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서지역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영*
최초 등록일
2013.03.16
최종 저작일
2012.12
1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연구는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 해양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문제와 공통적인 과제를 도출하여 도서를 활용한 해양관광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전라남도 해양관광의 공간, 자원 등 실태를 분석한 후 해양관광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전남 해양의 독특한 생태적 가치와 관광수요 증가에 따른 잠재적 가치가 풍부한 무인도서를 활용한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해양관광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종 통계자료, 인터넷 자료, 현황자료 조사와 전남 해양 무인도서 실태 조사 및 해외 사례조사를 통해 해양관광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해양관광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 한국관광공사, 국립공원, 시도 및 지차체 등 정부기관과 전문기관의 관련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해양 관광의 활성화와 향후 해양관광개발 정책을 정립하는 방향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and issues of Marine tourism. The main aim of the field study and survey were to obtain the solutions to development of the basic unsolved problems of Marine tourism through the desert island. This study contributes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by proposing differentiated tourism program in Jun-Nam region and contributes to promote related studies by suggesting advanced skills in establishing policies on Marine tourism. The Korean government focused on the Marine tourism development policy for many years. In the recent years, many evidences suggest that marine tourism has rapidly increased owing mainly to the secular growth in personal disposable incomes. Korea has four distinct seasons. Due to these seasonal characteristics, Marine tourism is mainly conducted during summer time. Each coastal city provides similar summer activities. Such limitation of cultural tourism can be overcome by linking various cultural tourism with cultural resources of local tradition.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Ⅱ. 무인도서의 현황과 문제점
1. 해양관광의 현황
1) 세계 해양관광 추세
2) 국내 해양관광 추세
2. 무인도서 현황
1) 무인도서 현황
2) 무인도서의 특성
3) 무인도서 관리유형의 종류와 개념
3. 무인도서의 해양관광 관련 문제점
1) 해양관광의 현안 문제점
2) 무인도서 관리의 문제점
3) 무인도서 운영의 문제점

Ⅲ. 국내외 해양관광 도서 사례조사
1. 무인도서 사례 조사
1) 국내 무인도서 사례조사
2) 해외도서 사례조사
Ⅳ. 전남지역 무인도서를 활용한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
1. 정책적 활성화 방안
1) 전남 무인도서의 여건분석 및 합리적 관리
2) 지역 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
3) 무인도서 해양레저관광 개발계획 수립
2. 공간적 활성화 방안
1) 무인도 공간구조 및 토지이용계획
2) 도서의 관광자원 체계화
3) 무인도서 해양관광 상품 개발
4) 무인도서 전문인력 확보

