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스마트폰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이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친숙도와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
최초 등록일
2012.05.13
최종 저작일
2011.12
2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 사용용이성이 친숙도와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친숙도가 유용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 사이에 친숙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사용용이성과 이용의도 사이의 친숙도와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경기지역, 대구․경북지역 그리고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의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총 266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폰과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
2. 사용용이성
3. 친숙도
4. 유용성
5. 이용의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Ⅳ. 분석결과

Ⅵ. 결 론

본문내용

스마트폰은 모바일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어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이용자가 휴대폰에서 사용할 수 있다(심승배․정봉주, 2009). 과거의 모바일 폰에 다양한 기능이 장착되어 출시되었다면, 스마트폰은 관련 기업 및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유상 또는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범위와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평가받는 프로그램의 한 방식이다(나눔뉴스, 2010년 6월 14일). 초반에 나온 스마트폰은 조작이 쉽지 않았지만, 근래에는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설계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출시되고 있고(홍원표, 2010), 인터넷 접속은 물론, 컴퓨터처럼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양용석, 2010).
이처럼 지금의 스마트폰은 강력한 하드웨어 사양을 가지고 있어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인터넷 기술인 와이파이가 스마트폰에 장착되면서 제한적이지만 사용자들이 무료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장은미․박용재, 2010). 이로 인해 무선인터넷을 통한 생활방식이 변화되고 있고, 이동 중에도 인터넷을 이용하고 싶은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출현하고 있다(양용석, 2010). 이러한 스마트폰은 헬스, 안전, 공공 서비스 등의 부문에서도 도입이 확산되고 있고 스마트폰의 복합 기능화가 생활 편의, 엔터테인먼트, 업무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면서(배재권․정화민, 2008) 현대사회에서의 모바일 네트워크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외식소비자는 스마트폰의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터치 한번으로 외식업소를 찾고, 예약을 하며, 다른 고객들이 올려둔 많은 후기, 이용방법, 할인정보 등의 정보를 접하게 된다.

