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통합검색(50)
  • 리포트(47)
  • 시험자료(3)

"이영보래" 검색결과 1-20 / 50건

  • 한글파일 한국어음운론
    범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위와 같이 16자인 것은 자음체계 중, 당시 현실성이 없는 한자음 표기 즉 이영보래(以影補來)에 쓰이던‘ㆆ’이 빠져
    리포트 | 4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3.12.01
  • 한글파일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초종성통용8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초성독용8자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위의 자음 체계에서 16자로 실려 있는 이유는 이영보래(以影補來)에 쓰이던 ‘ㆆ’이 빠져 있다.
    리포트 | 3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0.11.26
  • 한글파일 삼강행실도 효자편 누백포호(루백포호) 형태소 분석
    만ㅎㆍ야: 만ㅎㆍ-(만ㅎㆍ다) + -야 ㄴㅜㅧ므리: ㄴㅜㅧ믈(눈+-ㅅ(관형격조사)+믈) + -이 다ㅇㆍㄽ: 다ㅇㆍ-(다ㅇㆍ다: 다하다) + -ㄽ(관형사형 어미의 명사적 용법 ㄹ + ㅅ이영보래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10.23
  • 한글파일 훈민정음,동국정운 그리고 한글창제반대상소에 대하여
    동국정운 서문 (1) 동국정운과 훈민정음 (2) 동국정운 서문에서 증언한 15세기 한자음 (3) 동국정운 편찬과정에서 바로 잡으려고 한 것 (4) 이영보래 ㄴ.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5.09
  • 한글파일 국어사 레포트
    표기법 : ① 초성표기( ㄲ/ㄸ/ㅃ/ㅆ/ㅉ/ㅎㅎ/영모/반치음 등 된소리를 초성에 표기 가능) ② 초 중 종성을 모두 갖춘 삼성체계 ( 종성없는 한자음에도 ㅇ, 순경음 등을 표기) ③ 이영보래
    시험자료 | 1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6.08.27
  • 한글파일 2010년도 문법
    이미 굳어져 그것을 고칠 경우에는 언어 생활에 혼란을 줄 우려가 있다고 생각되는 조 ‘ㆆ’으로 표시해주는 것을 ‘이영보래’라고 함 ⑤한자음과 한글을 섞어 쓸 때 우리나라 자모로 보충했음
    리포트 | 2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06.20
  • 한글파일 한국어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할인자료
    자음 16자는 ㆆ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고, 17자는 이영보래라 하여 ㆆ를 인정하고 이를 ㄹ에 덧붙여 [ㄹㆆ]으로 입성을 표기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리포트 | 5페이지 | 5,500원 (5%↓) 5225원 | 등록일 2018.05.08 | 수정일 2019.05.16
  • 한글파일 [고전문법][음운론]소실음운에 대하여 (고전문법)
    이영보래(以影補來) ㉠ ‘影?’자의 초성‘ㆆ’로 ‘來?’ ... ④ 이영보래(以影補來) : ‘ㄹ’종성을 가진 모든 한자의 중국음은 ‘ㄷ’이었기 ?? 문에 ‘ㄹ’뒤에‘ㆆ’을 더하여 ‘ㄷ’발음을 표시한 것.(입성부호) 예) 日?, 月?k, 成?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8.10 | 수정일 2016.12.20
  • 한글파일 (학교문법) 의미론, 이야기, 국어사, 규범론, 문화
    이영보래(以影補來) : ‘ㄹ’종성을 가진 모든 한자의 중국음은 ‘ㄷ’이었기 때문에 ‘ㄹ’뒤에‘ㆆ’을 더하여 ‘ㄷ’발음을 표시한 것.
