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어린이집 활동시간에 나타나는 또래갈등상황 분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6.01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아동권리학회 수록지정보 : 아동과권리 / 10권 / 4호
저자명 : 김균희, 이완정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활동시간과 유아의 언어 및 행동, 유아 간 상호작용이 관련성이 많다고 보고, 어린이집의 활동시간에 따라 유아 간 발생하는 갈등상황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규모가 비슷한 11개 어린이집을 임의로 선정한 후, 해당 어린이집에서 94명의 유아를 무작위 표집 하였다. 분석대상은 이들 유아가 자유놀이, 교사주도활동, 간식 및 전이시간에 일으킨 571개의 갈등상황으로 하였다. 비디오로 녹화된 자료는 두 유아 간에 발생한 갈등상황만을 전사한 후 분석하였으며, 전사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의 χ2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시간에 따라 갈등쟁점, 갈등해결전략, 갈등상황에서의 정서표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놀이시간에는 사물, 영역에 대한 소유분쟁 및 제안, 도움거부, 교사주도활동과 간식 및 전이시간에는 활동방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유아는 자유놀이시간에 이유 설명하기, 제안, 부탁하기 등의 타협적이고 긍정적인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울기, 노려보기 같은 부정적인 전략 사용은 적게 사용하였다. 갈등이 평등하게 해결되는 비율은 자유놀이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교사주도활동에서는 갈등이 해결이 되지 않고 종결되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유아는 교사주도활동에서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다양한 활동시간과 관련하여 또래갈등상황을 깊이 있게 분석해 본 것에 의의가 있으며, 활동시간에 따른 유아간 갈등을 해결해 주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in young children's peer conflicts, (2) to investigate conflict component, such as issues, strategies, outcomes, emotion expression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s daily schedules.
Subjects were ninety-four 3-, 4- and 5-year-olds recruited from eleve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Kyonggi and Incheon province. Interaction between these young children were recorded by a video camera, and the scene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of peer conflict situations which occurred between two children.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hi-square.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nflict components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s daily schedules. In free play time, “acquisition with object and territory” and “rejecting suggestions” were frequently observed, but in time which teacher leading and in eating and transition time, conflicts occurred when young children disturbed activities of the othe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used positive strategies such as “reasons” and “suggestion” in free play time. Conflicts resulted with comparative ease in free play time and were not solved mostly in time which teacher leads. Young children displayed negative emotion during teacher-led tim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어린이집 활동시간에 나타나는 또래갈등상황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