참고 자료

김성개(2009). 사용자 환경과 스마트폰 특성요인이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성혁․김용일․서용은(2009). 여행상품 전자상거래 구매자의 여행사 웹사이트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TAM(기술수용모델) 적용.『호텔경영학연구』, 18(2): 151-166.
나눔뉴스(2010년 6월 14일). 외식전문기업용 스마트폰 어플(APP)개발로 화제.
http://www.nanumnews.com/sub_read.html?uid=20447
노영(2011). 관광블로그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연구: TAM과 IDT 모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노컷뉴스(2010년 12월 1일). 스마트폰 사용자 늘수록 소셜커머스 디씨허니 호황.
http://health.cbs.co.kr/news/news_view.asp?news_cd=1649232
머니투데이(2010년 9월 7일). ‘스마트폰 오브제’로 외식 30% 할인받는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090710293841836&outlink=1
매일경제뉴스(2010년 12월 1일). 듬뿍듬뿍 주는 스마트폰 뱅킹.
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0&no=662804
박보름․양승현․이연경․창병모(2010). 위치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 개인 맞춤형 소극장 안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정보처리학회논문지』, 17(1): 53-58.
배재권․정화민(2008). 스마트폰의 기능적 속성이 채택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e-비지니스 연구』. 9(4): 337-361.
석미애(2006). 휴대전화를 이용한 Mobile POS 구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3.
송경재(2010). 특집: IT기반 소통의 진화: SNS와 스마트폰이 결합된 소셜미디어.『지역정보화』, 64(1): 4-3.
스포츠월드(2010년 10월 21일). 외식업계와 스마트폰이 만나면.
http://sportsworldi.segye.com/ Articles/Sports/Article.asp?aid=20101020005020
신정아(1998). 대학도서관에서의 정보기술 수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승배․정봉주(2009). 한국 스마트폰 시장의 확산 전략. 2009 춘계학술대회, 대한산업공학회: 1-8.
양용석(2010). 초점: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한 국내 통신시장 환경 변화 및 법, 제도적 대응방안.『방송통신정책』, 22(11): 23-42.
월간 외식경영(2010년 10월 27일). 스마트폰과 함께 등장한 외식업계新프로모션. 트위터와 앱.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102711362618923&outlink=1
이국용(2010). 모바일 정보기술의 수용 후 이용중단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연구, 23(1): 135-156.
이상범(2010). 모바일 RFID를 활용한 음식정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9.
이상홍(2010). 스마트폰과 공학교육: 스마트폰과 대학교육 2.0.『공학교육』, 17(2): 10-13.
이왕돈․ 윤영선․이국용(2007). 모바일 컨버전스 기술에 대한 지각특성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e-비즈니스연구』, 8(1): 35-61.
이유재(2008). 『서비스마케팅 4판』. 파주시: 학현사.
이윤정(2010). 대학도서관 원문복사서비스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정보공유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용․이용희․이수범(2006). 패밀리 레스토랑 POS의 사용 용이성, 유용성, 사용태도가 사용의도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호텔경영학연구』, 15(2): 265-284.
이재형(2005). 호텔 프론트오피스 시스템 이용행동 분석: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의 실증적 응용.『호텔경영학연구』, 14(4): 195-214.
장은미․박용재(2010). 사례발표: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학공간서비스의 확장. 『정보처리학회지』, 17(3): 87-92.
전종훈․이승윤(2010). 특집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기술 표준 동향. 『정보처리학회지』, 17(3): 43-50.
진진아(2009). 모바일 쿠폰의 지각된 용이성이 쿠폰의 사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유용성, 관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파이낸셜뉴스(2010년 5월 21일). 스마트폰·트위터’ 외식업계를 흔들다
.http://www.fnnews.com/view?ra=Sent10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988687&cDateYear=2010&cDateMonth=05&cDateDay=21
한국외식경제(2010년 7월29일). 외식업체 광고, 스마트폰으로 한다!
http://www.foodbank.co.kr/news/view.php?secIndex=23919
홍대기(2010). 권두언 : 스마트폰 특집을 발간하며.『정보처리학회지』, 17(3): 2-2.
홍원표(2010). 경총포럼: 세상을 바꾸는 힘 스마트폰. 『월간경영계』, 377(1): 52-55.
Ajzen, I. & Fishbein, M.(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Alba, J. W. & Hutchinson, J. W.(1987). Dimension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Behavior, 13(3): 411-454.
Baker, J., Grewal, D., & Parasuraman, A.(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328-339.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Cordell, V. V.(1997). Consumer knowledge measures as predictors in product evaluation. Psychology and Marketing, 14(3): 241-260.
Davis, F. D.(1986),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 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al dissertation, Sloan School of Managemen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avis, F. 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39.
Engel, J. F. & Blackwell, R. D.(1982). Consumer Behavior. New York, Holt, Reinhart and Winston.
Fridgen, J. D.(1987). Use of cognitive maps to determine perceived tourism region. Leisure Sciences, 9(1): 101-117.
Gefen, D., Karahanna, E., & Straub, D. W.(2003).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racted model. MIS Quarterly, 27(1): 51-90.
Igbaria, M., Gumaraes, T., & Davis, G. B.(1996). Testing the determinants of microcomputer usage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1): 87-114.
Johnson, E. J. & Russo, J. E.(1984). Product famili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1): 542-550.
Laudon, K. C. & Laudon, J. P.(2006). Essentials of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Prentice Hall, Seventh Edition, 205-206.
Lederer, A. L., Maupin, D. K., Sena, M. P., & Zhuang, Y.(1998). The role of ease of use, usefulness and attitude in the prediction of world wide web usage. Proceedings of the 1998 ACM SIGCPR Conferende on Computer Personnel Research, 195-204.
Legris, P., Ingham, J., & Collerette, P.(2003). Why do people use information technology? critical re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0(3): 191-204.
Mackay, K. & Fesenmaier, D.(1997). Pictorial element of destination i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3): 537-565.
Mowen, J. C.(1995). Consumer Behaviour. 4t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Graw Hill.
Parthasarathy, M. & Bhattrcherjee, A.(1998). Understanding post-adop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online service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4): 362-379.
Preacher, K. J. & Hayes, A. F.(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Rao, A. R. & Monroe, K. B.(1988).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cue utilization in product evolu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9): 253-264.
Rogers, E. M.(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ition. New York: Free Press.
Sobel, M. E.(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90-312.
*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스마트폰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이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친숙도와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