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1년 춘계학술대회 결과보고
  2. ‘버섯사랑기금’ 모금운동에 동참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3. (사)한국버섯학회 제2차 이사회 및 운영위원회 회의록
  4. 버섯 생산과 소비 방향
  5. 버섯 병재배 배지재료의 특성 및 배지의 안전제조
  6. (사)한국버섯학회 추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순서
  7. 브라질의 버섯연구 및 산업 현황
  8. (사)한국버섯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순서
  9. 제 6회 동아시아버섯학회
  10. ‘버섯사랑기금’ 모금운동에 동참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11. (사)한국버섯학회 이사회 회의록
  12. (사)한국버섯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순서
  13. 한국버섯학회 소식
  14. 표고 산조702호 품종육성 및 톱밥재배 실제
  15. 재배환경에 따른 팽이버섯의 품질과 생산성
  16. 양송이 폐배지를 이용한 퇴비화 기술
  17. 복령(Wolfiporia cocos)의 새로운 인공재배법에 대한 고찰
  18. 잣버섯 재배에 적합한 액체종균 제조 및 재배기술
  19. 한국버섯 세계의 식탁으로 한국의 버섯 품평회 및 심포지엄 개최
  20. ‘버섯사랑기금’ 모금운동에 동참하여주시기를 바랍니다
  21. 회의록
  22. 버섯류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품화 방안
  23.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개발
  24. 버섯 재배사 에너지 절감 방안
  25. 중국 연변의 목이버섯 산업 현황과 전망
  26. 꽃송이버섯 실용재배법 및 상업적 활용 방안
  27. (사)한국버섯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순서
  28. 2007년 학술대회 결과요약(사업간사) 외
  29. 제4회 국제약용버섯학술회의(4th International Medicinal Mushroom Conference ; IMMC4) 참가보고
  30. ‘버섯사랑기금’ 모금운동에 동참하여주시기를 바랍니다
  31. 회의록
  32. (사)한국버섯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순서
  33. 국제버섯학술대회(홍보조직간사보고)
  34. 한국버섯학회 홈페이지 사용안내(홍보조직간사보고)
  35. 제4회 동아세아버섯학술대회 참가보고
  36. ‘버섯사랑기금’ 모금운동에 동참하여주시기를 바랍니다
  37. 국내 토종 팽이버섯의 유전체 염기서열해독 및 기능분석 연구
  38. 한국 버섯생산 현황 및 발전 방향
  39. 국내 버섯 생산 및 수출 전망
  40. 친환경 농자재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버섯파리(Mycophila sp, Cecidomyiidae) 방제
  41. 우리나라 표고 톱밥재배의 문제점과 대책
  42. 버섯의 영양적 가치와 생리활성
  43. 노루궁뎅이버섯의 계통학적 유연관계 및 생리적 특성
  44. 1월과 10월 중 표고톱밥재배사의 온-습도 관리: 사례연구
  45. 표고버섯 내의 수분함량과 삼투압 변동
  46. 표고 곡립종균의 균사활착 특성
  47. Antifung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sawdust organic extracts against Lentinus edodes
  48. The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Sawdust Extracts against Lentinus edodes
  49. 고온기 병재배 배지제조시 저온수 이용 효과
  50. Aspergillus oryzae의 aflatoxin 유사 생합성 유전자군 결손 균주의 유전적 구조 분석
  51. 중국 버섯생산 현황 및 발전전망
  52. 제5차 세계버섯생물학 및 버섯산물 학술회의 참가보고
  53. 제3회 동아세아 버섯학술회의 보고
  54. ‘버섯사랑기금’ 약정방법
  55. 회의록
  56. 느타리버섯 재배 환경 관리 기술
  57. Extracts from P inus densiflora and Fungal Growth of Lentinus edodes
  58. 토양수분과 기상인자가 참나무림내 능이의 초기 발생에 미치는 영향
  59. Cultivation of Lentinus edodes Using Softwood Sawdust
  60. 표고톱밥 재배사의 온- 습도 관리
  61. 표고원목재배사 내부의 온-습도, 이슬점 차이
  62. 새송이 재배를 위한 첨단 생육시설
  63.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주
  64. 버섯으로부터 심혈관 질환 관련 생리기능성 물질의 생산 및 특성
  65. 노루궁뎅이버섯 재배특성과 약리효능
  66. 국제환경변화와 농업·농촌의 생존전략
  67. 누에를 이용한 동충하초 인공재배법 개발
  68. 젖산균 및 버섯종균을 이용한 고기능성 버섯 동치미 개발
  69. 자연산 동충하초 품종의 액체배양 기술 개발
  70. 신선표고버섯의 저장을 위한 수확 후 관리기술
  71. 액체종균을 이용한 상황버섯과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제품화 연구
  72. 버섯생육에 미치는 고 활성칼슘의 효과
  73. 백강균 동충하초 개발
  74. 버섯재배사용 탄산가스측정기-비분산적외선법
  75. 꽃송이버섯 연구 및 산업화 현황
  76. 느타리버섯 품종 판별 및 오염 진균의 선속 검출 기술
  77. 친환경적 무농약 버섯의 재배를 위한 Bt 제제 개발
  78. 균사배양 최저화와 육종기반 구축 및 유용성분을 중심으로
  79. 느타리버섯 바이러스 진단 키트 개발 및 종균 생산
  80. 새송이버섯 한국고유 품종개발 “새송이 1호” 개발
  81. 진흙버섯 자실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
  82. 고혈압예방을 위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 물질함유버섯의 선별 및 ACE 저해물질의 특성
  83. 버섯에서 혈전분해효소 생산 및 유전자 크로닝
  84.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천연 CLA의 생산 및 이용
  85. 버섯균사체 액체배양을 이용한 고부가 천연 향료 생산
  86.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주
  87. 동충하초의 기능성과 산업적 이용
  88. 재미있는 버섯재배 필수 화학생리
  89. 한국의 토종버섯과 이용
  90. 제2차 세계약용버섯 학술회의 참가보고
  91. 한국의 버섯품종 보급현황 및 변경된 학명 사례
  92.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안정생산기술
  93. 양송이의 특성과 다수확 재배
  94. 느타리버섯 안전 균상 재배 (균상재배를 중심으로)
  95. rDNA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진흙버섯속의 계통발생학적인 분석과 신속동정
  96. 버섯 병 -원인과 대책-
  97. 한국의 동충하초
  98. 한국버섯의 현재와 미래
  99. 신품종 “녹각영지”,“백계먹물버섯” 특성
  100. 새 송이 버섯 재배 기술
  101. 버섯재배 공조환경 자동화 시설요인
  102. 버섯뜰농장
  103. 버섯재배 기계와 환경관리 기술
  104. 표고버섯의 수확 후 관리기술
  105. 버섯과 시설원예 환경관리 기술의 퓨전
  106. 표고 톱밥재배 현황 및 전망
  107. 버섯 재배사 환경관리
  108. 버섯 재배환경 설비 및 관리
  109. 재배환경과 배지발효
  110. 친환경 다목적 재배사 개발
  111. 방울솜 생산국 파키스탄 탐방기
  112. 방울솜 관련 자료
  113. 천마 시설 재배
  114. 새로운 표고버섯 재배기술(중국 · 비양)
  115. 병재배 버섯 생산 및 유통판매
  116. 버섯산업의 발전방향과 새송이버섯 재배기술
  117. 버섯재배관련 자동화 기술 소개
  118. 봉지 재배의 특성과 경영사례
  119. 여름철 느타리 재배관리 요령
  120. 왕겨를 이용한 버섯재배
  121. 균사 배양시 온도 관리 및 멀칭 재배 방법
  122. 오존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성공사례
  123. 표고를 중심으로 한 미래의 동양 버섯산업
  124. 꽃송이버섯 재배기술
  125. 팽이버섯 재배 후 발생한 폐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
  126. 버섯의 환경조건과 조절방법
  127. 성공적인 버섯농사의 필수요건
  128. 버섯의 발효생리와 배지 조제
  129. 재배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褐班病)과 미이라(mummy)병의 원인 및 방제
  130. 버섯 진균병의 원인 및 방제
  131. 방울솜을 이용한 양송이버섯 재배
  132. 국제 약용버섯 학술대회 안내
  133. 송이의 선선도 유지 및 포장기술과 수출전략
  134. 송이 증수 및 인공 재배 가능성
  135. 표고 재배 기술
  136. 표고 병충해 방제
  137. 양송이 병충해 방제
  138. 양송이재배 기술과 경영 - 한국 생양송이 시장방어 생존전략을 위하여 -
  139. 느타리버섯 재배 실패 사례
  140. 느타리버섯 효율적 병해 방제
  141. 느타리버섯류의 품종특성 해설 및 재배기술
  142. 한국의 종균산업 현황과 그 발전 방안
  143. 수확후 선도관리와 포장방법 개선
  144. 버섯배지제조와 발효 원리
  145. 제1회극동아세아버섯공동연구회 (The First Meeting of Far East Asia for Collaboration on Edible Fungi Research)를 다녀와서