Ⅴ. 결 론

본문내용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면서 여가시간이 늘고 종전에 단순히 보고 즐기는 관광이 직접 체험하는 패턴으로 바뀌면서 해양레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남 무인도서의 잠재적 가치가 새롭게 평가되면서 개발 수요도 늘고 있다. 반면 일부 무인도서 주변에는 염소 등 가축방목, 폐어망·폐어구 방치 등에 의해 생태계 훼손이 일상화되어 있으며, 무분별한 골재채취, 관광객의 식물·희귀석 무단채취, 낚시객에 의한 쓰레기 투기 등에 의해 자연경관 및 생태계 파괴가 지속되고 있어 외부간섭에 의한 생태계 등 훼손과 교란이 심화되는 등 생태계와 환경이 훼손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처럼 무인도서를 시급히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무인도서를 절대보전·준보전·이용가능·개발가능 무인도서 등 4개 유형으로 지정, 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도서의 잠재적 가치를 인정하면서 무인도서를 활용한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무인도서의 이용·개발 계획 등을 재평가하여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관광수요와 연계 가능한 무인도서를 해양경관형, 생태체험형 등 유형별 개발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민·관·학 공동 무인도서 정책 협의회 구성 등 종합적인 무인도서 관리와 지원체계 효율화를 위한 무인도서 관련 정책 추진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무인도서 관광 수요기반 확충을 위해 여수세계박람회와 연계한 무인도서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요트 이용객들의 도서 관광 수요 확대를 위한 무인도서와 마리나 관광 연계방안을 강구해야한다.
최근 무인도서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무인도서 종합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무인도서종합관리는 무인도서에 대한 종합적·체계적 관리가 가능하고 수려한 자연경관이나 해양생태계 보고로서의 가치를 활용할 수 있어 해양관광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논문의 한계점은 무인도서 관광자원화와 관계법 사이에 한계점이 나타났다. 무인도서에 대한 환경친화적 절대보전과 이용가능 개발이 무인도서법이 정한 관리유형 국토해양부장관은 무인도서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무인도서를 관리유형별로 지정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시하여야 한다.(무인도서법 제10조 1항)으로 대통령령에 의해 지정 고시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도서를 활용한 관광자원화는 일부 지역의 경우 생태환경 및 식생자원의 보호차원에서 관광자원화와 역설적인 개념이 대두될 가능성이 크며, 대부분의 무인도서가 개인의 사유지로 관광지 개발에 대한 접근이 매우 조심스럽다는 것이 금번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무인도서가 해양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된 점을 인지하여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박종찬·김성동(2006),최신 관광자원론,갈채,pp127-128.
김성귀(2007), 해양관광론, 현학사,p.37.
신동주 ·신혜숙(2005), 해양관광개발론, 대왕사,p.26.
김갑돌(2010), 한국해양관광연구원,어촌체험 프로그램의 현황.
이연규(2010),우리나라 무인도 가치.
국토해양부(2010.1),무인도서종합관리계획.
(2008), 해양관광진흥 기본계획 수립 및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2006), 해양관광 기반시설 조성연구.
행정자치부(2005), 내부자료 한국도서통계.
문화체육관광부(2008.5), 섬 관광활성화를 과제발굴 및 평가모델 개발
(2008.9), 남해안 관광벨트 연계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0),해양관광활성화를 위한 해양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pp88-92.
(2010), 해양수산백서.
이승우(2008.12), 해양관광진흥 기본계획 수립 및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연구원.
전라남도(2009), 도정백서.
호남대학교 관광교통연구소(2005), 전남 섬 관광자원 개발사업 기본계획, 전라남도.
중소조선연구원(2005),「해양레저클러스터세미나프로시딩」.
호주관광청(2007),호주 관광국 관광정책,범국가적인 ‘10개년 관광전략계획’.
Hall, Michael(2001), "Trends in ocean and coastal tourism : the end of the last frontier", Ocean & Coastal Management,p.602.
http://www.momap.go.kr. 국토해양부.
http://www.mcst.go.kr.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naver.com. 백과사전, 블로그.
http://oceanlove.com.ne.kr.
*영*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다도해 해양관광활성 48페이지
    최영수 5 다도해 해양관광 개발 활성방안대한 연구: 신안 임자도를 ... 개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살펴본 바 있다. ... 정책적 활성방안 1) 사례분석을 통한 정책적 활성방안 다도해 해양관광
  • 한글파일 부산 해양 관광 활성방안 연구 26페이지
    부산 해양 관광 활성방안 연구 - 스포츠, 휴양, 연관형 관광을 중심으로 ... - 관 광 학 부 관 광 경 영 전 공 부산 해양 관광 활성방안 연구 ... 이를 통해서 부산의 도시특성에 부합되는 도시교통 난 해소, 해양관광 활성
  • 한글파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생태관광 발전방안 30페이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생태관광 발전방안 목 차 Ⅰ. 서론 Ⅱ. ... 국내 생태관광 현황 Ⅳ.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생태관광 발전방안 1. ... 활용하여 지역의 경제와 사회를 활성화하며(경제?
  • 한글파일 [졸업논문]우리나라 해양레저스포츠의 문제점과 활성방안에 관한 연구 38페이지
    [졸업논문] 우리나라 해양레저스포츠의 문제점과 활성방안에 관한 연구 목 ... 우리나라의 해양레저스포츠 활성방안 1. ... 따라서 여가의 증가는 분명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를 위하여는 유리한 여건으로
  • 한글파일 해양관광레저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방안 39페이지
    해양관광레저산업의 현황 과 문제점 및 활성방안 Ⅰ. ... 해양관광레저산업의 활성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Ⅰ. ... 해양관광레저산업의 전망 및 활성방안 1. 해양관광산업의 전망 2.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서지역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