    리포트 | 2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7.02.21
  • 한글파일 한글맞춤법의 역사
    ‘戇’은 음절말의 유성적 환경에서 ‘○이, 款아, ○蝎니, ○具니’ 등과 같이 쓰이기도 하였으나 이는 ‘ㅅ’과 수의적으로 표기된 경우이고, ‘ㆆ’은 ≪동국정운≫의 이영보래(以影補來)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6.10
  • 한글파일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
    ‘ㅇ’은 한자 표기에서 형식을 맞추는 기능을 지니고 있었고 ‘ㆆ’은 이영보래와 동국정운식 교정음의 영모의 역할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 (이영보래) 그런데 이것도 앞에서 말한 바 소위 교정음이다. 그 당시의 /ㄹ/끝소리가 오늘날의 /ㄹ/끝소리와 달라서, 특히 그 목청 울림을 ?리 끊어 버려서 입성답게 ? ... 기능으로는 관형사형 어미 ‘-ㄹ’아래 쓰여 뒤의 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게 하는 기능, 사잇소리의 기능, 동국정운식 교정음으로서 영모에 해당하는 기능, ‘ㄹ’에 입성의 효과를 주기 위한 이영보래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6.05
  • 한글파일 [국문학]중세어문법
    이 것을 ‘이영보래’ 라고 한다우리의 현실적 한자음 중 ‘ㄹ'로 발음되는 말들은 중국에서는 모두 ‘ㄷ’으로 발음되는 소리다.중국의 발음인 입성과 가깝게 하기 위하여 이런 표기를 했다
    리포트 | 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04.10.01
  • 한글파일 월인석보에 관한 부분해석
    이영보래 : '影'의 'ㆆ'으로써 '來'의 'ㄹ'을 보충하여 'ㅭ'을 만들어 원래 한자음의 입성인 'ㄷ'종성이 'ㄹ'로 이완된 것을 다시 입성으로 복귀시키려는 일종의 절충안 ⑵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1.09 | 수정일 2020.12.01
  • 한글파일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에 대하여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고 설명해 놓은 글자로, 동국정운식 교정음으로서 ‘영모’, ‘ㄹ’에 입성의 효과를 주기위한 ‘이영보래’, 사잇소리 표기, 관형사형 어미 ‘-ㄹ’에 붙어 ... (용자례에서는 ‘고유어’를 예로 들었기 때문) (2) 'ㄹ'에 입성의 효과를 주기위한 이영보래의 표기 「훈민정음 - 종성해」 “如入聲之?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고영근(2008),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경기도 파주시 : 집문당 허웅(2005), 국어 음운학, 충북 충주시 : 샘문화사 ) 종성 ‘ㄹ’인 한자음은 이른바 ‘이영보래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07
  • 한글파일 여린히읗의 변화
    그래서 그들은 이 완이한 ‘ㄹ’음에 입성다운 촉급감을 부여 하기 위하여 “이영보래”( )하게 된 것이다. 不?, 八?, 日?, 發?, 一?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0.25
  • 한글파일 [중세국어강독]석보상절 해석
    (이영보래) ?이영보래: 현실음이 ‘ㄹ’로 끝나는 한자의 경우 ‘ㆆ’을 보충하여 ‘ㄹㆆ’로 적어 입성임을 표시함 ? ... (이영보래) ?그?: 그(지시대명사) + 때 ?文문殊쓩師?利링 문수사리 + zero주격 世?솅尊존??:???샤??부?일?훔?과本:본來?ㅅ?큰願??? ... (이때 ‘ㅇ,ㅱ’ 은 음가가 없음) →이영보래(以影補來) : 현실음이 ‘ㄹ'로 끝나는 한자의 경우 ‘ㆆ’을 보충하여 ‘ ’로 적어 입성임을 표시함 예: 月?, 日? ?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5.02.23
  • 한글파일 『훈민정음』해제
    牙(아) 舌(설) 脣(순) 齒(치) 喉(후) 緩(완) ㆁ ㄴ ㅁ ㅿ ㅇ 急(급) ㄱ ㄷ ㅂ ㅅ ㆆ *이영보래(以影補來)- 한자의 ㄹ받침은 종성해 끝에서는 입성되지 못하니까 ㆆ으로 돕게하여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1.10 | 수정일 2016.08.02
  • 한글파일 감각국어 이론편 정리노트
    순경음비읍 이영보래 ? ㄹㅎ 받침 음운현상 (1) 모음조화 (2) 구개음화 ㄷ,ㅌ -> ㅈ 원순모음화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1.15 | 수정일 2020.01.07
  • 한글파일 [한글] 옛소리 추정
    (이영보래) 不(뵨) 八(밑) 그런데 이것도 교정음이다.
    리포트 | 8페이지 | 6,000원 | 등록일 2003.05.05
  • 한글파일 월인석보 해석과, 국어학적 고찰 (권 7권을 중심으로). 중세국어의 모습.
    ·이영보래(입성ㄷ발음표시): 한자어 ㄹ 뒤 (發?) ·관형사형 어미: 고유어 용언의 관형사형 ‘ㄹ’ 뒤 (?놈: ‘-ㅭ’전체가된다. ... (이영보래: ‘影’의 ‘ㆆ’으로써 ‘來’의 ‘ㄹ’을 보충하여 ‘ㅭ’을 만들어 원래 한자음의 입성인 ‘ㄷ’종성이 ‘ㄹ’로 이완된 것을 다시 입성으 로 복귀시키려는 일종의 절충안이다.)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11.09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