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통합검색(44)
  • 리포트(41)
  • 논문(3)

"입성운미" 검색결과 1-20 / 44건

  • 파일확장자 樟樹(清江)방언의 入聲 운미에 관한 연구 - 辨字摘要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박규정
    논문 | 19페이지 | 5,400원 | 등록일 2024.01.29
  • 한글파일 [국어사개설] 5. 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블) 예외) 花曰骨(곶) ③ 진내입성자: 운미 *p → 본래의 운미 보존 예) 七曰一急(닐굽) 口曰邑(입) ④ 송대 북방음(개봉음) 반영 - 입성 운미는 당, 오대에 약화되어 14세기 ... ② 설내입성자: 운미 *t → 대부분 ‘ㄹ’ 예) 火曰? ... 의 의미가 ‘犬’과 통함. 3) 입성자의 표기 ① 후내입성자 - 운미 *k → ‘ㄱ’ 예) 蚤曰批勒(조왈비륵) - 15세기 벼룩 - 운미 *h → ‘ㅎ’ 예) 尺曰作(척왈작) - ?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12.20
  • 한글파일 [국어사개설] 4. 고대 국어 - 요약 정리
    예) 勿 믈[水], 乙 을[향찰의 대격 조사] ② 후내 입성운미: *k>? ... 북방 방언에서는 이미 입성운미가 [r]로 약화되어 있었고 이것이 동음에 반영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함. ... ① 설내 입성운미: 중국 상고음/중고음 *t>ㄹ ⇒ 치조음 - 국어 음운사의 관점에서는 이 운미가 본래 [*t]로 유입되어 ‘ㄹ’로 변했다고 보기 어려움. - 중국에서 당대 이전에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12.20
  • 한글파일 국어사개론 제6장 전기 중세국어 요약문
    입성 운미가 약화되고 있던 때 3-1) 운미가 *k였던 후내 입성자 - 운미가 ‘ㄱ’으로 나타나는 경우 (ex1) 蚤曰批勒(조왈비륵) → ‘15세기 벼룩’ (ex2) 低曰? ... 순내 입성자 - 본래의 운미가 보존된 경우 (ex1) 七曰一急(칠왈일급) → ‘닐굽’ (ex2) 口曰邑(구왈읍) → ‘입’ 3.2. ... 贅 - 운미가 소실된 경우 (ex) 射曰活索(사왈활색) → ‘활소-’(화왈패) → ‘블’ (ex2) 馬曰末(마왈말) → ‘ㅁㆍㄹ’ - 운미가 ‘ㄹ’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 (ex1)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04.28
  • 한글파일 현대 국어에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의 실태와 유형
    장애음의 경우 음절말 미파로 인해 긴장{tension}이 생기며, 한자어 ㄹ말음의 경우 중국 한자음의 입성운미 자질에 의해 긴장을 수반한다. 말실수는 긴장의 분절음을 조성한다.
    리포트 | 3페이지 | 7,000원 | 등록일 2023.03.12
  • 파일확장자 한자음 -l 운미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중국문화학회 주재진
    논문 | 17페이지 | 4,600원 | 등록일 2015.03.24 | 수정일 2017.02.01
  • 한글파일 김동소 고대한국어 정리 2장
    운미음)과 우리의 전통 한자음 및 사용된 한자의 의미를 살펴볼 때 그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 海曰 海, 江曰 江, 泉曰 泉, 果曰 果, 吏曰 主事, 兵曰 軍, 僧曰 福田, 遊子曰 浮浪人, 心曰 心, 豆曰 太, 劍曰 長刀 등 이렇게 말하는 근거는 당시 중국 한자음(특히 입성 ... 손목이 고려 어휘 표음에 사용한 한자에서 운미음이 부정확하며, 낱말의 의미와 서로 통하는 한자를 써서 고려 어휘를 표기하고 있는 것들이 많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이다.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6.10.19
  • 한글파일 [국어사] 전기, 후기 중세국어
    후내입성운미 k, 설내입성자들 t, 순내입성자들 p 등 입성자들의喚向怠보濚弱疵??캭별幸昰潔耽炸態諍舛〉돐瑛?
