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미술교과서 다시 읽기:교과서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비평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6.01
2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28권
저자명 : 김선아

목차

I. 도입
II. 개념적 배경
1. 비판이론: 누구의 위한 지식인가?
2. 다문화주의: 누구의 미술을 가르칠 것인가?
III. 교육문화와 교과서
1.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과서
2. 교과서를 통한 교육문화 개혁
IV. 문화예술교육과 교과서
1. 예술의 사회적 기능
2. 교과서의 문화적 기능
V. 전통문화와 교과서
1. 전통이 가지는 문제들
2. 교과서 속의 전통의 모습들
VI.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한국어 초록

교과서는 수업을 돕는 교재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이 온 힘을 다해 암기하는 지식의 총체이기도 하다. 미술교사는 교과서를 가르치지는 않을지라도, 교과서를 통하여 구체화된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자신의 교육 목표를 비교하여 점검하는 데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교과서는 보편적인 진리와 확실한 사실만을 담은 확고부동한것이 아닌, 이를 검정하고 교육과정을 제정하는 국가의 요구와, 교실 현장에서 해석하고 사용하는 교사의 시각, 그리고 교과서를 통하여 교과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게 되는 학습자의 시각들이 여러 가지 수준에서 작용하는, 하나의 문화적 산물이자 상징물이다. 이처럼 교과서는 다양한 기능과 다면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어느 방향에서 교과서를 논의하느냐에 따라 그 결론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를 지식 전달이나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도구적 관점에서 전환하여, 사회ㆍ문화적 시각에서 교과서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맥락적 시각에서 교과서를 바라보는 것은 이를 통하여 지식이 어떤 의미를 지니며, 교과서가 사회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사회와 문화의 어떠한 변화를 반영하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영어 초록

In this study textbooks are dealt not as the transmitter of objective truth or
indisputable facts, but as a cultural entity or symbol through which multi-faceted
perspectives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textbook conveys the needs of the
nation, which develop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uthorizes textbooks;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who interpret the textbook also shape the actual content of
textbooks; and the students draw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ubject as
they study the textbook. For the analysis of textbooks, the conceptual background
was drawn in association with critical theory and multiculturalism. By examining
three aspects that affect the content of art textbooks, such as National Art
Curriculum, Arts and Culture Education movement, and the notion of tradition,
this study seeks a way of viewing the textbook as a channel of commun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s a guide for constructing students' art experienc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book and various social?
cultural changes, and reviews literature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critical
and reflective discourses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extbooks in society should
precede the microscopic improvement of art textbooks and art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미술교과서 다시 읽기:교과서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비평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