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방송통신대 경영학특강 최근에 사회가치경영, 공유가치창출경영, ESG경영 등 기업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많은데 기업이 실용적 차원에서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3)

라이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3.25
최종 저작일
2021.11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가치경영, 공유가치창출경영, ESG경영
1) 사회가치경영
2) 공유가치창출경영
3) ESG경영
2. 다양한 요구에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방안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업 등의 주요 경제주체들이 이익 추구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 노동자 착취, 자원고갈, 부정부패, 계층 간 소득 양극화, 실업 등의 사회문제를 초래했고, 그 결과 사회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사회적 혁신과 사회적 경제의 필요성을 요구받게 되었다. 다원사회 속에서 기업조직이 다른 조직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기업을 경제적 기관과 동시에 사회적 기관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백삼균, 2020). 이러한 기업의 정체성 변화와 함께 국가, 시장, 시민사회에 내재된 공적 기능이 재편되고 있으며, 기업은 자체 내부에 사회공헌활동이 체계화되고 시민사회의 가치를 수용하는 시민지향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조대엽, 2007).
사회적 경제는 국가와 시장의 경계에서 경제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우선하여 추구하는 경제시스템으로 정의된다(주성수, 2019). 사회적 경제의 시각에서 심화하는 사회적 문제의 해결 요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예컨대 정부를 포함한 공적 조직의 적극적인 책임과 역할 강화는 물론이고 다국적기업을 포함해 기존 영리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시각에서 역할의 확대에 대한 압력이 강화되거나, 소극적인 법적·윤리적 책임을 넘어서는 사회문제의 직접적인 해결을 위한 가시적인 참여에 대한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의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공유가치창출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여 공유가치의 총량을 확대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기업의 긍정적인 사회변화 유도(사회이익) 비즈니스 가치증대(기업성과)를 연결시키는 새로운 접근방식이다(신창균, 2013). 이는 기업이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적극적인 공적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참고 자료

김재구·배종태·이정현·이무원·양대규·강신형. (2020). 『사회가치경영의 실천 전략』. 클라우드나인.
김재선. (2018). 영국의 사회적 가치 제고 및 증진 관련 법안 현황. 최신외국법제정보, Vol. 6
마이크로소프트 뉴스 센터. (2021.02.02.). MS, 탄소 네거티브 1년 성과 발표… 작년 배출량 6% 감축.
URL : https://news.microsoft.com/ko-kr/2021/02/02/carbonnegative_1year/
박영숙 & 제롬 글렌. (2021). 『세계미래보고서 2022』. 비즈니스 북스.
박호정. (2021). 탄소중립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양립하는가?. 자원· 환경경제연구, 30(2), 347-364.
백삼균. (2020). 『4차산업혁명과 공유가치창출경영』. 에피스테메.
신창균. (2013). CSR과 CSV(Creating Shared Value:공유가치창출). 기업지배구조리뷰. 66, p.57-66.
안용성 & 남정훈. (2021). 기업공시에 ESG 포함… ‘탄소중립’ 위한 경영 대전환 [2021 세계금융포럼]. 세계일보, 2021.10.17
이양복. (2019). 경영자의 전략적 CSR 을 통한 사회적 협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문경영인연구, 22(1), 87-104.
주성수. (2019). 사회적경제: 이론, 제도, 정책. 한양대학교 출판부.
조대엽. (2007). 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거시구조변동의 시각. 한국사회학, 41(2), 1-26.
지준우, 장형유, & 노미진. (2021). 항공 제조기업의 CSR 활동과 기업성과 및 협력업체 성과와의 관계 분석. 지역산업연구, 44(3), 121-150.
카이스트문술미래전략대학원. (2021).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2』.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Bachmann, P., & Ingenhoff, D. (2016). Legitimacy through CSR disclosures? The advantage outweighs the disadvantages. Public Relations Review, 42(3), 386-394.
Beier, G., Niehoff, S., & Xue, B. (2018). More sustainability in industry through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Applied sciences, 8(2), 219.
Ben-Amar, W., Chang, M., & McIlkenny, P. (2017). Board gender diversity and corporate response to sustainability initiatives: Evidence from the carbon disclosure project. Journal of business ethics, 142(2), 369-383.
Floridi, L., Cowls, J., King, T. C., & Taddeo, M. (2021). How to design AI for social good: Seven essential factors. In Ethics, Governance, and Polici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pp. 125-151). Springer, Cham.
Holden, E., Linnerud, K., Banister, D., Schwanitz, V. J., & Wierling, A. (2017). The imperativ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needs, justice, limits. Routledge.
Lee, Y. J., & Kim, B. H. (2013). Resources Linkage and Activation Plan in Social Enterpris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6), 227-235.
Margolis, J. D., Elfenbein, H. A., & Walsh, J. P. (2007). Does it pay to be good? A meta-analysis and redirection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nn Arbor, 1001(48109-1234), 1-68.
Pedersen, E. R. G., Lüdeke-Freund, F., Henriques, I., & Seitanidi, M. M. (2021). Toward collaborative cross-sector business models for sustainability.
Satish, K. (2021). Embrac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Case of Microsoft Corporation. Available at SSRN 3882786.
Suchman, M. C. (1995). Managing legitimacy: Strategic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571-610.
라이칸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방송통신대 경영학특강 최근에 사회가치경영, 공유가치창출경영, ESG경영 등 기업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많은데 기업이 실용적 차원에서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3)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