    리포트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12.23
  • 한글파일 [음절구조][한국어][고대국어][한국어][음절]음절구조와 최적성이론, 음절구조와 고대국어, 음절구조와 한국어, 음절구조와 중국어, 음절구조와 일본어, 음절구조와 불어(프랑스어)
    만일 고대국어가 개음절구조였다면, 외래어 차용이 자국어의 음운구조나 문법구조에 맞게 조정되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입성 운미를 가진 한자음의 상당수가 입성 운미가 탈락되거나 ... 원대(14세기 이전)에 이르러 입성 운미가 소멸되는 변화를 겪었지만, 국어의 한자음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발달을 하였다.
    리포트 | 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3.03.29
  • 한글파일 제1장 중국어와 한국어
    +표1 유형학적 기준 OC (상고중국어) MM (현대중국어) Mik (중세한국어) MoK (현대한국어) 입성운미 + - + + 성조 ? ... 중국어의 음절구조를 (자음),(개음),동사,(운미)로 볼 때 중국어의 음절구조를 운미=동사/자음 으로 표기될 수 있다. 운미가 될수 있는 모음과 자음은 매우 제한되어있다. ... 모음[i,u]와 자음[n,ŋ]만 운미가 될 수 있다. (* 累,六,?) 老,?,?등 음절의 운미는 정확히 말해서 후설 고저모음[?]이다. 花?,杯?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6.04
  • 한글파일 국어사개설 <이기문> 한글 요약본, 시험대비 요약본 <깔끔정리>
    특히 그중 설내 입성 운미(중국 중고음 *t)가 ‘ㄹ’로 나타나는 사실이 현저하다. 勿 믈, 乙을 등이 예로 들 수 있다. ... 중국에서 당대 이전에 이미 설내 입성 운미가 [r]로 약화된 분방 방언존재가 확인 된바 있으므로 이것이 동음에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 중국 북방 언어에서의 후내 입성 운미 [*k]의 [g]>[?]의 약화되었음이 확인된 바 있다. 이러한 약화를 반영하는 일부 차용어가 존재한다. 즉 중세국어의 ?鐸?俗), ‘?’
    리포트 | 3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1.14
  • 한글파일 제5장 고대국어
    동음의 가장 큰 특징은 입성 운미인데 그 중에서 현저한 것은 실내 입성 운미(t)가 'ㄹ'로 나타나는 사실이다. 예: 勿 (믈) 그, 是(-이); 속격 矣, 衣(-의/?)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6.19 | 수정일 2020.05.13
  • 한글파일 중세국어-훈민정음의 17 초성체계와 15세기 및 현대의 자음
    ㄹ로는 중국어의 입성을 발음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 이유였는데 이미 당시는 중국 한자음의 입성 운미 '-p, -t, -k' 가운데 '-t(ㄷ)' 가 우리나라에 와, 父뿡母? ... 즉 한자어의 경우 현실에서 ㄹ에 해당하는 발음이 있더라도 ㄹ로 발음하면 중국의 성조와 관련된 입성의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제약을 둔 것이다.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5.01
  • 한글파일 국어사 한자음 요약
    -중국 북방 언어에서는 喉內 입성 운미 [*k]도 [g]>[r]로 약화 됨. 동음에 이 운미는 규칙적으로 ‘ㄱ’으로 나타나지만 이러한 약화를 반영하는 일부 차용어 존재, ?? ... 운미가 [r]로 약화된 북방 방언이 존재, 이것이 동음에 반영 됨. ... 지명표기에서 ‘勿’를 ‘믈(水’), 향가에서 대격어미로 ‘乙’자를 사용한 사실 등은 이 특징이 신라시대에 소급함을 명시 -舌內 入聲 韻尾(*t)은 중국에서 唐代 이전에 이미 설내 입성
