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Welding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용접기능사, 용접산업기사, 용접기사

2. 자격정보

□ 용접기능사 기출문제
용접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용접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용접기능사 자격제도는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면서, 용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용접분야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0년부터 기존의 '전기용접기능사'와 '가스용접기능사'가 '용접기능사'로 통합됨.
2016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용접기능사는 각종 기계나 금속구조물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용접장비 및 기기를 조작하여 금속과 비금속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융접, 압접, 납땜작업을 수행.
용접부위를 손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용접점이나 절단선을 표시하고, 용접물의 재료, 두께, 형태 등을 파악하여 적합하게 용접장비를 조정한 후 공작물을 위치시키고 적절한 전극, 용접봉, 토치팁 및 기타 필요한 공구를 사용하여 접합부나 이음매를 용접하거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작업을 담당.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09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2024년 4회 2024.08.20 ~
2024.08.23
2024.09.08 ~
2024.09.12
2024.09.25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4
2024.12.04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40,0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용접도면을 해독하여 용접방법, 용접자세 등을 토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용접하는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용접일반
2) 용접재료
3) 기계제도(비절삭부분)

- 실기

1) 일반 용접작업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2시간 10분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30분

1 과목 : 용접일반
  • 1. 현미경 시험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식제 중 철강용에 해당되는 것은?
    왕수
    연화철액
    피크린산
    플루오르화 수소액
  • 2. 15℃. 1kgf/cm2 하에서 사용 전 용해아세틸렌 병의 무게가 50kgf 이고, 사용후 무게가 47kgf 일 때 사용한 아세틸렌의 양은 몇 L 인가?
    2915
    2815
    3815
    2715
  • 3. 다음 중 산화철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한 배합제에 점화하면 반응열이 약 2800℃에 달하며, 주로 레일이음에 사용되는 용접법은?
    스폿 용접
    테르밋 용접
    심 용접
    일레트로 가스 용접
  • 4. 다음 중 CO2 가스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CO2 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 CO2 가스 아크 용접용 와이어 중 탈산제, 아크 안정제 등 합금원소가 포함되어 있어 양호한 용착금속을 얻을수 있으며, 아크도 안정되어 스패터가 적고 비드의 외관이 깨끗하게 되는 것은?
  • 6. 다음 중 용접 작업시 감전으로 인한 사망재해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7. 다음중 납땜할 때, 염산이 몸에 튀었을 경우 1차적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 8. 다음 중 구속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할 때 고온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접봉은?
  • 9. 다음 중 잔류응력 제거방법에 있어 용접선 양측을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가스 불꽃에 의하여 너비 약 150mm를 150~200℃로 가열한 다음 곧 수냉하는 방법은?
  • 10. 다음 중 유도방사에 의한 광의 증폭을 이용하여 용융하는 용접법은?
  • 11. 다음 중 용접에서 예열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2. 다음 중 아크 분위기 중에서 수소가 너무 많을 때, 발생 하는 용접 결함은?
  • 13. 다음 중 스터드 용접에서 페롤의 역할이 아닌 것은?
  • 14. 다음 중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MIG) 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5.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혼합 가스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6. 다음 중 용접부의 작업 검사에 있어 용접 중 작업검사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7. 비파괴 검사방법 중 자분탐상시험에서 자화방법의 종류에 속하는 것은?
  • 18. 다음 중 TIG 용접에서 박판 용접시 뒷받침의 사용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19. 다음 중 용접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20. 다음 중 안내 레일형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 필요한 장치로 옳은 것은?
  • 21. 다음 중 MIG 용접에 있어 와이어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면 아크 전압이 높아져서 전극의 용융 속도가 감소하므로 아크 길이가 짧아져 다시 원래의 길이로 돌아오는 특성은?
  • 22. 다음 중 B급 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 23. 다음 중 납땜 작업시 차광 유리의 차광도 번호로 가장 적정한 것은?
  • 24. 다음 중 피복 아크 용접에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5. 다음 중 용접시 용착 금속의 응고를 지연시켜 급랭을 방지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6. 다음 중 가스 용접에 사용되는 산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7. 다음 중 아크 용접시 사용 전류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8. 정격 2차 전류 300A, 정격 사용률 40%인 아크용접기로 실제 200A 용접 전류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경우 전체 시간을 10분으로 하였을 때 다음 중 용접 시간과 휴식 시간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 29. 다음 중 산소-아세틸린 가스 용접에 있어 전진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0. 다음 중 산소 용기의 취급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31. 다음 중 피복 아크 용접에 있어 용접봉에서 모재로 용융 금속이 옮겨가는 상태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 32. 다음 중 용접법에 있어 융접에 해당하는 것은?
  • 33. 다음 중 가스절단 토치 형식에 있어 절단 팁이 동심형에 해당하는 것은?
  • 34. 다음 중 연강판 두께가 25.4mm 일 때 표준 드래그 길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 35. 다음 중 피복 아크 용접법에 피복제의 역할로 틀린 것은?
2 과목 : 용접재료
  • 36. 다음 중 수중 절단시 토치를 수중에 넣기 전에 보조팁에 점화를 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연료가스는?
  • 37. 다음 중 가스 용접에서 산화불꽃으로 용접할 경우 가장 적합한 용접 제료는?
  • 38. 다음 중 플라즈마 제트 절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9. 다음 중 KS상 연강용 가스 용접봉의 표준치수가 아닌 것은?
  • 40. 다음 중 알루미늄(Al)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1. 다음 중 베어링강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 42. 다음 중 강의 표면경화법에 있어 침탄법과 질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3. 다음 중 고탄소 경강품(주강)을 이용한 부품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 44. 주철은 60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했다가 냉각하는 과정의 반복에 의해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주철의 성장이라고 한다. 다음 중 주철의 성장 원인이 아닌 것은?
  • 45. 다음 중 18-8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주요 함금원소로 옳은 것은?
  • 46. 다음 중 베어링으로 사용되는 화이트메탈(white metal)에 관계된 주요 원소로만 나열한 것은?
  • 47. 다음 중 질량 효과(masseffect)가 가장 큰 것은?
  • 48. 구리에 30~40%Pb를 첨가한 것으로 고속ㆍ고하중용 베어링으로 자동차, 항공기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은?
  • 49. 다음 중 강을 여리게 하고, 산이나 알칼리에 약하며 백점이나 헤어크랙의 원인이 되는 것은?
  • 50. 다음 중 일반적인 연강의 탄소 함유량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과목 : 기계제도
  • 51. 그림과 같은 용접기호의 의미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52. 나사의 도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3. 대칭형의 물체는 그림과 같이 조작하여 그릴 수 있는데, 이러한 단면도를 무슨 단면도라고 하는가?
  • 54. 치수 기입법에서 지름, 반지름, 구의 지름 및 반지름, 모떼기, 두께 등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보조기호 표시가 잘못된 것은?
  • 55. 기계재료 기호 SM 15CK에서 "15"가 의미하는 것은?
  • 56. 보기와 같이 제3각법으로 정투상도를 작도할 때 누락된 평면도로 적합한 것은?
  • 57. 그림과 같은 배관 접합 기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8. 제도를 하는데 있어서 아주 굵은 선, 굵은 선, 가는 선의 굵기 비율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 59. 전개도 작성시 삼각형 전개법으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형상은?
  • 60. 도면에서 표제란과 부품란으로 구분할 때, 부품란에 기입할 사항이 아닌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