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도입국 청년의 다문화 대안학교 학습경험 의미탐색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4.08
최종 저작일
2015.02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Andragogy Today / 18권 / 1호
저자명 : 김정민, 한상길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청년의 다문화 대안학교 진학동기와 진학 후 학습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인터뷰로 수행하였으며, 참여대상은 본국에서 태어나 성장하다가 부모 중 한 명의 재혼으로 한국에 입국한 중도입국 자녀들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입국 후 한국어나 한국생활적응 등의 문제로 적정 나이에 맞는 일반학교진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다문화 대안학교를 선택한 진학동기로는 고교 학력이 인정되는 정규교육기관으로서 중도입국 자녀에게 일반 보통교과는 물론 수준별 한국어 교육과 기술교육 그리고 한국문화예술체험활동을 함께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과정 운영을 꼽았다. 이들이 경험한 다문화 대안학교 학습경험은 학(學)의 채움, 기(技)의 배움, 락(樂)의 즐김, 공동체와 소통(疏通)하고 세상에 안착(安着)하기, 용기와 꿈을 향한 비상(飛翔)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다문화 대안학교의 공식적, 비공식적 학습경험은 한국사회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삶을 개척하기 위한 내외적 동기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한국어능력부족은 대안학교에서 수준별 한국어교육과정을 운영함에도 불구하고 학습능력 부진과 상급학교 진학의 걸림돌 및 진로결정에 여전히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사회는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지원함에 있어 자국 학생들과의 차별적 우대가 아닌 한국사회에의 적응을 위한 학습능력과 한국어능력 신장 및 진로직업교육 실천을 위한 학교교육지원 체계에 대한 노력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motivations in attending th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cademic experience of Immigrant Youths. In order to fulfil our purpose, we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narrative interviews, target is Immigrant Youths attending a culture alternative school. study participants had difficulty to school Admission due to the problems of korean and korea life adaptation after entering the korea. Research, study participants are motivated to select a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is because 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the high school education. Selection factors have been included provision of a standard academic curriculum, korean teaching, technical education for vocational preparation, Korea Culture and art activities in multicultural curriculums. Learning experience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includes curriculums, technical training, experiential learning, community life, social adaptation Korea, the future plans. and I have explored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 significance of research.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gave providing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for exploring life through self-directed in Korea. I could see through it to find a positive meaning. But their Korean skills shortage were poor learning skills despite running a level Korean language course in an alternative school. it has served as barriers to still further study to higher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 Korea society is compared to the Immigrant youths and Korean Youths that given to extra points for Immigrant youths is not appropriate. To adapt properly to Korea society of th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support the learning skills, Korean education and technical training in school. To do so, the effort should be made to the education support system.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도입국 청년의 다문화 대안학교 학습경험 의미탐색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