  146. 일본버섯전문지 「特產情報」 주요내용
  147. 신령버섯의 생리와 자실체 생산
  148. 동충하초 재배
  149. 천마재배
  150. 진흙버섯(상품명:상황)의 톱밥 및 단목재배 기술
  151. 표고재배와 경영
  152. 표고 원목재배
  153. 표고 품종 특성
  154. 느타리 병 · 봉지 재배의 특성과 경영
  155. 느타리 푸른곰팡이병 특성과 방제
  156. 느타리버섯 비닐멀칭 재배기술과 세균성 갈변병 방제
  157. 버섯류의 영양성 및 항암성분
  158. 동충하초의 생리적 특성 및 자실체 생산
  159. 진흙버섯(상황)의 계통특성 및 자실체 생산
  160. 일본버섯전문지 「特產情報」 주요내용
  161. 양송이 재배
  162. 포토벨로(일명:큰양송이)의 재배현황 및 전망
  163. 신령버섯 특성과 재배기술
  164. 양송이 배지제조 및 균상관리기술
  165. 표고재배 병해충방제
  166. 표고 톱밥재배 시스템과 재배경영
  167. 표고버섯재배의 문제점과 대책
  168. 표고 성형종균 접종과 원목 재배기술
  169.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 방제
  170. 느타리버섯 상재재배 생력화 및 연중생산
  171. 느타리버섯 재배기술과 품종 특성
  172. 느타리버섯 생육환경과 기형버섯
  173. 인공재배 버섯 세균병의 원인 및 방제대책
  174. 식용 버섯을 이용한 버섯 요리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양요리를 중심으로 -
  175. 버섯자원 개발 현황 및 이용
  176. 지도사례를 통한 표고버섯 실전 재배기술
  177. 표고 톱밥재배기술
  178. 표고버섯 종균 및 시설재배 기술
  179. 표고버섯 골목 수종별 균사생장과 자실체 특성
  180. 액체종균을 이용한 팽이버섯 대량생산
  181.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신 재배작형 및 병해진단
  182. 팽이버섯 재배환경조절 및 병해방제
  183. 팽이버섯 액체종균 제조와 재배기술
  184. 느타리버섯 봉지 재배
  185. 느타리 버섯파리 예방과 방제
  186. 느타리버섯 주요 병해의 원인과 방제대책(세균성 갈반병 및 푸른곰팡이병을 중심으로)
  187. 느타리 균상재배의 배지 제조 산소공급 이론과 실제
  188. 버섯의 바이러스병과 그 방제대책
  189. 버섯 배지의 발효원리와 균사생장
  190. 종균과 버섯재배
  191. 느타리버섯 세균성 갈변병과 비닐멀칭 재배
  192. 느타리 상자재배
  193. 느타리버섯 신품종 특성 및 관리
  194. 표고버섯 원목재배기술
  195. 폐솜을 이용한 느타리 재배기술
  196. 느타리버섯 볏짚다발 재배기술
  197. 버섯에 관련된 일본의 특허
  198. 단경기 표고 시설재배 사례
  199. 표고의 품종해설 및 병충해방제
  200. 표고톱밥재배기술 및 재배시스템
  201. 표고 하우스 시설재배
  202. 팽이버섯 재배사의 효과적인 냉동 및 가습 설비
  203.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재배기술 및 병해진단
  204. 팽이버섯 재배기술과 병해방제
  205. 팽이 접종원의 퇴화방지와 접종원 제조
  206. 느타리버섯 재배 성공사례
  207. 버섯 병해의 종류와 예방 및 방제전략
  208. 한국의 식용버섯과 독버섯 <식용버섯편>
  209. 농민신문 기사모음(1998.8~1998.11)
  210. 느타리 균상재배와 병재배 방법의 특성비교
  211. 느타리버섯 안전생산 기술
  212. 느타리버섯의 병해충 관리
  213. 기형버섯의 발생 원인 및 대책
  214. 느타리버섯 품종 특성과 우량종균 선별
  215. 버섯 병해충 방제에 관한 외국의 사례
  216. 재배버섯 종류와 전망
  217. 한국의 버섯과학과 버섯산업
  218. 새로운 표고골목의 병해 (Arthrographis cuboidea)
  219. 버섯의 영양적 가치와 약리효과
  220. DNA다형성 분석에 의한 느타리버섯 품종 판별 방법
  221. 버섯의 영양적 가치와 약리효과
  222. 버섯의 신품종 육성 현황
  223. 느타리버섯의 영양학적 가치
  224. 인류생활과 버섯
  225. 신령버섯 재배기술
  226. 한국의 식용버섯과 독버섯
  227. 동충하초(冬蟲夏草)의 자실체 형성
  228. 각종 버섯관련 정보
  229. 느타리버섯의 품종과 재배상의 특성
  230. 팽이버섯 수확후배지 첨가가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 품질에 미치는 영향
  231. 느타리버섯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원균의 동정 및 병원학적 특성
  232. 큰느타리버섯 신품종 ‘새곤지’ 육성 및 특성
  233. 억새배지를 이용한 느타리 봉지재배
  234. 팽이버섯의 배지조성에 따른 균사 배양 및 자실체 수량 비교
  235. 느릅나무버섯 자실체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
  236. URP-PCR 분석에 의한 느타리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주의 핵 DNA 유전
  237. The culture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238. Varietal characteristics of new white button mushroom ‘Seolwon’ in Agaricus bisporus
  239.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Hericium erinaceu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
  240. 잣버섯의 일반성분 및 에르고스테롤, 향기성분
  241. 소비자 맞춤형 고품질 큰느타리버섯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
  242. 팽이버섯의 핵형분석과 균주 사이의 핵형 다양성
  243. 아위느타리 신품종 ‘비산2호’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244. 아위느타리 신품종 ‘비산1호’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245.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 생장 특성 및 계통간 교잡균주의 rDNA 분석
  246. 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원균(Pseudomonas tolaasii)의 독소 (tolaasin) 저해균 Pseudomonas sp. HC1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247. 장기 저장 후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균주의 균사 생존력과 재배 특성에 대한 연구
  248. 표고버섯의 배양적 특성 및 자실체 형성에 관한 연구
  249. 폐 한방슬러지를 이용한 팽이버섯의 배지개발
  250.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병재배시 분쇄 열매탈과팜이삭 (PEFB : Palm Empty Fruit Bunch)의 비트펄프 대체효과
  251. 알바시아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병재배용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252. Antioxidant, anti-acetylcholinesterase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from Phellinus igniarius
  253. 복령(Poria cocos) 재배기술의 변천과 실용화
  254. 큰느타리버섯 유통온도 및 갈변억제처리에 따른 품질 변화
  255. 포장재 산소투과도 및 포장량에 따른 큰느타리버섯 신선도 변화
  256. 유통 느타리버섯의 등급별 품질규격 및 저장기간별 품질 변화
  257. 기와층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258. 흰망태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259. 잣버섯의 영양 성분 및 생리 활성 분석
  260.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
  261. 잣버섯 신품종 『곤지10호』 특성
  262. 신품종 느타리버섯 ‘화성5호’의 특성
  263.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원목재배 기술 개발
  264. 원목 표고에서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한 버섯파리류의 생물학적 방제
  265.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LED 광파장이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266.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톱밥의 첨가량이 느타리버섯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267.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 생육실의 온도변화 및 자실체의 생육특성
  268. 버섯재배용 배지재료의 성분분석
  269. 국내 표고버섯 주요 버섯파리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및 발생양상
  270. The cultur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of Polyporus umbellatus
  271. Production of lactic acid by Lactobacillus paracasei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272. Characterization of Υ-Aminobutyric acid(GABA) produced by a lactic acid bacterium from button mushroom bed
