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울시 역세권의 TOD환경과 대중교통이용수요 관계분석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4.02
최종 저작일
2011.12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도로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13권 / 4호
저자명 : 문영일, 노정현

한국어 초록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의 환경 변화를 통하여 국내의 대중교통 이용 증진을 시키기 위해서는 TOD 통합계획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역세권 유형과 이용수요에 관한 실증분석이 전제되어야 향후 계획수립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2) 요인-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 인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Factor 1(Diversity : 토지이용복합도(LUM) 요인), Factor 3(Accessibility : 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2(Density : 개발밀도수준), Factor 5(Desig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지하철시설규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세권의 승하차 인원에 부정적(-) 영향은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과 버스의 배차간격이 증가할 경우 이용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영어 초록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has recently been active, which presents that TOD planning elements should be comprehensiv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enhance domestic transit ridership by changing environments in rail station areas an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type of rail station areas and transportation demand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usage of future development planning. This study aims to grasp a variety of TOD of influence factors in Seoul rail station area and to perform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hese TOD design factors. To make it come true, we gathered data with respect to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as representative TOD planning elements and carried out factorial and regression analysis. Consequently, we drew 7 influence factors base on factorial analysis: Factor 1(Diversity/ -Use Mix(LUM)), Factor 2(Density/development density), Factor 3(Accessibility/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supply), Factor 4(Design/street design), Factor 5(Green/access mode (pedestrian, bike), Factor 6(Design<SUB>way size), Factor 7(Accessibility</SUB>Public transit operation) As the result of model development by using factorial and regression analysis, positive influence factors on passenger flow in rail station area are Factor 1(Diversity : Land-Use Mix), Factor 3(Accessibility :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supply), Factor 2(Density : development density), Factor 5(Design/ access mode) and Factor 6(subway size) Next, negative influence factor on passenger flow in rail station area shows Factor 7(Accessibility/Public transit operation)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s is because the growth of service interval of linked subway and bus leads to reduced deman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철도역세권 이론적 논의 102페이지
    국토부) - 3단계 사업과 연계 추진 예정 (재정 사업) 출처: 서울특별시 ... 토지이용과 보행친화적인 교통체계 환경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은 토지이용교통의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대중교통 중심의 고밀의 복합적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서울시 역세권의 TOD환경과 대중교통이용수요 관계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