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930년대의 문화지형과 한용운의 삶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5.03
최종 저작일
2014.06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수록지정보 : 불교문예연구 / 3권
저자명 : 배경식

목차

Ⅰ. 머리말
Ⅱ. 북촌시대의 교우관계와 한용운의 활동
Ⅲ. 심우장 이사(정착)의 배경
Ⅳ. 심우장 시대의 의미와 교우관계
Ⅴ. 맺음말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서울이라는 특정한 공간과의 상관관계와 교우관계를 중심으로 한용운의 사회활동과 삶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치적·사회적 지향이 강했던 한용운에게 서울은 사회적 실천의 무대이자 핵심적 공간이었다. 한용운의 서 울에서의 활동은 심우장 시기를 전후로 두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북촌시 대 한용운은『유심』이나『불교』발간을 통해 여러 방면의 저명인사와 교류하 면서 3·1운동 참여, 불교청년운동, 신간회 참여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 기간 동안 한용운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회활동에 매진했고, 그 결과 몸 과 마음이 극도로 쇠약해졌다. 1933년 한용운은 결혼을 계기로 성북동 심우장이라는 곳에 난생 처음으로 자신의 명의로 삶의 공간을 소유하게 되었다. 심우장에 거처를 마련하면서 한용운은 처음으로 주거공간과 사회활동(업무)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었다. 불교도로서 초심을 잃지 않고 끊임없이 참된 구도를 통해 사회적 실천을 이 어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심우장 이사의 중요한 동기였다. 성북동 심우장은 한용운의 주활동 무대였던 북촌지역과 도보로 왕래가 가능할 정도로 서울 도 심과 가까우면서도 참선 수행이 가능한 조용하고 인적이 드문 곳이라서 한용 운은 지론인 생활선의 실천공간으로 안성마춤이었다. 심우장시대는 한용운의 자유로운 영혼을 더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일제의 협박과 회유로 많은 민족지도자들이 변절하고 전향했으나 한용운은 일제의 어떠한 유혹이나 협박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지조를 지켰다. 한용운은 변절자들과 공개적으로 절교를 선언하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한 김동삼의 유해를 모셔와 장례를 지내는 등 소극적인 저항을 계속했다. 그런가 하면 일 제의 온갖 회유와 협박에도 민족의 지조를 지킨 소수의 지사들과 마음을 열 어놓고 교류하면서 엄혹한 시기 민족의 앞길에 희망을 던져주었다. 그런 의 미에서 심우장은‘전시총동원체제기’라고 불리는 일제의 마지막 수탈과 발 악의 시기에 민족지조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기억되고 있다.

영어 초록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Yongun Han’s social activity and the meaning of his life, focusing on correlation and association with the specific place, Seoul. Yongun Han’s activity in Seoul can be devided into two periods around the time of Simujang. Yongun Han, in the northern village time, expanded his activities, including participation for March, 1st Movement, Young men’s movement, and participation for Shingan association etc, making an exchange with famous figures from various circles through the publication of‘ Yusim’ (Only Mind) or 'Bulgyo'(Buddhism). During this time, he was striving into social activities both by day and by night, so his body and mind were emaciated by this result. With his marriage as a momentum in 1933, he could have his own living space at the first time of his life at Simujang in Seongbuk-dong. Getting his space at Simujang, Yongun Han could separate his living place from the space of social activities(work) at the first time. The significant motive of moving to Simujang was the will expression that he would keep his social activities through the practice to seek to the truth without losing his first mind as a buddhist. Since Simujang was the place which was close to downtown of Seoul, silent and unfrequented, so possible to practice Zen, it was the best spot for activities of living Zen that was Yongun Han’s main opinion. The time of Simujang didn’t permit Yongun Han’s free spirit any more. Many ethic leaders turned their coats and converted But Yongun Han did not change his mind by any temptation or threat of the Japanese Empire, and kept his own fidelity. Yongun Han proclaimed breaking up with turncoats publicly, and kept his passive resistance, for example taking Dongsam Kim’s ashes who was dead in Seodaemun prison etc. And also, he gave a hope message to the future road of Korean ethnic group during the brutal period making an exchange with a minority of patriots who kept their fidelities of ethnic group despite every and any conciliation and threat of the Japanese Empire. In such a meaning, Simujang is remembered as a symbolic place of Korean ethnic’s fidelity during the time of the Japanese Empire’s last exploitation and ditch effort, called 'Landsturm perio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1930년대의 문화지형과 한용운의 삶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