  273. 버섯 국산품종 확대보급사업 추진경과
  274. 큰느타리버섯의 저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 개발
  275. 영지버섯 균주별 자실체의 베타글루칸과 폴리페놀 함량 비교 분석
  276. 한국형 백색 팽이버섯 ‘백아’ 육성경과 및 품종 특성
  277. 다발성 신품종 느타리 ‘다굴’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278. 장기저장성 신품종 느타리버섯『곤지7호』육성 및 특성
  279. 목이재배를 위한 배지선발 및 최적 접종조건
  280. 양송이버섯 품종별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른 품질변화
  281.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최적 생육습도 조건
  282.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strain ‘Yedang 3’ on various media and nutritional conditions
  283. Neuritogenic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Hericium erinaceus
  284. 영지버섯 균주별 균사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 비교 분석
  285. 영지버섯의 화학적 계통분류를 위한 HPLC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286.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287. 능이버섯의 면역 조절능
  288. 다양한 배지에서 느타리버섯 No. 42균주로부터 리그닌분해효소 생산
  289. PCR 다형성 분석에 의한 비늘버섯 속 계통의 유연관계 분석
  290. 천마버섯(Armillaria gallica) 자실체 조직배양체의 특성
  291.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염활성 효과
  292. 유통 양송이버섯의 등급별 품질규격 및 저장기간별 품질 변화
  293. 천마버섯(Armillaria gallica )의 생태학적 서식지 조사
  294. LED 조명처리가 꽃송이버섯의 균사배양에 미치는 효과
  295. 생육온도에 따른 잣버섯의 생육특성 구명
  296. 목이의 균사생육 특성에 관한 연구
  297. 신품종 표고버섯 ‘수향고’의 재배 특성
  298.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 )의 형태적 특성 및 교배에 관한 연구
  299.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염활성 효과
  300. 미생물과 개미산 첨가가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301.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사료적 가치
  302. 팽이버섯의 저장기간 및 품종별 자실체내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
  303. 느타리버섯 배지의 당첨가에 따른 자실체의 당성분함량 변화
  304. 영지버섯 균주별 자실체의 아미노산함량 비교 분석
  305. 영지버섯의 항산화 효능과 암세포 생장저해도
  306. 큰느타리버섯 포장형태에 따른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307. 1-Methylcyclopropene 처리와 미세천공필름 포장이 큰느타리버섯의 저장기간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308. 표고 톱밥재배에서 검정날개버섯파리 Lycoriella ingenua (Diptera: Sciaridae)의 피해와 생물적 방제
  309.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적정 배지량 및 발효톱밥 첨가효과
  310. 팽이버섯 접종전과 수확후 배지의 이화학성 및 영양성분 비교
  311. 버섯 병재배 수확후배지의 느타리버섯 배지에 알맞은 재활용 수준
  312.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최적 생육온도 조건
  313. Stain improvement in the white button mushroom ‘Seolgang’ and its varietal characteristics in Agaricus bisporus
  314.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Armillaria 속 수집 균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
  315.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의 첨가수준이 수수 사일리지의 화학적 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316. 기능성자원 구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톱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재배적 특성
  317. 표고균사 갈변과 관련된 BCR (Brown Color Repressor) 유전자 분리
  318. 중고온성 봉지재배용 신품종 느타리『곤지5호』육성 및 특성
  319. 계통간 교잡에 의한 느타리 품종 ‘구슬’ 의 육성 및 그 특성
  320. M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 and the mutant strains in Pleurotus ostreatus
  321.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잎새버섯(Grifola)속 균주의 유연관계 분석
  322. 저장기간에 따른 팽이버섯 자실체의 유기산 함량 변화
  323. 느타리로부터 리그닌-셀룰로오스분해효소 생산 균주 선발 및 효소 생산
  324. 느타리(1100㎖병)의 균사 배양 중 배양기 내부 통기성 개선
  325. 후숙 조건에 따른 느타리(수한느타리버섯 1호)의 생육특성
  326. 느타리의 균사 배양 중 배양기 내부 통기성 개선
  327. 큰느타리버섯(새송이)에서 역교배를 통한 속성형질의 도입
  328. 팽나무버섯 액체 종균의 접종 전 오염 검사
  329.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겨울우산버섯 (Polyporus)속 균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
  330. 목이버섯 품종간 영양성분 비교
  331. 버들송이의 균사배양조건 및 최적 접종량 설정
  332. 팽나무버섯의 균사배양 중 배양기 내부 통기성 개선
  333.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기능성자원 감태나무(Lindera glauca) 톱밥의 적정 혼합비율
  334. 팽나무버섯 액체 종균 배양시 이산화탄소 농도와 균사 생장량 변화
  335.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Cladobotryum mycophilum isolated from cobweb disease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n Korea
  336. 산겨릅나무와 옻나무 톱밥배지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의 함유성분 분석
  337. 차가버섯의 항결핵 활성에 대한 연구
  338. 느타리버섯의 항암수목자원 배지속 함유성분의 분해능 평가
  339.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 생성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의 분리 및 특성
  340. 푸른곰팡이균의 저항성 품종 검정방법에 의한 느타리버섯 균주의 저항성 판별
  341. 느타리버섯 병재배시 주재료 콘코브배지에 적합한 영양원 탐색
  342. 소규모 큰느타리 병재배 농가에서 버들송이 동시재배 방법
  343. 생육온도에 따른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형태 및 재배적 특성변화
  344. 표고 수집균주의 재배적 특성 및 갈변과의 상관관계
  345. 홍삼박을 이용한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첨가배지 개발
  346. 봉지재배용 신품종 느타리『곤지2호』육성 및 특성
  347. Two Inonotus species newly found in Japan, Inonotus formosanus and Inonotus nodulosus
  348. 팽이버섯의 저장기간 및 품종별 자실체내의 당 함량 변화
  349. 버들송이(Agrocybe aegerita)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350.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 저항성 실내검정 방법의 개발
  351. 표고 봉지재배에 있어서 영양원에 따른 재배적 특성 비교
  352. 잣버섯 신품종 ‘솔향’의 재배적 특성
  353. 신품종 느타리버섯 ‘화성2호’의 특성
  354. Expression of Attacin-like Antibacterial Protein NUECIN in Pleurotus ostreatus
  355.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을 이용한 식물병원성세균 생장억제효능 검증
  356. 국내 자생버섯 추출물의 항염활성
  357. 꽃송이버섯의 액체배양조건 및 봉지재배 적합배지 재료선발
  358. 병재배 배지살균 시 배지내부의 실시간 온도측정 방법
