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승강기기사
영문명 :
Engineer Elevator
관련부처 :
행정안전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승강기기능사, 승강기산업기사, 승강기기사

2. 자격정보

□ 승강기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승강기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승강기를 설계, 제조, 설치, 유지, 보수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기계, 건축, 전자, 전기 분야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갖춘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숙련된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20년부터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던 기존의 실기시험이 개정되어 필답형으로만 시행됨.(작업형 폐지)
□ 주요특징
기계, 전기 분야의 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현대식 승강기를 설계, 제작하거나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 보수 등의 업무.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 보수 등의 작업 지도, 감독하는 직무도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로 승강기 또는 승강기부품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 승강기보수·유지·점검 업체, 승강기검사 대행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전기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승강기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 「승강기제조및관리에 관한법률」에 의한 승강기검사 대행기관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전기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승강기개론
2) 승강기설계
3) 일반기계공학
4) 전기제어공학

- 실기

1) 승강기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승강기 개론
  • 1. 승강장 도어에 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승강장 도어는 인터록 장치에 의해서 개방 및 폐쇄된다.
    인터록은 중력이나 압축 스프링 장치에 의한 연결장치로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도어 인터록은 승강장 도어가 닫히면 승강장 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는 쪽에 놓여야 한다.
    승강장 도어 인터록은 승강기가 정상적인 기동이 되기 전에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 2.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작동유의 압력 맥동을 흡수하여 진통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는?
    압력계
    라인필터
    사이렌서
    스트레이너
  • 3.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 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몇 이상이어야 하는가?
    10
    20
    30
    40
  • 4. 인버터 제어에서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5. 승강기의 도어 시스템 분류 시 lS, 2S, 3S 는 무슨 방식인가?
  • 6. 카 내부의 하중이 적재하중을 초과하변 경보가 울리고 출입문의 닫힘을 자동적으로 제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움직이지 않게 하는 장치는?
  • 7. 엘리베이터 제동기(Brake)의 전자 - 기계 브레이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 균형추의 총중량은 빈 카의 자중에 그 엘리베이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재하중의 35~55%의 중량을 더한 값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 적재하중의 몇 %를 더할것인가를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9. 다음 중 일반적인 수평보행기(무빙워크)의 경사도는 몇 도 이하인가?
  • 10. 승강기 검사기준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으로 틀린 것은?
  • 11. 전기식 엘리베이터 의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2.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에 요구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 13. 권동식 구동방식의 단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4.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15. 워드 레오나드(Ward -Leonard) 방식의 전동발전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6. 승강로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7. 에스컬레이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18.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19. 랙ㆍ피니언식 리프트는 어떤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가?
  • 20.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과목 : 승강기 설계
  • 21. 다음 중 카의 조속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22. 유도전동기의 인버터 제어방식에서 10kHz의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발생하여 운전 시의 전동기 소음을 줄 일 수 있는 인버터 전력용 스위칭 소자는?
  • 23. 권상기용 전동기의 용량 계산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 단, L : 정격적재하중(kg), V : 승강속도(m/min), η: 엘리베이터의 전효율, F: 오버 밸런스율)
  • 24. 다음은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25. 승용 승강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층수가 6층 이상으로서 거실 면적의 합계는 3000m2를 초과한다고 한다.)
  • 26. 백화점에 설치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설계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완성검사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 27. 균형추 레일형 브래킷의 재료는?
  • 28.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내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 29. 엘리베이터의 일주시간(RTT)을 계산하는 방법은?
