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초등학생의 보건지식 함양을 위한 학교급식 만족도와 효과분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9.01
1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15권 / 2호
저자명 : 권오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인간은 건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 지고 있으며, 외부의 어떤 자극이나 환경에 대하여 의 식 또는 무의식 속에서 스스로 방어하는 기전을 가지 고 있다. 인간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개인․가정․사 회의 건강을 관리할 줄 아는 능력이 개발되어야 하며, 건강관리의 능력을 기르는 가장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이 보건교육이다. 이에 따라 질병 및 상해와 관련 된 건강위험행위를 예방하고 건강행위의 실천을 도모 하는데 필요한 보건지식을 습득하도록 돕는 보건교육 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Meeks & Heit, 2003).
또한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 성문제, 흡연, 음주, 약물 오남용,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문제로 인해 학생들의 건강한 생활양식의 유지를 위한 보건지

영어 초록

The knowledge on health to prevent any risk from the health behavior related to diseases or injuries in seek for practices on the health behavior should be done in the healt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s the stage to form the desirable basic living habits for the health.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basic materials for the health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ight dietary life, improvement on the school food supply and quality of school food supply among others by survey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effect for the school food supply to increase the enhancement of quality in operating the school food supply for 1,129 students in 1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angdong, Gangseo, Gangnam and Gangbuk areas).
The questionnaire applied to this study includes three items on the basic questions (gender, grade and school location), ten items for two areas regar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the school food supply (perception to the taste and type, perception to the hygienic state), and ten items in two area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school food supply (changes in the perception to the school food supply and changes in the attitude to the school food supply).
The analysis on the data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as done with the statistics analysis program SPSS 12.0 to obtai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and school location) for the research objects and to identify any significant difference using t-test and f-test at a level of p<.05. The analyt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n the perception of school food supply in the satisfaction item was 3.204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de and school location, of which the highes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orth grade (3.501) for the grade and in Gangdong (3.357) for the school location. The overall average on the preference to the school food supply was 3.564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grade and school location, of which female students (3.688) showed higher than male students (3.444) for the gender, and the highes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orth grade (3.922) for the grade and in Gangdong (3.757) for the school
location.
Second, the overall average on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chool food supply in the effect item was 3.459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de and school location, of which the highes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orth grade (3.729) for the grade and in Gangdong (3.797) for the school location. The overall average on the preference to the school food supply was 3.318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de and school location, of which the highes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orth grade (3.573) for the grade and in Gangdong
(3.586) for the school location. Considering the aforesaid findings, it is important to practice the health education to contain the health knowledge related to the nutrition in order to intake the adequate amount in balance with diverse food by correcting the irregular and imbalanced dietary habits in the childhood. The goals of health education for the nutrition do not lie in delivering the simple health knowledge, but in keeping more rationingdietary living by applying the health knowledge to the actuinglif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the structuringinstructions from the elementary school in teaching the dietary habits for
the m ingement of nutrition for children in the age of forming the dietary habits as such teaching aims at leading them to have the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to learn the abilities of self-management on the dietary lif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초등학생의 보건지식 함양을 위한 학교급식 만족도와 효과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