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승강기기사
영문명 :
Engineer Elevator
관련부처 :
행정안전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승강기기능사, 승강기산업기사, 승강기기사

2. 자격정보

□ 승강기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승강기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승강기를 설계, 제조, 설치, 유지, 보수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기계, 건축, 전자, 전기 분야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갖춘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숙련된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20년부터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던 기존의 실기시험이 개정되어 필답형으로만 시행됨.(작업형 폐지)
□ 주요특징
기계, 전기 분야의 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현대식 승강기를 설계, 제작하거나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 보수 등의 업무.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 보수 등의 작업 지도, 감독하는 직무도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로 승강기 또는 승강기부품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 승강기보수·유지·점검 업체, 승강기검사 대행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전기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승강기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 「승강기제조및관리에 관한법률」에 의한 승강기검사 대행기관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전기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승강기개론
2) 승강기설계
3) 일반기계공학
4) 전기제어공학

- 실기

1) 승강기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승강기 개론
  • 1. 한쪽 방향으로만 기름이 흐르도록 하는 밸브로 상승 방향으로만 흐르고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않게 하는 밸브는?
    체크밸브
    스톱밸브
    안전밸브
    럽처밸브
  • 2. 카틀이 레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조속기
    제동기
    균형로프
    가이드 슈
  • 3. 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 설계 시 최소행정으로 옳은 것은?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15%에 상응하는 중력정지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 이상이어야 한다.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에 상응하는 중력정지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 이상이어야 한다.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에 상응하는 중력정지거리의 4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 이상이어야 한다.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에 상응하는 중력정지거리의 4배 이상으로서 최소 85mm 이상이어야 한다.
  • 4. 기계실 바닥에 몇 cm를 초과하는 단차가 있을 경우에는 보호난간이 있는 계단 또는 발판이 있어야 하는가?
  • 5. 엘리베이터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 6. 카가 2대 또는 3대가 병설되었을 때 사용되는 조작방식으로 1개의 승강장 부름에 대하여 1대의 카가 응답하며, 일반적으로 부름이 없을 때에는 다음의 부름에 대비하여 분산대기하는 복수 엘리베이터의 조작방식은?
  • 7. 기계실 내부 조명의 조도는 일반적으로 바닥에서 몇 lx 이상으로 하는가?
  • 8. 조속기 도르래의 회전을 베벨기어를 이용해 수직축의 회전으로 변환하고, 이 축의 상부에서부터 링크 기구에 의해 메달린 구형의 진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작동하는 조속기로, 구조가 복잡하지만 검출 정밀도가 높으므로 고속 엘리베이터에 많이 이용되는 조속기는?
  • 9.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에서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 공간에 출입하는 문에 요구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 10.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펌프로 압력맥동, 진동, 소음이 작은 펌프는?
  • 11.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때 레일 브라켓(Rail Bracket)의 간격을 작게 하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응력도 및 휨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 12.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제동기에서 전자-기계 브레이크 조건으로 틀린 것은?
  • 13. 전기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내용이다.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경첩이 있는 승강장문과 접히는 카 문의 조합인 경우 닫힌 문 사이의 어떤 틈새에서 직경 (   )m의 구가 통과되지 않아야 한다.
  • 14. 완성검사 시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카 문턱과 승강장문 문턱 사이의 수평거리는 몇 mm이하인가?
  • 15. 제어반의 주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6.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동작 설명 중 틀린 것은?
  • 17. 밸트식 무빙워크의 경우, 경사부에서 수평부로 전환되는 천이구간의 곡률반경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18. 카의 어떤 이상 원인으로 감속되지 못하고 최상ㆍ최하층을 지나칠 경우 이를 검출하여 강제적으로 감속,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리미트 스위치 전에 설치하는 것은?
  • 19.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 20. 도어가 닫히는 도중, 도어 사이에 이물질 또는 사람의 신체 일부가 끼었을 때, 도어가 다시 열리게 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2 과목 : 승강기 설계
  • 21. 변압기 용량을 산정할 때 전부하 상승전류에 대해서는 부등률을 얼마로 계산하여야 하는가?
  • 22. 사무용 빌딩에 가변전압 가변주파수방식의 승객용 승강기를 설치한 후 하중시험을 할 때, 그 성능기준으로 틀린 것은?
  • 23.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 24.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문턱과 카의 문턱사이의 틈새는 몇 mm이하 인가?
  • 25. 정격속도 1.5m/s인 엘리베이터의 점차작동형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경우 평균 감속도는 약 몇 gn인가? (단, 감속시간은 0.3초, 조속기 캣치의 작동속도는 정격 속도의 1.4배로 한다.)
  • 26. 압축 코일 스프링에서 작용하중을 W, 유효권수를 N, 평균 지름을 D, 소선의 지름을 d라고 하였을 때 스프링 지수를 나타내는 식은?
  • 27. 점차작동형 비상정지장치로 플렉시블 웨지 클램프형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가 아닌 것은?
