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2.11
최종 저작일
2015.12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인지행동치료 / 15권 / 3호
저자명 : 홍하나, 조용래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의 공포의 초점으로서 Moscovitch(2009)에 의해 새롭게 제안된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상황에서의 불안반응에 고유하게 기여하는지를 검토해 보고,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의 각 차원들이 발표불안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Moscovitch(2009)의 사례개념화 모형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와 발표불안반응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한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상정하여 그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참가자 79명을 대상으로 실험 1-2주 전에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 즉흥발표 직전에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그리고 발표 직후에 주관적 불안감, 발표불안반응의 행동적 지표 및 발표관련 안전행동에 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는, 기저선 불안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발표초기의 주관적인 불안감, 발표불안반응의 행동적 지표와 안전행동 각각을 예측하는 데 있어 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의 세 가지 차원들 간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주관적 불안감 측정치들 모두와 발표 동안의 안전행동에 대해 불안의 가시적 징후에 대한 염려 차원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구조방정식 분석을 적용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가 발표상황에서의 불안반응을 예측하는 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하며, 그 과정에서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완전매개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의 여러 차원들 가운데 불안의 가시적 징후에 대한 염려 차원이 발표불안반응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Recently, Moscovitch(2009) suggested concerns about self-attributes as a focus of fear in social anxiety disorde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unique contributions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mensions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Furthermo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Moscovitch's model of conceptualization, both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s in which speech-relate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and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were proposed, and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two medi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was used. Seventy nine under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around 1-2 weeks before the start of experiment, a scale of speech anxiety automatic thoughts just before the speech task, and questions about subjective anxiety, behavioral index of anxiety responses and safety behavior related to public speaking following completion of the speech task. First,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the initial anxiety during public speaking, behavioral index of anxiety responses, and safety behavior after controlling for the baseline anxiety. Next, of the dimensions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examined, concerns about visible sign of anxiety had the strongest effect on all measures of subjective anxiety, as well as safety behavior. Furthermore, SEM revealed that both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well, and that the latter was superior to the former.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cerns about negative self attributes, particularly concerns about visible sign of anxiety uniquely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and provide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of the mediating role of speech-relate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concerns about negative self attributes and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