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수치해석 모델링을 이용한 유조선 선미부 구조에 발생한 좌굴 발생 원인 검토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2.12
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28권 / 7호
저자명 : 이명수, 박주신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유조선 구조설계
2.1 주요 제원 및 배치
2.2 선미부 구조설계
3. 유한요소해석 및 고찰
3.1 모델링 및 경계, 하중 조건
3.2 좌굴평가 프로세스
3.3 평가 패널 및 선미부 강도해석
4.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사 사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최근, 구조설계 기준 및 평가방법의 전문화로 인하여, 선급 규칙의 통합화가 이뤄졌었다. 그 좋은 일례가 국제공통규칙(CSR, Common Structural Rule)이다. 그러나, 종강도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화물창 구역에만 국한하여 세부규정이 제시되어 있고, 선수와 선미부 구조에는 별다른 평가 지침이 없다. 언급한 구역의 구조설계는 조선사의 설계 경험에 의존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선급에서도 명확한 기준 이 없으므로 구조 손상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가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선미부에 주로 발생하고 있는 좌굴 손 상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기반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기반 구조 강도 검증을 위하여, 하중 조건, 경계조건, 모델링 방법 그리고 평가 기준에 대한 합리적인 해법을 제시하였다. 선미부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압축하중에 의해서 좌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좌굴 강성 증가를 위하여 판 두께 증가 혹은 수직 보강재의 추 가가 필요하다. 앞으로도 이 결과는 유사 운반선의 선미부 구조 강도 검토 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 초록

Recently, due to the specialization of structural design standards and evaluation methods, the classification rules are being integrated. A good example is the common international rules (CSR). However, detailed regulations are presented only for the cargo hold area where the longitudinal load is greatly applied, and no specific evaluation guidelines exist for the bow and stern structures. Structural design of the mentioned area is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design experience of the shipbuilder, and because no clear standard exists even in the classification, determining the root cause is difficult even if a structural damage problem occurs. In this study, an engineering-based solution was presented to identify the root cause of representative cases of buckling damage that occurs mainly in the stern. Buckling may occur at the panel wall owing to hull girder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stern structure, and the plate thickness must be increased or vertical stiffeners must be added to increase the buckling rigidity. For structural strength verification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ing, reasonable solutions for load conditions, boundary conditions, modeling methods,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examin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tern part of similar carriers in the futur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수치해석 모델링을 이용한 유조선 선미부 구조에 발생한 좌굴 발생 원인 검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