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칼빈의 경건에 나타난 신자의 삶에 관한 연구

*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9.12.06
최종 저작일
2009.12
5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새로운 교회 개혁으로서 경건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칼빈의 경건을 연구한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과 의의
3. 논문의 구성

Ⅱ. 경건의 정의
1. 일반적 정의
1) 사전적 정의
2) 구약에서의 의미
3) 신약에서의 의미
2. 칼빈의 정의

Ⅲ. 칼빈의 경건 배경이해
1. 역사적 배경
1) 근대적 경건운동의 영향
2) 출생과 교육적 배경의 영향
2. 신학적 배경
1) 회심과 자기부인
2) 그리스도와의 연합
3) 칭의와 성화
3. 목회적 배경
1) 학문을 통한 교리 확립
2) 예배에서의 말씀선포
3) 성례의 시행

Ⅳ. 신자의 삶으로서의 경건
1. 개인생활에서 경건
1) 기도
2) 자기부인
3)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2. 공동체로서의 경건
1) 교회공동체
2) 사회공동체
3) 공동체의 완성으로서 이웃사랑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문제제기
한국교회가 걸어온 백년사의 뒤안길은 하나님의 놀라운 부흥의 역사였다. 1907년 말씀 중심인 평양 대부흥 운동을 시발점으로 지금까지 교회는 거룩한 성도로서의 변화를 추구하며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삶의 변화의 과정은 다양한 신학적 토대 속에서 교회와 개인의 신앙을 이끌어갔다. 말씀을 통한 개혁신학 뿐만 아니라 성령의 오순절 운동, 그리고 신비주의 운동 등 수 많은 신학적 이해관계 속에서 나름대로의 경건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경건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은 급속도로 교회가 부흥하고 성장하면서 나타나게 되었다. 교회의 부흥은 곧 성도들을 양육하고 경건한 삶으로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찾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이제는 개 교회마다 경건을 외치며 경건한 삶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부흥회를 통한 일시적 회심의 변화를 비롯하여 제자훈련을 통한 가르침으로서의 변화 그리고 사회봉사를 통한 외적 경건의 모습을 추구하는 경향들이 봄물 터지듯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이러한 노력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이제는 오히려 교회의 역사 속에 나타난 영성운동 가운데 다양한 경건훈련의 모델을 재발견하고 오늘날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중세 수도원으로부터 시작된 수덕적 혹은 신비적인 관상의 방법들이 부각되면서 뜨레스 디아스와 같은 천주교적인 영성 훈련 프로그램이 교회 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또한 일부 기독교인들 가운데에는 타종교의 종교인들과 깊이 있는 대화를 통한 영성훈련의 개발을 통해 영성의 개발을 추구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지속적으로 교회 밖으로부터 유입되어 들어온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현대 교회가 경건을 가장하여 다양한 종교의 배경 속에서 나름대로의 경건을 찾고 있다는데 있다. 성경에서 말한 것처럼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이 사라져 버린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한국교회는 양적으로 성장했지만 탈 근대주의 영향으로 가치관 혼란과 물질만능주의, 개인주의의 새바람이 교회 안에 들어옴으로써 복음에 대한 관심과 그로 인한 삶의 변화가 점차적으로 희미해져 가는 현실에 부딪히고 있다. 이제는 경건을 위시한 신앙생활이 아니라 자기만족에 중심한 신앙생활로 나타나고 있다. 교회를 하나의 기업으로 보고 소비자 중심적인 교회로서 신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경건의 이름을 붙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교회들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지 못하고 오히려 장려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경건 생활은 퇴색되어 가고 있다.




Ⅴ.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칼빈의 경건사상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파악되고 해석된다. 칼빈에게 있어서 경건은 외적으로 바리새적인 행동이나 외양적인 모습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었다. 또한 율법적이고 형식주의적인 삶의 모델을 삶 속에서 만들려고도 하지 않았다. 칼빈의 경건은 철저히 신자의 내면의 모습을 하나님으로부터 비추어보고 삶의 중심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와 관련된 것이었다. 물론 경건은 외면적이고, 실천적이며, 행동적인 측면이 따른다. 그리고 그것으로써 판단되고 평가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언제나 신자의 내면상태가 그대로 밖으로 표현된 것으로 외면적인 모습일 뿐이며 삶의 중심이 다양한 일상사 속으로 확장된 것으로서의 생활이자 실천일 뿐이다. 칼빈에 따른 신자의 삶으로서 경건이 위치하는 자리는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아버지로 믿고, 사랑하고, 경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을 계시된 바에 따

