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융의 분석심리학적 차원에서 본 직업인의 심리적 탈진에 관한 연구 : 교사를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7.01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Andragogy Today / 10권 / 2호
저자명 : 김영희

목차

분석심리학적 인간관과 마음의 특성
교사의 페르조나(Persona)와 심리적 탈진
교사의 심리적 탈진 극복을 위한 방안: 융의 개성화과정
맺는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최근 성인 직업인의 심리적 탈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으나, C. G.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 직업인, 교사의 심리적 탈진을 분석하고, 그 극복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는 아직 출발점에 서 있는 것 같다. 한국의 특수한 교육현실에서 경험 할 수 있는 교사의 심리적 탈진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Jung이 개념화한 “페르조나(persona)” 와의 지나친 동일시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교사가 한국사회집단에서 요구하는 ‘교사상’만을 따르게 되면 자아는 자신의 내적인 정신세계와의 관계를 상실하게 되고, 그 결과 자아의식의 에너지는 고갈되고 지쳐버리게 된다. 교사가 탈진하게 되면 내안의 또 다른 인격은 교사로 하여금 ‘그 사람 자신’이 되게 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교사가 심리적 탈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외부세계와 관계를 맺고 있는 교사 페르조나와의 동일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야 한다. 따라서 탈진한 교사는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내적인격인 무의식과의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자아(ego)가 중심이 된 삶에서 자기(Self, 전체성)가 중심이 된 삶으로 변환하는 인격의 성숙을 스스로 경험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Jung은 자기실현, 즉 개성화 과정이라고 하였다

영어 초록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 done on adult workers' psychological burnout, but there has not been a study done from C. G. Jung's analytical psychology perspective. This study points out that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originating from the educational reality in Korea results from teachers' excessive identification with the “persona” conceptualized by Jung. If the teachers follow only the “teacher's image” required by Korean society, they los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internal spiritual world and, as a result, run dry of all the energy of ego consciousness. When teachers are burnt out, their unconsciousness, which is their other personality, is inclined to make the teachers be “themselves”. In order to overcome their burnout at this stage, they have to free themselves from their identification with the “teacher persona” of the outside world and have to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m. By examining their inner world and restor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unconsciousness, they come to experience the maturing process from an ego-centered life to a Self(wholeness)-centered life. Jung refers to this process as self-actualization, namely, the individuation proces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융의 분석심리학적 차원에서 본 직업인의 심리적 탈진에 관한 연구 : 교사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