  • 28. 속도가 60m/min인 엘리베이터를 설계하고자 할 때 제어방식으로는 다음 중 어떤 방식이 가장 적절한가?
  • 29. 출력이 15kW, 전부하 회전수가 1410rpm인 전동기의 전부하 토크는 약 몇 kgfㆍm인가?
  • 30. 기어리스 권상기를 적용한 1:1 로핑 방식의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도르래 직경이 400mm이고 전동기의 분당회전수는 84rpm일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m/min)는?
  • 31. 종탄성계수 E=7000kg/m2, 적용로프 ø12×6본, 주행거리 H=40m이고 적재하중이 1150kg, 카 자중이 1080kg인 로프의 연신율(늘어나는 길이)은 약 몇 mm인가?
  • 32.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의 PW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3.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승강로의 크기를 결정하려고 한다. 이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 34. 엘리베이터 교통량 계산의 필수 데이터가 아닌 것은?
  • 35. 유입 완충기의 설계조건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36. 권상기의 도르래 직경은 주로프 직경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 37. 전동기의 용량을 계산하는 계산식은? (단, L : 적재하중, V : 속도, B : 밸런스율, η : 효율이다.)
  • 38. 전기식 엘리베이터(기계식 있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식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 39.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기계대의 안전율 최솟값으로 적당한 것은?
  • 40.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자중과 승객의 중량을 합친 등가 중량이 3000kg이고 카의 속도가 45m/min일 경우,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카가 정지하기까지의 거리가 4.5cm라고 하면 감속력은 약 몇 kgf인가?
3 과목 : 일반기계공학
  • 41. 기어, 클러치, 캠 등과 같이 내마모성과 더불어 인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의 경우는 강의 표면 경화법으로 처리한다. 강의 표면 경화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2. 보일러와 같이 기밀을 필요로 할 때 리베팅 작업이 끝난 뒤에 리벳머리의 주위와 강판의 가장자리를 75°~85° 가량 정(chisel)과 같은 공구로 때리는 작업은?
  • 43. 철사를 여러 번 구부렸다 폈다를 반복했을 때 철사가 끊어지는 현상은?
  • 44. 축(Shaft)의 종류 중 전동축의 특수한 형태로 축의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형상과 치수가 정밀하고 변형량이 극히 작아야 하는 것은?
  • 45. 평벨트 폴리의 종류는 림의 폭 중앙이 볼록한 C형과 림의 폭 중앙이 편평한 F형이 있다. 여기서 C형 림의 폭 중앙에 크라운 붙임(crowning)을 두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 46. 그림과 같이 원형단면의 지름 d인 관성모멘트는 이다. 원에 접하는 집선 축에 대한 평행축의 정리를 활용하여 관성모멘트(Ix)를 구하면?
  • 47. 탄소강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하중이 5kN 작용하였을 때, 처짐이 200mm인 코일 스프링에서 소선의 지름이 20mm일 때 이 스프링의 유효 감김수는? (단, 스프링지수(C)=10, 전단탄성계수(G)는 8×104N/mm2, 왈의 수정계수(K)는 1.2이다.)
  • 49. 그림과 같은 외팔보의 자유단 끝단에서 최대처짐량을 구하는 식은? (단, L=a+b)
  • 50.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 51. 그림과 같은 원통 용기의 하부 구멍 A의 단면적이 0.05m2이고 이를 통해서 물이 유출할 때 유량은 약 m3/s 인가? (단, 유량계수는 C=0.6, 높이는 H=2m로 일정하다.)
  • 52. 일반적인 알루미늄의 성질로 틀린 것은?
  • 53. 단면적 1cm2, 길이 4m인 강선에 2k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신장량은 약 몇 cm인가? (단, 연강의 탄성계수는 2×106N/cm2이다.)
  • 54. 길이 ℓ의 환봉을 압축하였더니 30cm로 되었다. 이 때 변형률을 0.006이라고 하면 원래의 길이는 약 몇 cm인가?
  • 55. 유체기계에서 유압 제어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 56. 대량의 제품 치수가 허용공차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게이지로 통과측과 정지측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 57. 다음 키의 종류 중 일반적으로 가장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키는?
  • 58. 펌프의 분류를 크게 터보식과 용적식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용적식 펌프에 속하는 것은?
  • 59. 절삭가공에 이용되는 성질로 적합한 것은?
  • 60. 왁스, 파라핀 등으로 만든 주형재를 사용하여 치수가 정밀하고 면이 깨끗한 복잡한 주물을 얻을 수 있는 주조법은?
4 과목 : 전기제어공학
  • 61.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것은?
  • 62. 세라믹 콘덴서 소자의 표면에 103K라고 적혀있을 때 이 콘덴서의 용량은 몇 μF인가?
  • 63. 목표값을 직접 사용하기 곤란할 때, 주 되먹임 요소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것은?
  • 64. 4000Ω의 저항기 양단에 100V의 전압을 인가할 경우 흐르는 전류의 크기(mA)는?
  • 65. 다음 설명에 알맞은 전기 관련 법칙은?
    도선에서 두 점 사이 전류의 크기는 그 두 점 사이의 전위차에 비례하고, 전기저항에 반비례한다.
  • 66. 최대눈금 100mA, 내부저항 1.5Ω인 전류계에 0.3Ω의 분류기를 접속하여 전류를 측정할 때 전류계의 지시가 50mA라면 실제 전류는 몇 mA인가?
  • 67. 병렬 운전 시 균압모선을 설치해야 되는 직류발전기로만 구성된 것은?
  • 68. 특성방정식이 s3+2s2+Ks+5=0인 제어계가 인정하기 위한 K 값은?
  • 69. 서보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0. SC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1. 적분시간이 2초, 비례감도가 5mA/mV인 PI조절계의 전달함수는?
  • 72. 공기 중 자계의 세기가 100A/m의 점에 놓아둔 자극에 작용하는 힘은 8×10-3N이다. 이 자극의 세기는 몇 Wb인가?
  • 73.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출력부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것은?
  • 74. 정상 편차를 개선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며 오버슈트를 감소시키는 동작은?
  • 75. 다음은 직류전동기의 토크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B), (C), (D)에 알맞은 것은?
  • 76. 신호흐름선도와 등가인 블록선도를 그리려고 한다. 이 때 G(s)로 알맞은 것은?
  • 77.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V)과 최대값(Vm)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 78. 그림과 같은 RLC 병렬공진회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9. 피드백 제어계에서 목표치를 기준입력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요소는?
  • 80. 비례적분제어 동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