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분석에 따른 인력배치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저자명 : 김진우, 서동명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한국어 초록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이용자중심, 이용에 있어서의 선택권보장 등의 패러다임 하에 최
근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됨에 따라 장애인거주시설 이용대상 확대 및 입소조치방식에서의 이용계약방
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1인당 서비스 이용단가 산정이 필요한데, 산정에의 핵심인 적
정 인력배치수준을 가늠하기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에 대한 직무를 12개 시설 내 종사자 214명
에 대한 자료수집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종사자들은 평균 179,922분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연간 210일을 근무한다고 가정할 때, 하루 평균 14.28시간 근무,
6.28시간의 초과근무를 하는 것으로 표준근무시간 40시간 대비 주 31시간 이상 초과근무 하는 것이다.
이는 기관의 직원 1명이 1.79명분 시간의 근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보다 79%의
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생활재활분야 종사자가 근무시간이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128명의 생활재활분야 종사자가 평균적으로 196,882분을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하루
평균 15.63시간 근무, 7.63시간의 초과 근무하는 것으로 표준근무시간 40시간 대비 주 38.2시간 초과근
무하며, 이는 현재 인력보다 약 2배(1.95배)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정부가 이용계약방식으로 전환하여 1인당 서비스 이용단가1)를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하는
인력배치수준이 어느 정도까지여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준거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 초록

Allocation criteria for Residential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have been improved and the transition
from the way of administrative order for the entry to the way of contract-based service us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s such as service users-oriented, selection right in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Under the contexts, there needs to calculate residential care service unit price for one disabled person.
This research analyzed 214 employees in the 12 facilities which embody different kinds of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employees work 14.28 hours in average a day on the basis of
210 average working hours in Korea. This means they overwork 6.28 hours a day, which tells us that
they overwork more than 31 hours in comparison to the standard working hours per a week. Therefore,
there needs to employ 79% of employees additionally in that one employee in a facility almost works
as much as 179% of general one employee. Among them, especially carers work longer than other posts
in the facilities. 128 carers work 15.63 hours a day in average and overwork 7.63 hours a day under the
same logic as applied above, which means that there needs employ workforce almost double times so
as to follow labour law.
The research results are to be utilized in assuming how many employees should be drafted in th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before the government calculate residential care service unit price for a disabled
pers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분석에 따른 인력배치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