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제주도 연안의 해조류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생태학적 평가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2.12
1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6권 / 6호
저자명 : 조성환, 노영석, 원승환, 김수강, 정상목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연구 해역의 특성
2. 해조류 출현종수
3.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4. 생태학적 평가지수(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5. 해조류 피도와 생태학적 지수를 이용한 군집평가
6. 영상분석을 이용한 엽상형해조류와 산호말류의 비율
7. 제주연안 마을어장 생태등급기준 및 판정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연안의 해역별 해조류 분포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8년 5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본섬 4개 정점과 유인도서 2개 정점의 마을어장에서 수행되었다. 해조류는 총 101종으로 녹조류 13종(12.9%), 갈조류 24종 (23.8%) 그리고 홍조류 64종(63.4%)이 출현하였다. 계절별로는 5월에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고, 10월에 가장 적게 출현하는 전형적인 온대해역의 특징을 나타냈다. 수심별 해조류 출현 종수는 5m와 8m에서는 66종과 65종으로 유사하였으며, 12m에서는 74종으로 최대였다. 해역별로는 도서해역인 우도에서 66종으로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 였고, 본섬의 동부 표선에서 27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해조류는 감태(Ecklonia cava)와 둘레혹산호말(Corallina crassissima)로 각각 21.1%와 20.3%를 나타냈으며, 방황혹산호말(Corallina aberrans) 9.2%, 에페드라게발(Amphiroa ephedraea) 6.2% 그리고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4.4%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해조류 중 산호말류는 평균 11.2종이 출현하였고, 각 해역의 산호말류 중요도는 평균 32.6%로 우도에서 14.7%로 가장 낮았고, 표선에서 가장 높은 41.0%를 차지하였다. 해조류 군락의 생태학적 평가지수(EEI)는 2.1∼10.0으로 표선의 5월과 6월 12m에서 가장 낮았고, 그 밖의 다른 해역에서는 평균 7.3이상으로 좋은 상태를 나타냈다. 본 조사에서 설정한 생태등급기준 Ⅰ등급은 우도와 추자도의 수심 12m이었으며, Ⅱ등급은 사계와 추자도의 수심 5 m와 8 m가 해당되었다. Ⅲ등급은 표선과 귀덕2의 수심 5m와 12m, 평대의 수심 5m와 8m가 해당되었으며, Ⅳ등급은 귀덕2의 수심 8m가 해당되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 village fishing farm on 4 peaks on the main island of Jeju Island and 2 peaks on an inhabited island to compar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eaweeds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from May to December 2018. A total of 101 species of seaweeds were surveyed, including 13 species (12.9%) of green algae, 24 species (23.8%) of Phaeophyta, and 64 species (63.4%) of Rhodophyta. The largest number of seaweeds appeared in May and the fewest in October, showing typical features of a temperate sea area. The number of seaweed species that appeared was 66 and 65 species at the water depths of 5 m and 8 m, respectively, and the largest was 74 species at 12 m. The number of seaweeds that appeared by area was the largest at 66 species on Udo Island, an eastern island near Jeju Island, and the lowest at 27 species in Pyoseon-ri, a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The important values of emerging species were high in the order of, Ecklonia cavaand Corallina crassissima at 21.1% and 20.3%, respectively, Corallina aberransat 9.2%, Amphora ephedraeaat 6.2%, and Sargassum macrocarpumat 4.4%. Among seaweeds, an average of 11.2 species of coralline algae appeared, and the mean importance value was 32.6% in the sear area. The lowest importance value was 14.7% on Udo Island, and the highest was 41.0% in Pyoseon-ri. The mean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of seaweed colonies ranged from 2.1 to 10. It was the lowest at the water depth of 12 m in Pyoseon-ri in May and June and was 7.3 or higher in other areas, indicating good condition. This study rated the standardized ecological grade I for the water depth of 12 m on Udo Island and grade II for the water depths of 5 m and 8 m in Sagye-ri and on Chujado Island. Grade III was the water depth of 5 m and 12 m in Pyoseon-ri and Guideok 2-ri and the water depth of 5 m and 8 m in Pyeongdae-ri, and grade IV was the water depth of 8 m in Guideok 2-ri.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제주도 연안의 해조류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생태학적 평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