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1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51권 / 3호
저자명 : 이은철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라포 형성 수준이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
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D대학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라포 수준 고 집단13명, 라포 수준 저 집단11명이
다. 학기 초 친밀도 조사를 통해서 라포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라포 수준이 높은 3개의
집단을 구성하고, 라포 수준이 낮은 3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2주 동안 온라인으로 협력과제를 수행
하도록 하였다. 협력과제 해결을 위해서 학습자들의 주고 받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호작용의 유형 및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고, 상
호작용 양상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MIAT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
체적인 상호작용의 수준은 고수준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은 고수준집단이 높
게 나타났고, 메타인지적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호작용
의 양상을 비교한 결과 고 수준 집단과 저 수준 집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집단 구성 전략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 특성과 적
절한 교수 전략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apport formation levels on interaction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As for the research subjects, the 24 university students of D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re the rapport levels high group of 13 persons and the rapport levels lower
group of 11 persons. It grasped the rapport levels through the survey on the level of closeness in
the beginning of the school term. It composed the three groups whose rapport levels are high and
the three groups whose rapport levels are lower for the test. It made them carry out cooperative
tasks online for two weeks. It collected the data by analyzing the messages that the learners send
and receive to solve the cooperative tasks. As for the collected data,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ypes and levels of interaction and the structure was compared
by using MIA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interaction structure. The result has found that the
entire levels of interaction in the rapport levels high group are high. Cognitive and social interaction
has found that the rapport levels high group is high and meta-cognitive interaction has found that
there is no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result which compared the
interaction structure has found that there is no any difference between the rapport levels high group
and the rapport levels lower group. Therefore, the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strategy to
compose group only is not enough as the method to promote interaction in online cooperative
learning. So it suggested utilization of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roper teaching
strategies to promote interaction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