  359. 큰느타리버섯 재배실태조사와 기형버섯 발생경감에 관한 연구 Ⅱ. 기형버섯 발생경감 재배기술
  360. 잿빛만가닥버섯의 변이체 유도와 실용적 인공재배에 대한 연구
  361. 큰느타리버섯 신품종 ‘송아’의 육성 및 그 특성
  362.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glucoamylase gene from ectomycorrhizal basidomycete, Tricholoma matsutake
  363. 느타리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풀버섯 배지개발
  364. 버섯 건조분말 첨가에 따른 두부의 품질 특성
  365. 느타리의 생육 온습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366.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구름버섯 균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
  367. 신품종 큰느타리버섯 ‘곤지3호’ 육성 및 특성
  368. 갈색 양송이 신품종 ‘다향’의 형태적 특성
  369. The roles of homeodomain proteins during the clamp cell formation in a bipolar mushroom, Pholiota nameko
  370. 무포자느타리 선발을 위한 단핵화 균주의 분리 및 Spo11 마커의 이용
  371. 신령버섯의 기형으로부터 배양불능세균의 PCR 검정
  372. 팽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373. 맛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374. 만가닥버섯 재배시 광 종류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수량
  375. 탄산가스 농도 변화가 팽이 버섯 재배에 미치는 영향
  376. 양송이 안정생산을 위한 생산기술 현장연구
  377. 재배사의 습도가 팽이버섯 재배에 미치는 영향
  378. 팽이버섯 생육습도에 따른 균주별 자실체의 특성 변화
  379. 곡물별 담자균 배양물의 효소활성
  380. 목질진흙버섯(상황)의 재배원목 종류에 따른 무기성분 함량변화
  381.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추출물 및 잎새버섯과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혼합추출물의 급성독성시험
  382. 팽이버섯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특성 변화
  383. 버섯에 존재하는 다양한 dsRNA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384. 신품종 ‘미소’ 느타리버섯 병재배 배지개발
  385. 밀짚을 이용한 양송이 퇴비제조방법에 관한 연구
  386. rDNA-ITS 및 CAPS 분석에 의한 꽃송이버섯 (Sparassis crispa) 수집균주의 계통분류학적 특성구분
  387. 야생 팽나무버섯의 생리활성 분석
  388. 꽃송이버섯의 단목봉지재배 기술개발
  389. 저비용 우량봉지종균 생산기술 개발
  390. 차신고버섯 신품종 “다산” 의 특성
  391. 버섯 다원적 기능의 접근
  392. 국내 미기록 표고속 종들(Lentinula spp.)의 배양적 특성
  393. 왕송이(Tricholoma giganteum) 신품종 ‘백련’의 특성
  394. 신품종 번데기동충하초『예당 3호』육성 및 특성
  395. NaCl의 농도가 병재배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및 자실체수량에 미치는 영향
  396. 신령버섯(Agaricus brazilensis) 기형증상의 발생원인 및 조직내 갈변에 관한 연구
  397. 은행껍질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배지 개발
  398.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발효톱밥에 의한 인공재배 특성에 관한 연구
  399. ITS 부위의PCR-RFLP 및 STS 마커를 이용한 차가버섯의 종 및 계통간 유연관계 분석
  400. Tetrapolar incompatibility system of Pleurotus ostreatus new strain 'Miso'
  401. 버섯의 자실체색과 관련된 멜라닌의 특성
  402. 계통간 교잡에 의한 백색느타리 품종 ‘고니’의 육성 및 그 특성
  403. 계절별 온도에 따른 느타리 품종의 재배적 특성
  404. 환경조건이 표고톱밥배지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405. 표고균사 갈변시 세포내 효소의 변화
  406. 은행잎박을 이용한 큰느타리버섯 배지 개발
  407.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ITS 영역염기서열 및 RAPD에 의한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
  408. 기능성물질 첨가시 느타리버섯 생육 및 생리활성물질의 변화
  409. 중부지방에서 자생하는 유용 야생 버섯의 분류 및 동정
  410.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를 사용한 배지에서의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411. 버섯산업에 대한 2008년 국민의식조사
  412.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의 균사배양 특성
  413.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생산비 절감을 위한 폐배지 적정 혼합비율
  414. 자낭균 곰보(Morchella esculenta)버섯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415. 볏짚버섯속(Agrocybe) 보존균주의 여름철 인공재배시 재배 및 형태적 특성
  416. 산느타리버섯 재배특성 및 기호도 조사
  417. 큰느타리버섯 폐배지에서 분리한 Xylanase 생성 Bacillus subtilis CS9
  418. 표고버섯(JNM3022) 톱밥재배에 적합한 배지조성과 배지크기
  419. 음식부산물 건조박을 첨가한 배지에서 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 특성
  420. 고온적응성 선발계동을 이용한 팽이버섯 신품종 ‘백로’의 특성
  421. 야생수집균주간 교잡으로 육성된 팽이버섯 갈색 신품종 '갈뫼'의 특성
  422. 노랑느타리 “금빛”과 분홍느타리 “노을” 의 아미노산 분석
  423. 느타리버섯 재배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고찰
  424. 새송이버섯 폐배지를 이용한 발효사료 개발
  425. 표고버섯의 재배현황 및 신품종육성
  426. 버섯의 품종개발 이론과 실제
  427. 한국버섯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SWOT 분석
  428. Truffle (덩이, 송로) 등 균근성 버섯재배기술 현황
  429. 느타리 자실체 색소변이체와 감염바이러스의 성상
  430. 계통간 교잡에 의한 느타리 품종 '청'의 육성 및 그 특성
  431. 프라타너스 전정가지 톱밥을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재배
  432. 표고 톱밥재배시 중온성 품종의 종균 형태에 따른 생산성 비교
  433. 뽕잎 추출물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균사체 배양액의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생육억제 효과
  434. 흰목이 균사 액체배양 조건
  435. 흰목이버섯 대량생산을 위한 용기내 재배 최적화 연구
  436. 볏짚버섯속 ASI19003(버들송이)과 ASI19016(차신고)의 배양 및 재배적 특성
  437. 버섯 기능성 물질의 산업화
  438. 친환경 농자재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버섯파리(Mycophila sp, Cecidomyiidae) 방제
  439. 국내 버섯 생산 및 수출 전망
  440. 우리나라 표고 톱밥재배의 문제점과 대책
  441. 버섯의 영양적 가치와 생리활성
  442. 노루궁뎅이버섯의 계통학적 유연관계 및 생리적 특성
  443. 왕송이버섯(Tricholoma gigantium)의 인공재배를 위한 환경조건 구명
  444. 표고버섯의 톱밥재배에 있어 갈변과 관련된 효소작용
  445. 느타리버섯의 신품종 육성 연구 - 분홍느타리 신품종『 적단』의 특성 -
  446. 곡물배지를 이용한 번데기동충하초 재배기술
  447. 큰느타리버섯 폐배지 이용 배지 제조 및 적정 첨가비율
  448. 느타리버섯의 신품종『순정』육성 및 특성
  449. 신품종 느타리버섯의 생육온도에 따른 호흡특성 비교
  450. 라오스 느타리버섯 균사배양 배지의 적정 배합비율
  451. 맛버섯(Pholiota nameko) 우량균주 선발 및 병 재배법
  452. 담자균류를 이용한 폐기물연용 밭토양의 건전성 간이평가
  453. 원형느타리백색변이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특성
  454. 원형느타리버섯 백색돌연변체의 특성
  455. 소비촉진을 위한 가정재배용 버섯키트개발 연구
  456. Penicillium rubrum에 의한 상황버섯(Phellinus baumii)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457. 느타리 신품종 "청산"의 재배 특성
  458. 갈생팽이버섯의 유전적 특성검정 및 배지재료 개발
  459. 계통간 교잡에 의한 분홍느타리 품종 "노을"의 육성 및 그 특성
  460. Di-mono 교잡에 의한 잎새버섯 품종 "함박"의 특성 및 재배
  461. 버섯 학술 용어 해설
  462. 큰느타리버섯 주요재배지 실태조사 및 병원균 분리동정
