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에 대한 내용 분석 :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6.11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53권
저자명 : 이슬기

목차

Ⅰ. 서론
Ⅱ. 통일교육과 북한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발견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 통일교육을 담당하는 주 교과인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에 대한 내
용 변화를 살펴보았다. 도덕과가 공식 교과 교육으로 자리 잡은 제3차부터 2009 개정까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집필된 중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통일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의 변화 속에서 북한에 대한 내용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
다. 그 결과 도덕과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은 지속적으로 축소되어 3차 교육과정에서는 전체의
31.10%를 차지하던 내용이 2009 개정에서는 5.73%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내용에서
도 변화가 있었는데, 5차 교육과정까지는 통일 관련 내용보다 북한 관련 내용이 더 많았으나
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통일 관련 내용이 더 많아졌다.
북한 관련 내용의 양적 감소는 질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3차와 4차 교육과정에
서는 북한을 남한과 끊임없이 비교하며 체제 우위를 강조하였고, 5차 교육과정 이후로는 북한
체제에 대한 비판이 줄어들고 사회문화적인 접근이 포함되었다. 도덕과에서 통일 및 북한에
관한 내용이 감소하는 이유는 전체적인 도덕과 시수와 내용이 축소되고 있고, 국가·공동체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내용이 재구성되는 과정과도 연관된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북한
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통일교육에 있
어서 북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어떤 북한관을 가지고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북한 이해를 구성할 것인가, 그리고 이것이 통일교육과 어떠한 관계와 맥락성 속에서 다루어
질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contents on North Korea in the middle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s. From the 3rd national curriculum in which moral education
was designated as an official subject of curriculum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argeting middle school textbook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curricula,
how content about North Korea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general content change
about unification was analyzed by apply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ent related with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diminished, so 31.10% content out of all the 3rd curriculum was decreased
into 5.73% of 2009 revised curriculum. Even the detailed contents were changed, so
there appeared more content about North Korea than one about unification until the
5th curriculum.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6th curriculum, more content related
with unification was described.
Quantitative decrease of North Korea content was closely related with qualitative
change. In the 3rd and 4th curriculum, North and South Koreas were constantly
compared and superiority of the system was emphasized. Since the 5th curriculum,
criticisms about North Korean system were decreased and socio-cultural approach was
included. The reasons the content about unification and North Korea in moral
textbook decreased were the reduction of content and hours of whole moral subject
and the shift of content reconstitution from community-centeredness to
individual-centeredness. However, the biggest reason was because there was no social agreement on how to teach about North Korea. In regard of unific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ore specifically discuss on how important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is, from which perspective of North Korea the content and understanding
should be composed, and in which relation and context with unification education
these should be treat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에 대한 내용 분석 :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