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학점은행제 평가인정의 메타평가 준거 개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7.01
3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Andragogy Today / 10권 / 2호
저자명 : 임옥진

목차

학점은행제 평가인정의 메타평가 이론적 기저
연구 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평가인정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인 메타평가 준거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메타평가 영역을 평가투입, 평가과정, 평가결과 및 활
용의 세 영역으로 설정하여 총 30개의 준거를 설정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준거의 적합
성 검토, 타당성 검증의 과정을 거쳐 29개의 준거를 개발하였다. 준거의 적합성 검토는
전문가 13명에게 실시하였고, 타당성 검증은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평가위원(제15차)과
전국의 463개 교육훈련기관 학점은행제 실무자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평가투입 영역의 준거는 평가목적의 타당성, 평가조직ㆍ기구의 적절성, 평가위원의
양적 적절성, 평가위원의 전문성, 평가위원의 선정 및 구성의 적절성, 평가예산의 적정
성, 평가자료의 적절성, 평가영역 및 항목의 타당성, 평가지표 및 기준의 타당성, 평가점
수 배분의 적절성 등 10개가 개발되었다. 평가과정 영역의 준거는 12개로서 평가주기의
적절성, 평가시기의 적절성, 평가방법의 적절성, 자체보고의 정확성, 서면평가의 충실성,
현장방문평가의 충실성, 평가절차의 합리성, 평가대상기관 오리엔테이션의 적절성, 평가
편람 배포의 적절성, 평가위원 사전평가교육의 적절성, 평가의 객관성, 평가의 공정성
등이다. 평가결과 및 활용 영역의 준거는 평가결과의 신뢰성, 평가결과보고서의 충실성,
이의제기 기회의 적절성, 평가결과의 공개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평가결과의 영향성, 메
타평가의 적절성 등 7개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a standard to evaluate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o develop the meta-evaluation criteria. For that, the researcher
established meta-evaluation criteria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on the basis
of that, conducted an investigation-study in the order of inves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riteria, its validity research. Meta-evaluation area has
been composed of the three items including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results & application, and total 30 criteria were established. After
revising & supplementing under the examin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criteria by 13 experts, 29 criteria were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their appropriateness.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appropriateness verification
was conducted on the evaluation committees(the 15th)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for its accreditation, and on the working-level persons for academic
credit system in 463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roughout the country.
First, ten criteria for evaluation input area were developed: 1) the validity of
evaluation purposes; 2)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organizationㆍsystem;
3) quantitativ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committees; 4) the speciality of
evaluation committees; 5) the appropriateness in the selection & composition of
evaluation committees; 6) the adequacy of evaluation budget; 7)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data; 8) the validity of evaluation area & items; 9)
the validity of evaluation index; 10) the validity of the allocation of evaluation score.
Second, twelve criteria for evaluation process area were developed: 1)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time; 2)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cycle; 3)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method; 4) the accuracy of in-house reporting;
5) the faithfulness of written evaluation; 6) the faithfulness of on-the-spot
evaluation; 7) the rationality of evaluating procedures; 8) the appropriateness of
orientation by an outside evaluating organization; 9)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handbook distribution; 10) the appropriateness of pre-evaluation
education for evaluation committees; 11)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12) the
fairness of evaluation.
Finally, seven criteria for evaluation results & their practical use area were
developed: 1) the reliance of evaluation results; 2) the faithfulness of evaluation
result report; 3) the appropriateness of objection chance; 4) the openness of
evaluation results; 5) the practical use of evaluation results; 6) the influence of
evaluation results; 7) the performance of meta-evalu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학점은행제 평가인정의 메타평가 준거 개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