  463. 큰느타리버섯의 품질기준에 관한 연구
  464. 4가지 물질 처리에 대한 목이버섯의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연구
  465. 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 연구 - 저온성 느타리버섯 신품종 '설안' -
  466. 버들송이 신품종 ‘진버들송이’ 의 특성
  467. 검은비늘버섯 품종 ‘진황’ 의 특성 및 재배법
  468. 양파망을 이용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재배기술
  469. 큰느타리버섯 배지재료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
  470. 노랑느타리 품종 ‘금빛’의 특성
  471. 중국 버섯생산 현황 및 발전전망
  472. 맛버섯균의 균배양 특성 및 톱밥재배 기술에 관한 연구
  473. Extraction yield and nutraceuticals of mushroom Pholiota species
  474. 느타리버섯 소포자 형성 균주 개발
  475. 느타리 단핵 임성체를 이용한 균주개발
  476. Ribosomal DNA의 ITS 부위에 대한 RFLP 분석에 의한 Phellinus baumii PMO-P4의 유전학적 특성
  477. 소맥분과 물엿을 첨가한 침엽수 톱밥배지에서의 꽃송이버섯 생산
  478. 느타리버섯 생육온도와 자실체의 발생과 생장
  479. 버섯의 품종 육성과 종균 산업의 동향
  480. 버섯산업의 과제와 발전방향
  481. 영지버섯 다수확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482. 중금속 오염지 및 건전지역에서 수집된 담자균류의 분포
  483. 고온기 팽이버섯 병재배 배지제조시 저온수 이용 효과
  484. 붉은자루동충하초의 자실체 증식 특성
  485. 기능성버섯 신품종 『장생』장수버섯
  486.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원목재배 연구
  487. 표고골목 해균인 주홍꼬리버섯을 방제하기 위한 저항성 표고균주 선발
  488. 느타리버섯 병재배 면실박 대체배지 선발
  489. 기주식물에 따른 목질진흙버섯의 일반성분(무기물) 함량변화 I
  490. 큰느타리버섯 재배의 최적 CO2 조건
  491. 눈꽃동충하초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492. 고동노 셀레늄 처리가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생육과 물질전이에 미치는 영향( II )
  493. 저농도 셀레늄 처리가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생육과 물질전이에 미치는 영향( I )
  494.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의 영양원에 관한 연구
  495. 점봉산 거제수나무에서 분리한 차가버섯의 배양특성
  496. NaCl 함량에 따른 내염성 느타리버섯 선발과 재배적 특성
  497. 느타리버섯의 신품종 육성 연구 - 병ㆍ봉지재배용 신품종 『다조아』느타리버섯의 특성 -
  498. 약용버섯의 계통분류 및 국내유통 Inonotus속내 종간 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499.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균사생장 최적화
  500.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의 우수균주 선발 및 최적 균사배양
  501. 고활성칼슘의 버섯 생육에 대한 효과
  502.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품종 큰느타리3호의 재배적 특성
  503. 뽕나무버섯균의 생리적 특성 및 부후특성
  504. 버섯과학과 버섯산업의 동향
  505. 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 연구 ( III ) - 병재배용 신품종『 흑백』느타리버섯 -
  506. 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 연구( II ) - 병재배용 신품종『 소담』느타리버섯 -
  507. 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 연구( I ) - 병재배용 신품종『진미』느타리버섯의 특성 -
  508.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톱밥재배 연구
  509.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인공재배를 위한 균사 배양적 특성
  510. 말굽버섯균의 생리적 특성과 부후특성
  511. 무리우산버섯균의 배양적 특징과 목재부후 특성 파악
  512. 표고버섯(Lentinus edodes)균과 Trichoderma spp.의 상호작용
  513. 경기도지역 송이버섯 분포 및 식생환경조사
  514. Phellinus baumii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Sarcoma-180 에 대한 항암 및 면역효과
  515. Characteristics of mycelial culture of Sparassis crispa
  516. Development of Ganoderma lucidum on Soft and Hard Wood Logs and Determination of Organic Germanium and Ganoderic Acid Content of the Fruiting Body Produced
  517. Optimization of Mycelial Growth of Entomogenous fungi of the Genus Cordyceps
  518. Screening of Fruiting Body Formation-Specific Gene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Cordyceps militaris MET7903
  519. Instability in in vitro fruiting of Cordyceps militaris
  520. Fungal laccases from basidiomycetes and their inducibility
  521. Fruiting body development and genetic analysis of somatic hybrids by protoplast fusion in edible fungi
  522. Di-Mon 교잡법에 의한 큰느타리버섯 교잡주의 특성
  523. 한국, 중국, 일본소비자를 대상으로한 버섯의 이용실태조사
  524.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액체배양에 의한 현미와 원목에서 자실체 형성
  525. 아위버섯균의 생리적 특성
  526. 진흙버섯속(상품명 : 상황버섯) 재배방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527. 볏짚배지에 탄산칼슘의 처리가 느타리버섯에 미치는 영향
  528.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의 분생자경속 형성
  529. 영지버섯 수집균의 배양적 특성 및 자실체 형태에 따른 구분
  530. Effect of concentrated carbon dioxide exposure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initiation of Ganoderma lucidum.
  531. Di-mon 교배에 의한 영지버섯균주의 화합성 검정
  532. 원형질체 분리에 의한 영지버섯균주의 육종소재 개발
  533. 방울솜을 이용한 양송이 퇴비배지 제조법 개발
  534.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의 균사생장조건 구명
  535. 느타리의 기내 자실체 형성 및 그 유도조건에 관한 연구
  536. 곡물배지가 느타리버섯의 균사배양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537. NaCI의 농도가 느타리버섯과 푸른곰팡이 병원균의 균사생성에 미치는 영향
  538. 큰양송이(Portobella) 재배법 개발에 관한 연구 II - 발이 및 생육온도 구명 -
  539. 느타리버섯 배지에 담배가루의 처리가 버섯균과 푸른 곰팡이병원균의 균사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540.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암전이 억제물질 개발을 위한 혈관신생 억제물질의 탐색
  541. 느타리버섯 병재배 배양온도 및 배양기간에 따른 생육반응 연구
  542. PCR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사 물로부터 세균성갈색무늬병 병원균 Pseudomonas tolaasii 검출
  543. 큰양송이 Portobella 균주의 배양조건 및 형태적 특성
  544. 몇가지 항생제의 느타리버섯 Pseucb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갈색무늬병 방제 효과
  545. 근연간 교배방법에 의한 팽이 단핵균주의 교배형분석 및 균주 육성
  546. 한국 버섯산업의 발전사
  547.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ron-sulfur subunit gene of succinate dehydrogenase from the violet root rot fungus, Helicobasidium mompa
  548. Two Inonotus species newly found in Japan, Inonotus formosanus and I. nodulosus
  549.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glucoamylase gene from ectomycorrhizal basidomycete, Tricholoma matsutake