참고 자료

1. 외국서적

DeVries, Dawn. Jesus Christ in the preaching of Calvin and Schleiermacher.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c1996
Ganoczy, Alexandre. The Young Calvin. tr. David Foxgrover and Wade Provo. Edinburgh: T&T Clark, 1987
Gerrish, B. A. Calvin`s Eucharistic Piety. Reformed Liturgy & Music. Vol. ⅩⅩⅩⅠ, No2, 1997
Runia, Klaas. The Renewal of the Church. The Reformed Theological Review vol.18. Jan-April, 1989
Senn, Frank C. ed., Protestant Spiritual Traditions. New York/Mahwah: Paulist Press, 1986
Seeberg, Reinhold. Lehrbuch des Dogmengeschichte. 2nd edn.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74-1975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2000.
Wallace, Ronald S. Calvin, Geneva, and the reformation : A study of Calvin as social reformer, churchman, pastor, and theologian. Edinburgh: Scottish Academic Press, 1988





2. 번역서

김동현 역, Beza, Theodore. 「존 칼빈의 생애와 신앙」, 서울: 도서출판 목회자료사, 1999
김미정.황대우 공역, Greef, Wulfert de. 「칼빈의 생애와 저서들」, 서울: SFC, 2006
김재성 역, Wendel, Francois. 「칼빈 - 그의 신학 사상의 근원과 발전」,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김종흡외 3인 공역, Calvin, Jean. 「기독교 강요」, 서울: 생명의말씀사, 1986
김지찬 역, Dyrness, William. 「주제별로 본 구약신학」,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4
노향규 역, Vriezen, Theodorus C.「구약신학개요」,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5
박종숙.이양호 공역, Bouwsma, William J. 「칼빈」,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91
박태현 역, Spijker, Willem van `t. 「칼빈의 생애와 신학」,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9
성경주석출판위원회 역, Calvin, Jean. 「칼빈 주석」,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80
이길상 역, Schaff, Phillp. 「교회사 전집」, 일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이종태 역, McKim, Donald K. 「칼빈 신학의 이해」,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이형기 역, Calvin, Jean. 「칼빈의 경건」,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86
최도형 역, Calvin, Jean. 「신앙입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황성철 역, Rice, Howard L.「개혁주의 영성」,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한국칼빈주의연구원 편역, Richard, Lucien. 「칼빈의 영성」, 서울: 기독교문화협회, 1986
3. 국내서적

권택조, 「영성발달: 신학적 교육심리학적 통합모델」, 서울: 예찬사, 1999
김경재, “심포지엄-그리스도교 영성과 영성훈련”, 김성재 편, 「성령과 영성」, 수원: 한국신학연구소, 1999
김재성, “기도론과 교회의 회복”, 「칼빈신학과 목회」, 한국칼빈학회 엮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나용화, 「칼빈과 개혁신학」, 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4
노영상, 「영성과 윤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배경식, 「경건과 신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2
안인섭, “칼빈의 교회와 국가”, 「세상속에 존재하는 교회:심창섭 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충남: 하교, 2007
오정호 편,「칼빈과 한국교회」,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9
이수영, “칼빈의 경건”, 한국칼빈학회 엮음,「John Calvin Ⅱ 칼빈, 그후 500년」, 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09
이종성, “칼빈의 경건”, 「칼빈신학해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정승훈, 「종교개혁과 칼빈의 영성」,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홍치모, 「종교개혁사」, 서울: 성광문화사, 1983
홍치모, 「종교개혁의 세계」, 서울: 아가페, 2003






4. 학위논문

안인섭, “칼빈의 경건 사상”, 서울: 종교개혁기념학술제, 2005년 10월
안인섭, “칼빈의 경건훈련”, 「경건훈련의 이론과 실제」, 총신대학교 경건훈련원 편(2006)
안치원,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과 칼빈의 경건(Pietas)의 비교 고찰”, 총신대학교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6
임종구. “칼빈의 소유의 개념과 경건사상”,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8
장유석, “칼빈의 경건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7
정주성, “칼빈의 영성-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일반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4
한종근, “칼빈의 신학 사상에 나타난 영성-pietas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6

5. 정기간행물 및 사전

김의환, “칼빈주의 교회관”, 「신학지남」 42권 3집(1975)
박건택, “칼뱅의 예배 이해”, 「신학지남」Vol. 262 (2000년 봄호)
이승구, “영성 개념의 문제와 성경적 경건의 길”, 「Hermeneia Today」, 제32호.
총신원보 2005년 11월호, “칼빈 더 깊이 알기”
국어대사전, 서울: 삼성문화사, 1991
기독교대백과사전 제1권 (기독교문사, 1980)
기독교 영성 사전, Gordon S. Wakefield, 엄성옥 역, 서울: 은성, 2002.
네이버 한자사전
신약성서 신학사전: 킷텔 단권 신약원어 신학사전 (서울: 요단출판사, 1986)
성서 원어 헬한 완벽 사전 (서울: 브니엘 출판사, 1989)
*성*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칼빈의 경건에 나타난 신자의 삶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