    리포트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05.14
  • 한글파일 고대한어의 단어와 기초지식
    )+성조 (성모)+(개음)+주요원음+(운미)+성조 4. ... 去, 入의 四聲 평성 - 음평(무성음 성모자) 양평(유성음 성모자) 상성 - 상성 (무성음 성모나 유음 또는 비음 성모자) 거성 (유성 파열음이나 마찰음 성모자) 거성 - 거성 입성 ... 같은 곤충이나 작은 동물 명칭) ② 雙聲 관계; 동일한 성모 ③ 疊韻 관계; 동일한 운모(반드시 주요원음과 운미가 같음) ④ 고유명사; 인명, 지명, 국명, 족명 및 다음절 외래어.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1.13
  • 한글파일 국어 유음의 특징, 국어 유음의 배경, 국어 유음의 유음화, 국어 유음의 차용, 국어 유음탈락의 개념, 국어 유음탈락의 배경 분석(유음, 국어 유음, 국어, 유음화, 유음의 차용, 유음탈락)
    한어에서 운모는 음절말음에 따라서 입성, 양성, 음성으로 나누어지는데, 입성운미가 [k],[p],[t]로 난 것이며, 양성은 [?],[m],[n], 개음절의 경우는 음성이다. ... 한어의 입성 말음이 [voice]를 갖게 되면서, 이미 [nasal]이 있는 운미는 [+voice]/[-voice]의 변별체계가 유성구강음과 유성비음으로 달라지게 된다. ... 이로 미루어 고대의 한어 운미가 가진 유성성과 무성성의 차이는 [nasal]의 유무로 나눠짐을 알 수 있다.
    리포트 | 18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10.11.08
  • 워드파일 중원음운과 근대음 고찰
    운모체계의 특징적인 것은 입성의 완전한 소실과 양순비음 운미 [m]가 존재했지만, 성모와 운미가 모두 양순음이면 [n]으로 바뀌는 이화작용을 했다는 점이다. ... 원래 순음 성모이면서 운미가 [m]이었던 음절이 에서는 이미 ‘眞文, 寒山’운 등 운미가 [n] 혹은 [ŋ]으로 변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변화는 일종의 이화 ... 그 변한 규율은 전탁성모인 입성자는 양평으로, 차탁성모인 입성자는 거성으로 변하였으며, 기타 전청과 차청 성모인 입성자는 모두 상성으로 변하였다.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7.29
  • 한글파일 국어 한자음 동음의 특징
    입성운미는 [ㄱ, ㄷ, ㅂ]이었다. ... 그런데 전통동음에서는 [ㄷ]운미는 [ㄹ]로 변해서 느린 소리가 되어 입성의 자질을 잃어 버렸다. 이와 같은 전통동음은 한음의 성운학 체계에 맞지 않는 것이다. ... 그 이유는, 한자음은 홑음절로 되어 있으므로 탁음이 있으나, 우리말의 어두음에 탁음이 없어서 글자소리에는 탁음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ⅳ)를 보면, 설내 입성 운미 [ㄷ]이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6.09
  • 한글파일 홍콩영화를 통해 본 북경어와 광동어의 언어학적 비교 분석
    입성은 다만 -b, -d, -g의 운미를 가진 입성운모에만 나타난다.7) 성조 표기도 북경어는 운모(모음) 위에 평음, 상승, 하강상승, 하강의 모양을 표기하는 반면, 광동어는 오른쪽 ... 입성운모의 음절에는 3개의 성조가 있는데, 소리가 짧고 급해 입성이라고 불리운다. 입성은 고/중/저의 3종류로 나뉜다. ... 북경어에는 모두 4개의 성조, 즉 평음(제1성), 상승(제2성), 하강상승(제3성), 하강(제4성)이 있다.6) 광동어에는 모두 9개의 성조가 있는데, 그중 모음과 비음운미로 구성된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2.05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