  550. The roles of homeodomain proteins during the clamp cell formation in a bipolar mushroom, Pholiota Nameko
  551. Recent progress of mushroom research in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552. Preface
  553. Optimization of Mycelial Growth of Entomogenous fungi of the Genus Cordyceps
  554. Resources, Production and Management for Edible Matsutake in China
  555. Characteristics of mycelial culture of Sparassis crispa
  556.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from Inonotus obliquus
  557. Effect of Stationary Culture of Inonotus obliquus on Its Chemical Constituents
  558. Analysi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Agaricus blazei
  559. CHEMICAL COMPONENTS AND ANTITUMOR EFFECTS OF THE PETROLEUM ETHER EXTRACTS OF Inonotus obliquus (Fr.)
  560. Activation of normal and tumor-bearing mouse macrophages by active polysaccharide GLIS from Ganoderma lucidum
  561.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Pholiota adiposa
  562. Cultivation of Insect Mushrooms on Polyurethane Form Prepared From Liquefied Sugi Bark
  563.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of Trichoderma species associated with green mold epidemic of oyster mushroom in Korea
  564. Screening of Fruiting Body Formation-Specific Gene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Cordyceps militaris MET7903
  565. Development of Ganoderma lucidum on soft and hard wood logs and determination of organic germanium and ganoderic acid content of the fruiting body produced
  566.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somatic hybrids by protoplast fusion in mushrooms
  567. Ultrastructural aspects of basidiosporogenesis in Hymenomycetes
  568. 네팔의 특수교육
  569. 조선조 궁중문학에 투영된 여성의 삶 -궁녀를 중심으로-
  570. 根据『郭店楚墓竹简本老子』 重新思考儒家 道家之间的关系
  571. Korea's Approach to the Welfare State
  572. '여성-되기'와 '시-하기' -김혜순의 시론에 대한 검토-
  573. 일반 유치원과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평가
  574. 东方文化源流与神明文化
  575. 난설헌과 여신선
  576. 韩国的天主敎与社会福利現狀
  577. 몽골 신화에 나오는 창조인물
  578. 日神神話와 創世神話
  579. 女 媧 神 話 硏 究 - 우주와 생명의 아르케 -
  580. 한국 창세신화에 나타난 인간의 문제
  581. 韓·中·日 創世神話에 나타난 宇宙觀
  582. H. A. Simon의 행정적 의사결정 모형과 체벌에의 적용
  583. 자폐 아동의 동작법 적용에 대한 논의
  584. 인류의 제4혁명기에 선 문화와 환경
  585. Hardy의 개인적 경험의 시적(詩的) 영향
  586. 오든의 초기 시는 포스트모던한가?
  587. <仁顯王后傳> 연구사
  588. 이천시 대월면지역 민요의 특징
  589. 한국교회를 위한 새 교회의 운동과 방향
  590. 신의 침묵 - 엔도 슈사꾸,『침묵』을 중심으로 -
  591. BHAKTIMARGA로서의 인도 영성
  592.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에 의한 종교의 토착화(성서시대)
  593. Two Western Ecological Paradigms
  594. 한국 종교연구에 있어서 생태학적 전기 -율곡과 수운의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595. 동양종교철학의 필요성과 가능성
  596. 헤겔과 키에르케고르에 있어 신앙의 본질
  597. 죤 듀이의 신앙관이 그의 사상형성에 미친 영향
  598. 고대근동과 이스라엘의 주술
  599. APEC e-Learning Training Program
  600. IT Companies’ HR Practices in South Korea
  601. Understanding Performance i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602.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beyond Cultural Differences
  603. A Blended Learning Approach to Elementary Essay Writing in Korea
  604. Effects and Issues Distance Education for Research Guidance in Doctoral Program of Schools of Education
  605. 現代漢語教材筆畫內容比較分析
  606. 簡論石刻文獻中通用量詞“具”、“副”的 興替及其原因 ——兼談中古石刻文獻在漢語量詞研究上的價值
  607. 基於語料庫的隋唐五代石刻楷書異體字調查研究
  608. 中國中古石刻文獻文字數字化處理標準芻議
  609. 字頻視角的西周金文歷時發展
  610. 《周易正義》文字、句讀辨正
  611. 泰語地名通名漢字譯寫整理與研究
  612. 域外字用視角商補通用型語文字典字義三則
  613. 《同文通考》與中日漢字關係研究
  614. 十五世紀朝鮮漢字音研究(上古聲母篇)
  615. 《新撰字鏡》註釋 體例研究-古今字를 中心으로-
  616. 『新字典』 “同字” 類型考
  617. 字典聯合檢索系統的信息組織與分類研究 ----以韓中日傳世漢字字典爲中心
  618. 대럴 구더의 선교적 신학과 교회론
  619. 선교적 교회와 상황화 - 세계선교운동에서 상황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과 전개를 중심으로
  620. 지역사회에 대한 선교적(missional) 교회의 접근법 - 한국의 문화적 상황을 중심으로
  621. 선교적 교단을 향하여 -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교단
  622.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책무
  623. 선교적 교회론과 예배
  624.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625. 선교적 교회운동을 위한 통합연구 방법론의 이해
  626.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A. Snyder)의 선교적 교회론
  627. 선교적교회론과 선교적해석학 - GOCN의 연구를중심으로
  628.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한국 민중교회
  629. 선교 공동체로서의 농촌교회와 통전적 선교 가능성 연구 - 농촌교회의 통전적 선교를 위한 필수요소
  630.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선교
  631. 선교적 교회의 실천적 모델과 원리 - 한국교회 현장으로부터 배우는 선교적 교회
  632.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교회
  633. 잉크 색상에 따른 프린터 출력물의 화상 광택 변화
  634. Polyfluorene계 polymer-OLED의 발광 층내에 분산된 강유전성 BaTiO₃유전입자의 역할
  635. 롤 투 플레이트 시스템의 닙 출구에서 공동의 변화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636. 레이저 주사 공초점현미경 해상도의 파장 의존성
  637. Carbazole과 diketopyrrolopyrrole 골격을 갖는 작은 밴드갭 소재의 합성, 광학 및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638. 전자인쇄용 미세패턴을 위한 그라비어 인쇄적성에 관한 연구
  639. 連体修飾構造における『トイウ』の現れ方 - 意味·機能を中心に -
  640. 비교원에 대한 ‘선생님’ 호칭 사용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교원을 대상으로 -
  641. 대학 초급 일본어 산출기능 향상을 위한 연구 - 피어러닝수업을 중심으로 -
  642. 일본인의 한국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한 일본어 사용 현황에 관한 분석연구 - 의료 관련 일본어 시판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643. 日本語配慮表現の研究と社会言語学
  644. 堀辰雄の空間表象 - 初期作品から『軽井沢文学』への移行をめぐって -
  645. 日本文學敎育における読みの可能性 - テクストと讀者を中心に -
  646. 『について』와 『に対して』의 의미·용법상의 차이에 관한 고찰 - 일본어 교육으로의 활용방안 -
  647. 七次敎育課程による授業模型の提示 - 學習者中心の正確性模型と流暢性模型を中心に -
  648. 前置き型ヘッジ表現に関する考察 - 聞き手への配慮․意識に注目して -
  649. 認識·思考·判断の連鎖的分析
  650. 萩原朔太郎における詩語の研究 - 『月に吠える』と『青猫』の手について -
  651. 戦後日本経済史研究 - 高度成長の基本要因を中心に-
  652. 지카마쓰의 조루리 작품과 조선통신사 - 『大職冠』 追考 -
  653. 토포스로서의 담론 가능성 고찰 - 『만연원년의 풋볼』과 『광장』에서 보이는 ‘회귀’와 ‘탈출’을 중심으로 -
  654. 다니자키 준이치로 『여뀌먹는 벌레』에 그려진 노인 - 가와바타 야스나리 『잠자는 미녀』와 비교를 중심으로 -
  655. 약관규제 외에 계약조항규제가 필요한가?