  • 30. 엘리베이터용 도어에서 문닫힘 동작 시에 사람 또는 물건이 끼일 때 문이 반전하여 열리도록 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 31. 도어머신에 것은 요구되는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2.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3. 중앙개폐방식 승장도어의 아래 그림에서 G와 F치수(단위 : mm)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 34. 교차되는 두 축 간에 운동을 전달하는 원추형의 기어에 해당되는 것은?
  • 35. 기어감속비 49:2, 도르래 지름 540mm, 전동기 입력 주파수 60Hz, 극수 4, 전동기의 회전 수 슬립이 4%일 때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 약 몇 m/min인가?
  • 36. 설계용 수평진도가 0.4이고, 기기의 중량이 2000kg인 경우 설계용 수직 지진력은 몇 kg 인가?
  • 37. 조속기 와이어 로프의 허용응력이 200kg/mm2이고, 이 로프의 파단강도가 800 kg /mm2 일 때 안전율은 얼마인가?
  • 38.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유량제어밸브를 주 회로에서 분기된 바이패스회로에 삽입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회로는?
  • 39. 고속 엘리베이터 제어에 많이 쓰이며, 인버터 제어라고 불리는 제어방식은?
  • 40. 다음 조건에서 코일 스프링의 전단응력은 몇 kg/cm2인가?
    - 카 자중 : 1000kg
    - 정격하중 : 2000kg
    - 스프링 직경 : 150mm
    - 소재의 직경 : 30mm
3 과목 : 일반기계공학
  • 41. 천연고무 중 S의 첨가량이 15% 이하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42. 지름이 d 인 원형 단면의 중심점에 대한 극관성 모벤트(Polar moment of inertia)는?
  • 43. 압력의 단위 환산 표기가 올바른 것은?
  • 44. 아크 용접기의 수하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5. 유체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가 되면 즉시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게 되어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막아 주는 밸브는?
  • 46. 측정할 때 생기는 오차 중 계통적 오차의 원인이 아닌 것은?
  • 47. 세라믹(ceramic)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8.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 전단가공에 속하지 않는 것은?
  • 49. 푸아송의 비와 관련한 설명에서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재료가 인장을 받을 경우 변형 후의 체적이 줄어들지 않는다고 할 때 푸아송의 비 (Poisson's ratio)는 (   )보다 작아야 한다.
  • 50. 드릴링 머신으로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 부분을 조립하기 위해 테이퍼 원통형으로 작업은?
  • 51. 단순보에서 굽힘 응력을 σ, 굽힘 모멘트를 M, 단면계수를 Z라고 할 때 굽힘 모멘트 M을 구하는 식은?
  • 52. 지름이 20mm인 연강봉이 3140N의 인장하중을 받는다면 이 봉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은 약 몇 MPa인가?
  • 53. 나사에서 3줄 나사의 피치가 3mm 일 때 120° 회전시키면 축방향으로의 이동거리는 얼마인가?
  • 54. 주철의 일반적인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틀린것은?
  • 55. 주형 제작에 사용되는 탕구계(gating system)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 56. 베어링 호칭번호 '7206ZNR' 에서 06은 무엇을 표시하는가?
  • 57. 브레이크의 마찰계수를 μ, 드럼의 원주 속도를 v, 접촉면의 압력을 p라 할 때 브레이크 용량을 계산하는 식은?
  • 58. 다음중 로프를 걸어 중량물을 달아 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볼트는?
  • 59. 다음 중 평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한 V벨트 전동장치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 60. 2개의 입구와 1개의 공통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출구는 입구 압력의 작용에 의하여 한쪽 방향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밸브는?
4 과목 : 전기제어공학
  • 61. 다음 회로의 전압V와 전류I의 전달함수를 표현한 신호흐름선도는?
  • 62. 다음 중 그림과 등가인 게이트는?
  • 63. 교류(Alternating current)를 나타내는 값 중 임의의 순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 64.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 65. 직류기를 구성하는 3요소로 옳은 것은?
  • 66. 서보 전동기(Servo motor)는 다음의 제어기기 중 어디에 속하는가?
  • 67. 100 V의 전원에 접속시켜 500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을 200V의 전원으로 바꾸어 접속하면 소비되는 전력은 몇 W인가?
  • 68. 아날로그 신호로 이루어지는 정량적 제어로서 일정한 목표값과 출력값을 비교ㆍ검토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는 제어는?
  • 69. 그림과 같이 2개의 전력계를 사용하여 전동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였더니 W1 = 500W, W2 = 250W가 지시되었다. 이 전동기가 소비하는 전력은 몇 W 이며, 역률은 얼마인가?
  • 70. 그림과 같은 제어계에서 ⓐ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 71. 어떤 회로의 유효전력이 80W, 무효전력이 60 Var 이면 역률은 몇 % 인가?
  • 72. 그림에서 3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1을 입력하면 출력단자 A 와 B의 출력은?
  • 73. 서보 전동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74. 전동기를 전원에 접속한 상태에서 중력부하를 하강시킬 때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전동기의 유기기전력이 전원전압보다 높아져서 발전기로 동작하고 발생전력을 전원으로 되돌려 줌과 동시에 속도를 점차로 감속한 경제적인 제동법은?
  • 75.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것은?
  • 76. 그림에서 E, R1, R2를 일정하게 하고 R을 변화시킬 때 R의 소비전력이 최대가 되는 R의 값은?
  • 77. 어떤 제어계의 단위계단 입력에 대한 출력 응답이 c(t) = 1 - e-2t로 되었을 때 지연시간 Td(s)는 약 얼마인가?
  • 78. 전기력선에 관한 성질로 옳은 것은?
  • 79. 다음 중 자동조정(automatic regulation)에 해당되는 것은?
  • 80. 그림과 같은 정류회로에 L과 C를 부착하여 파형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툴린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