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선교적 교회론과 예배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4.02
최종 저작일
2014.07
3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수록지정보 : 선교신학 / 36권
저자명 : 안승오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과 강조점
1.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 배경과 과정
2. 선교적 교회론의 주된 강조점
3. 선교적 교회론에서 고려되어져야 할 점들
Ⅲ. 선교적 교회와 예배
1. 선교 백성으로 부름 받은 이스라엘 백성
2.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 백성 훈련의 장인 예배
3. 선교적 교회와 예배의 관계
Ⅳ.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한국어 초록

선교적 교회론은 오랫동안 선교지에서 사역한 후 자신의 고국인 영국에 돌아온 후 오히려 선교지 보다도 더 영적으로 황량해진 고국 교회의 회복을 고민하면서 교회의 선교적 본질 회복을 외쳤던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영향을 받아 일단의 북미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이 GOCN(the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이라는 단체를 구성하고 교회와 복음, 그리고 문화라는 세 영역을 상호 소통시킴으로써 지역교회의 선교적 본질을 회복하고자 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태동한 선교적 교회론은 오늘의 교회들을 선교적으로 갱신하는데 일정 부분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보면 아직 이 이론이 현장에서 지역교회들을 실제적으로 갱신하고 변화시킨 보고는 그리 많지 않다. 즉 선교적 교회론의 내용 자체는 충분한 당위성을 지니지만 현재로서는 그 성과를 확신하기 어려운 면이 있으며, 선교적 교회론의 전략은 다소 현실성이 떨어지는 측면도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이 실제적으로 선교 백성으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교회를 형성하는 일에 기여하려면 예배의 측면에 대한 깊은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선교적 교회론이 역동적으로 작동을 하려면 성도들이 선교적 교회론이 주장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적절한 훈련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것에 가장 적합한 장 중 하나가 예배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을 작동 가능케 할 원천으로서의 예배를 탐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위와 같은 목적 하에 본 연구는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이 태동된 배경, 선교적 교회론의 주된 강조점, 그리고 선교적 교회론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선교적 교회론은 교회의 선교적 본질을 재발견하고 강조함으로써 약화된 서구 교회를 활성화하고 복음의 공적 영향력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는데,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이 일을 수행해야 하는 성도들이 이 일을 감당할 수 있도록 능력을 공급하고 훈련하는 작업 등에 대하여 깊이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예배의 계명이 선교백성으로 선택받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능력을 공급하고 선교백성의 삶을 살 수 있는 훈련을 위해 주어진 계명임을 밝히고, 이 기초 위에서 선교와 예배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밝히면서 선교적 교회의 실현을 위하여 수행해야 할 바람직한 예배의 기본적인 방향을 찾아보았다. 그 방향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대면하여 능력을 체험하게 하는 예배, 복음의 사회적 영향력을 실현하도록 훈련하는 예배, 성도들과 잠재적 성도들을 하나님께로 이끄는 예배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과 예배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로서 이 관계가 역동적으로 잘 이루어질 때 선교적 교회론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임을 주장한다. 특별히 선교적 교회론의 주된 관심이 주로 ‘흩어지는 교회’에 집중되면서 ‘모이는 교회’에 대하여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는데, 이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이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을 갖게 되고 그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 초록

Missional ecclesiology is a theology emphasizing that the churches should recover the missional nature to overcome the problems such as enfeeblement of the church itself and its influence on the world. This theology contributes to stimulate the churches to do a role of missional people in the world. However, as of now it is a little difficult to measure the accomplishment of it, though the theology itself has a propriety. Also, it shows a tendency that its strategy lacks actuality. In relation to this, this paper tries to stress that the missional ecclesiology needs to consider the ministry of worship to make the theology be more active. One important factor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no other than ‘lay people’ who should live the life of witness in the world. If they are not empowered and trained well, there is no agents to carry out the missional duty outside the wall of the church.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supposes that the ministry of worship is the most crucial ministry of empowering and training God’s missionary people. So this paper emphasizes that worship is the major source and goal of mission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al church and worship.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background and emphase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considerations needed to be pursued in the theology. One major concern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to recover the public influence of the gospel in the world. For this purpose the missional ecclesiology needs to consider the ministry of fostering the church members. Due to this reason, this paper found out that the ministry of worship is the most suitable place where the people are trained for missional work. Also it found out that there is an intimate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mission and worship which orients towards each other. This paper does not provide the detailed ways of carrying out worship. Rather, it provides the following basic directions for effective worship for the missional church. First of all, worship needs to become a place where worshippers can encounter God and empowered by Him. Furthermore, during the time of worship they should be trained to become the missionary people in the world. Then they can live a life of witness revealing the reign of God as light and salt. In conclusion, the missional church would be actualized effectively when it pursues and carries out the ministry of worship in which people are empowered to live a life of witnes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help the missional ecclesiology have a more balanced view of the church.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일확장자 교회 내 북한이탈주민 부서 사역의 쟁점과 과제: 선교적 교회론과 접촉 가설에 기반하여 31페이지
    한국선교신학회 김의혁
  • 한글파일 선교적 교회론적 전환을 위한 00교회에 대한 제안 8페이지
    다시 말한다면 선교적 교회의 모든 예배와 성경에 대한 연구 그리고 조직과 ... 이러한 상황 속에서 2년 넘게 코로나 19가 가져온 현장 예배와 교육, 친교 ... 본론 2.1 선교적 교회론 2.2 선교적 교회론적 전환을 위한 00교회
  • 파일확장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선교적 교회의 역할과 전망 35페이지
    한국선교신학회 봉원영
  • 한글파일 소논문 구약예배, 신약예배, 그리고 현대예배의 역사와 발전, 그리고 상관관계 17페이지
    더욱이 초기 선교사들에 의하여 잘못 정착된 예배의 전통과 관습을 깨뜨리고, ... 지금 세계교회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한국교회예배의 다양성을 보이는 현상도 ... . 1) 현대예배(한국교회)의 현 상황과 문제점, 미래에 대한 방안 한국교회
  • 한글파일 교회력에 따른 목회계획 및 해설 14페이지
    사명과 선교를 경험하며, 기독인으로서의 선교적 사명을 재확립하며 이에 합당한 ... 예배를 드리거나, 사회적 거리를 지키며 이전과 다른 형태의 주일현장예배를 ... 그래서 이 날에 있는 첫 예배는 모든 일 년 중의 예배들 가운데 절정이다.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선교적 교회론과 예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