  656. 대법원에서의 변론 생중계에 관한 소고(小考)
  657. 대마초 합법화의 세계적 추세에 따른 형법상 실효성 방안
  658. 상가건물 임대차의 실태분석 및 제도 개선방안
  659. 부동산의 선순위 근저당권과 상사유치권의 우열관계 (대법원 2013. 2. 28. 선고 2010다 57350 판결, 대법원 2011. 12. 22. 선고 2011다84298 판결 평석)
  660. 한반도 평화체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661. 현행 신상공개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662. 三國時代 石築城의 築城角度에 대한 考察 - 体城 外壁을 中心으로 -
  663. 陜川地域 城郭에 대한 小考 - 최근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
  664. 慶南地域 古代 石築山城 築造技法에 관한 연구 - 基壇補築을 중심으로 -
  665. 固城 所乙非浦城址 - 建物址 및 北門址에 대하여 -
  666. 사천읍성의 축조 수법에 관한 고찰
  667. 東萊邑城 垓字와 水口
  668. 金海 古邑城 築城과 時期
  669. 한국 남해연안 성지의 고고학적 연구
  670. 왜성에 나타나는 鏡石의 성격에 대한 검토
  671. 창녕지역의 봉수
  672. 홍산 태봉산성 성벽 조사·연구
  673. 고려후기 권금성의 구조와 현황
  674. 안성 죽주산성 집수시설 연구
  675. 호남지역의 최근 성곽조사 현황 - 2007년도 시․발굴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676. Mo기 초내열 합금의 기술동향
  677. 우리나라 나노기술 개발 현황과 산업화 정책
  678. 셰이머스 히니의 신화적 재현:『느낌을 언어로』와 늪지 시편을 중심으로
  679. 영웅서사의 시적 변용 -신경림의『남한강』과 예이츠의『어쉰의방랑』의 비교
  680.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바보’:『바보의 노래 두 곡』과『바보의 또 다른 노래』
  681. W. B. 예이츠와 에밀리 디킨슨의 시의 죽음
  682. 『밭일』(Field Work)의 애가와 소네트: 폭력에 대한 고발과 치유
  683. 예이츠와 플라톤의 에로스
  684. 예이츠 시와 알케미컬 내래티브
  685. 『환상록』, 그리고 영혼의 영원한 순환
  686. 셰익스피어『햄릿』과 예이츠의『에머의 유일한 질투』의 고스트 연구
  687. 예이츠와 엘리엇 시의 현대인과 사회상
  688. 몰리는 아일랜드 혹은 영국의 희생물인가: 프리엘의『몰리 스위니』의 아일랜드의 비극
  689. 조이스와 예이츠 연구에서의 탈식민주의적 전환의 의미
  690. W. B. 예이츠, 김소월, 그리고 김종길: 동서양의 시에 나타난 자연
  691. 예이츠 시 “어린 학생들 속에서”의 인지론적 쓰/읽기
  692. W. B. 예이츠의 시 속의 여성민족주의자들의 모습
  693. 성숙한 훔침: 예이츠와 히니의 경우
  694. To the Memory of Seamus Heaney
  695. 『예이츠 서클, 1880-1939년 아일랜드의 언어와 시각예술의 관계』
  696. 『환상록』과『배우 여왕』읽기
  697. 敎科書 關聯 政策의 變化와 漢文敎科書 開發 方向
  698. 大學 敎養 漢字敎育의 現況과 敎材 分析
  699. 初等學校 『漢字』 敎材와 漢字 敎育의 問題 探索 - 초등학교『한자』교재의 현황과 개선방안
  700. 漢字文化學의 연구방법론과 한자 교육
  701. 同源字 理論과 漢字敎育
  702. 한자교육의 안과 밖 – 성격․목표․이론에 관한 검토를 겸해 -
  703.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한자어 평가 문항의 제작 양상과 향후 과제
  704.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705.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와 적용 방안
  706. 한중 한자어휘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
  707.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을 위한 교육용 한자 선정 방법
  708. 한국어교육 제도와 정책에 관한 비판적 검토-한자 한자어교육과 관련하여-
  709.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발전 방향 - 언어 이론을 중심으로 -
  710. 韓國語 敎育에서의 漢字·漢字語 敎育의 位相 定立과 方案 硏究의 必要性
  711.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따른 한문Ⅰ예시 평가도구 분석
  712.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적용 방안 - 영역 성취수준과 학기 성취수준을 중심으로 -
  713. ‘어휘’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714. ‘문장’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715. ‘文化’ 영역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내용 분석
  716. ‘漢字’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717. ‘理解’ 領域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內容 分析
  718. ‘읽기’領域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內容 分析
  719. 성취 평가제와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720. 『武藝圖譜通志』의 字形檢討 - 『奎章全韻』과 文集의 자형 비교-
  721. 朗山 宋持養의 生涯와 文學論에 대한 一考
  722. 한문에서의 문장의 경계
  723. 이독성 논의를 통해 본 한자 어휘 수준의 결정 요인에 관하여
  724. 初等學校 敎育用 漢字 語彙 選定 方案과 例
  725.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 摸索과 實行 方案의 必要性
  726. 漢文科 形成評價 道具 開發 및 適用
  727. 한문과 문장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728. 한자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729. 어휘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730. 繪畫를 활용한 고등학교 한문과 이해 영역의 평가 방법과 실제
  731. 한문과 서술형 평가의 이론과 실제 - ‘한문 지식’ 영역을 중심으로 -
  732. 읽기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733. 한문과 서술형 평가의 이론과 실제 - ‘한문 지식’ 영역을 중심으로 -
  734. 漢文科 評價論의 學問的 定立을 위한 序說
  735. 漢文科 評價의 方向과 實際
  736. 初等學校 漢字 敎育의 現況과 展望
  737. 初等學校 漢字 敎育의 體系와 內容
  738. 現行 初等學校 漢字 認定 敎科書 內容 分析
  739. 초등학교 漢字敎科書에 있어서의 古典資料 활용에 관하여
  740. 初等學校 漢字 敎育과 中等學校 漢文 敎育의 接木
  741.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742. 한글專用 體制 아래서 漢字語 表記의 問題
  743. ‘1972’年 漢文 敎科 獨立에 對한 斷想
  744. 高琦의 『文章一貫』 考 - 篇章句字法 중심으로 -
  745. 龍潭禪師의 禪詩 -反觀의 내용을 중심으로-
  746. 李再榮과 『秇苑詩話』
  747. 漢文 散文 授業을 爲한 動映像 콘텐츠 模型 具案 -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748. 退溪의 詩에 나타난 대나무의 美의식
  749. 根源聲符 丰, 各을 활용한 한자교수학습
  750. 漢字語 指導 效果 檢證을 위한 硏究 - 포항영일중학교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
  751. 改定 敎育課程과 現職 敎師 再敎育 -가르치며 배우는 Lamad․學師를 지향하며-
  752.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재고
  753.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解說에 따른 학습 평가의 諸 問題 - 중학교 『漢文』, 고등학교 『漢文』해설 ‘5. 평가’를 중심으로 -
  754.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
  755. 改定 敎育課程에 따른 高等學校 漢文 敎科書 開發 方案
  756. 개정 교육과정 ‘한문’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
  757. 개정 교육과정 ‘한문지식’의 내용 분석 -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758. 改正 漢文科 敎育課程의 性格, 目標, 內容의 問題點
  759. 同熊石畑遺跡 -福岡牒宗像市田熊所在遺跡の発掘調査概要-
