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돌발상황하의 교통망 통행시간 예측모형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02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수록지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29권 / 1호
저자명 : 장원재

목차

Ⅰ. 서론
Ⅱ. 모형개발
Ⅲ. 모형의 적용
Ⅳ. 결론 및 향후연구과제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전통적으로 동적 교통망 모형들은 실시간 교통운영 문제를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모형들을 활용
하는 방안 중 하나는 예측통행시간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측통행시간 정보는 통행자들이 혼잡한 지역에서 덜 혼잡한
지역으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이는 교통망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통행시간정보가 미래 통행여건
자체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과잉반응(over-reaction)을 야기할 수 있으며 예측정보의 신
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상황 발생 시를 대상으로 교통망 차원의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서는 모든
운전자가 개인 차내 단말기를 통해 상세한 교통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경로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경로기반(route-based)의 확률론적 변등부등식(stochastic variational
inequality)을 통행시간예측의 기본모형으로 사용하였으며 운전자의 경로전환의사를 반영하기 위해 경로전환함수를
적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과 간단한 교통망 분석을 통해 제안된 모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영어 초록

Traditionally, a dynamic network model is considered as a tool for solving real-time traffic problems.
One of useful and practical ways of using such models is to use it to produce and disseminate forecast
travel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travelers can switch their routes from congested to less-congested
or uncongested, which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This approach seems to be
promising when the traffic congestion is severe, especially when sudden incidents happen. A
consideration that should be given in implementing this method is that travel time information may
affect the future traffic condition itself, creating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the over-reaction
problem. Furthermore incorrect forecast travel time can make the information unreliable.
In this paper, a network-wide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under incidents is developed. The
model assumes that all drivers have access to detailed traffic information through personalized
in-vehicle devic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Drivers are assumed to make their own travel
choice based on the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A route-based stochastic variational
inequality is formulated, which is used as a basic model for the travel time prediction. A diversion
function is introduced to account for the motorists' willingness to divert. An inverse function of the
diversion curve is derived to develop a variational inequality formulation for the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Computational results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돌발상황하의 교통망 통행시간 예측모형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