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전문성의 의미 구조: 줄기세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8.08
최종 저작일
2016.06
3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4권 / 2호
저자명 : 조석훈

목차

Ⅰ. 서 론
Ⅱ. 전문성 개념의 의미
Ⅲ. 전문성 개념의 위상과 변화
Ⅳ.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교육행정학연구지에 실린 논문 중 전문성 개념을 활용한 478편의 논문을 분석하
여 우리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전문성 개념이 어떤 의미 구조 속에서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논의되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전문성 개념에 대한 탐구 부족으로 인해 전문성 개념이
교육행정 현상을 이해·설명하는 데 유용한 도구 개념으로서 위상을 갖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전문성 변인과 다른 변인 간 상관연구가 제법 있지만(46편) 이 경우에도 전문성 변인을
주도적인 변인으로 사용하기보다는 학교조직 특성, 교장의 지도성, 조직만족도, 교직헌신 등
에 포함된 하위 측정변수 중 하나 정도로 취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둘째, 교육행정학 연
구에서 전문성은 교육행정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에는 부족하고 주로 권한과 결정권의 배
분을 둘러싼 가치 기준 개념으로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7가지로 구분되는 맥락에서
전문성은 서로 다른 주체와 대상의 관계에서 가치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맥락에 따라 약
간씩 다른 가치를 대변하고 있었다. 특히, 맥락에 따른 전문성의 3중 연결구조에서 보듯 배타
성의 중첩 구조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영어 초록

This article aimed at exploring the meaning structure involving previous research
which uses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mployed the method of analyzing 478 articles which
were used the concepts of professionalism among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major conclusions are suggested below.
First, the conceptual meaning of professionalism was not developed well in
comparison to the habitual usage of the term in prior research. The concept was
geared to the diverse subjects covering humans, institutions, activities of
organizations, and programs, but the meanings of it was not depicted in
differentiated phases according to the relevant agents.
Second, in association with the scant discussion of the concept, imitations are laid
in the way of utility of the concept in light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ough there are found not a few of
research which tackles the 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ther variables such
as school effectiveness, teacher satisfaction and leadership, the position of the concept
is much fragile in that it is treated at best as part of measuring variables.
Thir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plays the role of normative function for judging
and evaluating the governance and authorities of agents other than as empirical tool of
analysis. It seems to represent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contexts of usage which
ranges into 7 situations. The peculiar characteristic is to focus on the independence and
separation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groups. It is high time to explore and set
up the adequate meaning of professionalism which fit the knowledge-based societ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전문성의 의미 구조: 줄기세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