  760. 전주 동산동 청동기시대 취락
  761.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석제무기
  762. 京畿地域 靑銅器時代前期~中期 聚落의 構造的 特徵 硏究
  763. 청주 가경동유적 분묘 출토 세형동검
  764. 대구 월성동 566유적 제7-나-1호 주거지
  765. 편평편인석부의 기능과 용도에 관한 연구 - 남강유역 무문토기시대 출토품을 중심으로 -
  766. 청동기시대 남강유역 조ㆍ전기 주거지 연구 -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 출토 주거지를 중심으로
  767. 東海岸地域 孔列土器文化 小考
  768. 中西部地域 靑銅器時代 前期 住居의 構造 變化와 意味
  769. 중부지역 돌대문토기의 편년 연구
  770. 湖西地域 前期 無文土器 文樣의 編年
  771. 磨製石鏃을 통한 嶺南地域住居址의 編年
  772. 植物考古學에 適用되는 土壤試料 크기의 標準化 및 種子 遺體 密度의 相對 比較法: 南江댐 水沒地區 靑銅器時代 遺蹟 出土種子遺體를 중심으로
  773. 內蒙古 동남부 시라무렌하 유역에서 발견된 새로운 유목문화에 대한 이해
  774. 東海岸地域 靑銅器時代 무덤의 變遷
  775. 湖南地域 靑銅器時代 前期文化의 特徵
  776.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전기 호형토기의 변화양상
  777. 호남지역 지석묘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몇가지 문제 - 가매장시설의 기능과 관련하여
  778.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 취락의 폐기 양상 연구 - 호서지역을 중심으로 -
  779.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검토
  780.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제 유형 고찰
  781. 田熊石畑[다쿠마이시하타케]遺跡 -福岡[후쿠오카]縣 宗像[무나카타]市 田熊[다쿠마] 소재 유적의 발굴조사 개요-
  782. 嶺東地域粘土帶土器文化의 展開樣相
  783.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方形住居址의 展開
  784. 아산만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구조와 변천
  785. 청동기시대 취락 내 석기 제작 양상 검토
  786. 제주지역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787. 慶尙 南海岸 松菊里文化의 特徵과 交流
  788. 전남 남해안의 송국리형 주거문화
  789. 송눈평원지역 청동기문화의 보고 백금보 -『肇源白金寶-嫩江下游一處靑銅時代遺址的揭示』-
  790. 청동기시대의 무덤 및 매장주체부 재검토 -김해 율하리유적을 중심으로-
  791.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와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
  792. 小黑石溝로 본 하가점상층문화의 새로운 인식 -小黑石溝- 夏家店上層文化遺址發掘報告]의 서평을 겸하며
  793. 송국리취락 ‘특수공간’ 의 구조와 성격 -大形 掘立柱建物을 중심으로-
  794. 중서부지역 역삼동 · 흔암리유형의 취사용토기 연구
  795. 남한지역 조 · 전기 무문토기 편년 및 북한지역과의 병행관계
  796. 靑銅器時代 周溝墓의 發生과 變遷
  797. 前期 靑銅器時代 竪穴遺構의 性格과 變化樣相
  798. 石器 組成比를 통해 본 靑銅器時代 生計와 社會經濟
  799. 청동기시대의 수렵과 채집
  800. 청동기시대의 어로활동
  801. 청동기시대 후기 수공업 생산과 사회 분화 - 진주 대평리유적을 중심으로 -
  802. 蔚山 檢丹里마을유적의 재검토
  803. 蔚山式住居址의 復元
  804. 蔚山地域 青銅器時代 聚落構造의 變化
  805. 사천 월성리유적 출토 다뉴세문경
  806.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807. 靑銅器時代 中期設定과 問題
  808.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前期의 上限과 下限
  809. 無文土器時代의 早期設定과 時間的 範圍
  810. 初等學校에서 漢字敎育의 必要性과 意義
  811. Die Fremdheit zwischen den Deutschen - Uber den inneren Vereinigungsprozeß in Deutschland -
  812. Categorial Configuration of ECM and Control Infinitives in the Minimalist Program
  813.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신체언어능력의 중요성 및 문화와 제스처의 관계
  814. 프랑스어 시제의 학습과 지도 (1) - 복합과거와 반과거의 지도를 위한 한 시안 -
  815. 현대 독일 시(詩) 수업 모델 개발
  816. 상호교류적 교사언어: 교사훈련 과정에로의 도입을 위하여
  817. 영어 학습자의 필요욕구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818. 한국의 중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819. 한국의 불어교육: 어제와 오늘,그리고 전망
  820. 독일어 교육론
  821. 중등학교 외국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822. 담론, 자아성장, 영어습득: 영문학의 인본주의적 활용을 통한 중등영어교육
  823. 영어 교육 내용 구성 원리로서의 문법 이론
  824. 어휘를 통한 프랑스 문화 교육
  825. 정보화 시대를 대비한 독어교육과 교과과정 개발
  826. 한국인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필요 욕구 분석: 사례 연구
  827. 다문화 시대의 외국어 교육을 위한 인문학의 필요성
  828. 주체와 언어: 독일 고전 관념론이 제출한 정체성 기획
  829. 문법 기술 내용에 근거한 영어 교육 내용의 구성: How Are You?의 경우
  830. 한 ·일 문화교류의 확대와 일본어 교육의 방향: 문화와 공존하는 외국어 교육
  831. 영어 교육의 효용: 언어의 구체성과 추상성
  832. 多文化 時代의 韓國語 敎育
  833. 매체활용과 제2외국어 학습: 웹 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834.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835.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상황
  836.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과 수업 실태 조사
  837. 보편 문법과 외국어 문장 구조 습득
  838. 전국 각 대학교 부설 영어교육 관련 기관 실태 분석
  839. 프랑스어 학습자의 반과거 (imparfait), 복합과거 (passé composé)에 대한 이해 분석
  840. 총체적 언어 교육 접근법을 통한 조기 한어(漢語) 교육
  841. 독일의 Input 중심 조기외국어교육: 바덴뷔르템베르크의 초등외국어교육을 중심으로
  842. 우리나라에서 조기영어교육이 갖는 효과와 의미
  843. 초등영어교육: 이론과 현실의 재조명
  844. 시각 커뮤니케이션과 외국어교육 -그림의 교수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845. 영어교육 및 응용언어학 분야의 연구방법론의 변화: 질적 연구방법론의 정립
  846. 문학 수업과 읽기 교재
  847. 영어교육에서 텍스트의 의미: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848. 제 2 외국어 교육에서 읽기의 비중 문제
  849. The Influence of First Language Reading on Second Language Reading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850.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851. 학습부진 예방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
  852.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연구-강북구 내 방과후 공부방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중심으로-
  853. 가정폭력 경험과 폭력 목격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854.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성숙단계에 관한 연구
  855.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와 심리변화 관계 연구
  856. 사회복지 분야에 미치는 시민사회의 현황과 개선방안-비영리민간단체 중심-
  857. 노인 자원봉사활동 사례를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