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일*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3.20
최종 저작일
2012.10
3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로 총 29페이지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2장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의의
1. 개념
2. 구별개념

제2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역사

제3절 미국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내용
1. 서설
2. 제조물책임
3. 저작권 침해
4. 반독점법
5. 증권관련소송


제3장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국내도입 논의
제1절 서설

제2절 도입 찬성론
1. 해석론으로 인정하려는 입장
2. 직접규정하려는 입장
3. 도입방식

제3절 도입 반대론
1. 법계의 이질성
2. 민사책임과 형사책임의 구분 필요성
3. 위헌가능성
4. 피해자의 부당이득 가능성
5. 피해자 간 불공평의 문제
6. 기업활동의 위축 우려
7. 남소 위험성
8. 과도한 배상에 대한 실체법적 통제기준의 미비

제4절 소결


제4장 결론

본문내용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우리 민법은 개인주의 및 자유주의사상을 따르는 근대민법원리에 의하고 있다. 근대 민법은 개인의 이익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개인주의적 원리와 뜻을 같이 하기 때문에, 불법행위법도 과실책임주의를 근거로 한다. 과실책임주의에서는 개인의 자유로운 활동의 결과 타인에게 손해를 끼치는 일이 있더라도 과실이 없으면 배상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개인의 자유 활동에 대한 최소한의 제한이라고 하는 불법행위제도의 이상에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이는 초기 자본주의의 산업형명에 따른 산업의 확대와 발전, 그리고 신흥중산계급의 이윤추구를 위해 그들의 책임을 축소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국가 발전을 위해서 기업에 과중한 부담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따라서 과실책임주의는 가해자에 대한 행위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에는 관대하지만, 피해자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협소하다고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있어서 손해발생의 위험성과 그 확대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로 인하여 손해배상의 범위를 적절하고 타당한 범위로 제한하려는 반면, 위험분산이라는 법이념에 의해서 손해를 광범위하게 인정하는 방안이 손해배상법의 과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우리 민법 제750조 이하 따르면 일정한 요건 하에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다.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은 이미 권리를 침해받은 상태에 대한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손해의 전보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가해자는 피해자가 발생한 손해배상만을 배상할 뿐 가해자의 고의?과실을 구별하지 않고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다. 피해자의 가해행위를 예견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악의적인 가해자와 과실에 의한 가해행위를 한 자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액의 산정에 있어서 고의?중과실 등과 같은 가해자의 귀책성 정도를 충분히 참작하여야 할 것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보통법(common law)세계에서 형성되고 미국에서 일반화 되어 온 중요한 법제도이다.

참고 자료

기업소송연구회, 증권집단소송법, 삼영사, 2006.
김건식, 미국증권법 홍문사, 1996.
김도형,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소고”, 경성법학, 제17집 제1호,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김두진, 공정거래법 및 소비자관련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김선정, 제조물 손해배상 책임보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김재국, “영미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에 관한 소고”, 비교사법 제2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1995.
배상철, 산업재산권 분야에 있어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가능성 및 도입 방안, 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권연구센터, 2005.
사법개혁위원회 제16차, 제17차 회의자료. 2004. 7. 5, 2004. 7. 19.
윤정환,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이덕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일고찰”, 법학논총, 제24집 제3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이수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동아법학, 제38호, 2006.
이종구, “한미 FTA의 이행에 따른 미국의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그 한계”, 산업재산권 제23호,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2007.
장윤선,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장익창, 특허관련 대기업 횡포 막을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해야, 세계일보, 이코노미세계 & Segye.com, 2012.
정해상, “손해배상의 법리와 징벌적 손해배상의 관계”, 중앙법학 제6집 제4호.
한봉희, 제조물책임법론, 대왕사, 1997.
한철, “증권중재와 징벌적 손해배상책임-미국 판례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재연구 제14권 제2호, 2004, pp. 107-133.
Anthony H. Castillo, Comment: Liability Insurance and Punitive Damages: Does Texas Public Policy Detest This Union, 38 St. Marys L. J. 830, 2007.
Basil Markesinis, Michael Coester, Guido Alpa, and Augustus Ullstein, Compensation for Personal Injury in English, German and Italian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Blacks Law Dictionary, 6th edition, West Publishing Co., 1990.
Basil Markesinis, Michael Coester, Guido Alpa, and Augustus Ullstein, Compensation for Personal Injury in English, German and Italian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Mastrobuono v. Sheaerson Lehman Hutton, Inc., 514 U.S. 52, 1995.
Rookes v. Barnard, House of Lords [1964] 2 WLR 269; 108S. J. 93; [1964] 1 All ER 367; [1964] 1 Lloyds Rep. 28.
Watts v. Morrow [1991] 4 All ER 937; [1991] 1 WLR 1421. D.R. Howarth / J.A.Osullivan, Hepple, Howarth and Matthews Tort: Cases and Materials, 5th ed., Lexis Nexis, Butterworths, 2003.
*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경제민주화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 경제민주화 논문 8페이지
    손해배상제도 및 집단소송제도의 확대 등 피해당사자의 민사적 규율 강화 등을 ...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해 경제에 관한 ... 공정위 전속고발권의 (일부) 폐지를 비롯한 형사적 규율의 강화, 그리고 징벌적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