교수, 교도관 또는 훈도 등이 거처하면서 강학하는 곳이고 동재서재는 교생들이 기숙사면서 공부를 하는 곳인데 동재는 "동쪽에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양반의 자제들이 기숙사로 ... 광주향교의 배치도(전학후묘형식, 굴절형) - 향교의 영역별 공간 강학공간 : 강학공간은 지식을 습득하는 장소로서 명륜당과 동재, 서재로 구성된다.
    리포트 | 9페이지 | 10,000원 | 등록일 2015.06.07 | 수정일 2016.07.20
  • 파워포인트파일 도산서원 방문기, 퇴계 이황의 생애, 사상과 저서, 도산서원 생전건물과 생후건물 방문 및 사진자료,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
    진도문 시계바늘방향 문양의 문 산 사람이 기거하고 있다는 뜻 도산서원 학생들의 공부하는 공간 정료대 지금의 가로등 나무에 불을 붙여 돌기둥 위에 놔두면 환하게 됨 동재서재 동재( ... 박약재) 학문을 넓히고 예를 지키라 서재(홍의재) 넓고 의연한 마음을 가자 장판각 서원에서 찍어낸 각종 목판을 보관하고 있는 곳 상덕사 퇴계선생과 월천조목선생을 모시고 있음 천*지*
    리포트 | 4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7.05.15
  • 한글파일 조선시대의 학교 익산향교, 임피향교
    정면 3칸으로 된 외삼문을 지나면 각각 3칸으로 이루어진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가 있다. ... 그 후 수차례의 중수와 보수를 거쳐 오다가 1976년에 서재를 보수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동재·서재 등이 있다. ...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외삼문(外三門), 내삼문(內三門), 흥학당 등이 있다.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5.30
  • 한글파일 조선시대의 학교를 찾아서 남포향교, 태안향교
    명륜당의 좌·우측에는 유생들이 기거하던 기숙사인 동재서재가 있는데, 동재는 정면 5칸·측면 2칸 규모이고, 서재는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되어 있다. ... 이후 수차례의 중수와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재(東齋)·서재(西齋)·동무(東舞)·서무(西舞)·제기고(祭器庫) ... 향교의 배치는 내삼문(內三門)을 중심으로 하여 전면에는 강학 공간인 명륜당, 동재·서재 등이 있고, 후면에는 문묘(文廟)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는 향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5.30
  • 한글파일 충북 음성군의 문화유산(11가지)
    특히 동재·서재가 다른 곳과는 달리 명륜당의 뒤쪽에 있는 것이 특이한데, 이것은 도로공사로 인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동재·서재·명륜당 등이 있다. 건물은 내삼문을 경계로 앞쪽에는 학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을 중심으로 배움의 공간을 두고 있다.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8.07.11
  • 한글파일 파주의 역사문화유산 이야기, 파주향교, 교하향교
    파주향교는 현재 서재가세월의 흐름에 사라져 버렸기에 동재와 명륜당, 대성전만이 자리하고 있다. ... 또, 파주향교도 마찬가지이지만 명륜당과 동재, 서재의 담장이 이어져 있어 마치 하나의 건물을 보는 것 같다는 것이다. ...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사이로 좌우에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 서재가 있고, 뒤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동무, 서무가 있는 배치양식이다.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4.16
  • 파워포인트파일 병산서원
    즉 각각의 영역을 동재 서재와 연결될 수 있다. ... 기둥을 양쪽에 추가 함으로써 공간을 한정지어 주고 시선이 옆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PAGE:23 병산서원 분석 23 입교당 동재서재와 달리 87도를 약간 틀어줌으로서 다음 ... 진입할때 동재가 틀어짐으로써 시야적으로 동재가 눈에 들어 오는 것을 방지해 준다. ..PAGE:24 병산서원 분석 24 장판각 장판각의 위치가 입교당 뒤편의 약간 서쪽으로 치우쳐 있으므로써
    리포트 | 2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6.11.05 | 수정일 2016.11.27
  • 한글파일 조선시대의 학교를 찾아서 남양향교, 통진향교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홍살문·내삼문 등이 있다. ... 명륜당의 좌·우에는 학생들의 기숙사인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자리하고 있다. ... 건물 배치는 향교의 전형적인 배치 방식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법칙을 따르고 있는데, 바로 앞쪽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과 기숙사인 서재가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둔 것이다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5.30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