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Welding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용접기능사, 용접산업기사, 용접기사

2. 자격정보

□ 용접기능사 기출문제
용접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용접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용접기능사 자격제도는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면서, 용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용접분야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0년부터 기존의 '전기용접기능사'와 '가스용접기능사'가 '용접기능사'로 통합됨.
2016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용접기능사는 각종 기계나 금속구조물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용접장비 및 기기를 조작하여 금속과 비금속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융접, 압접, 납땜작업을 수행.
용접부위를 손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용접점이나 절단선을 표시하고, 용접물의 재료, 두께, 형태 등을 파악하여 적합하게 용접장비를 조정한 후 공작물을 위치시키고 적절한 전극, 용접봉, 토치팁 및 기타 필요한 공구를 사용하여 접합부나 이음매를 용접하거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작업을 담당.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09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2024년 4회 2024.08.20 ~
2024.08.23
2024.09.08 ~
2024.09.12
2024.09.25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4
2024.12.04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40,0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용접도면을 해독하여 용접방법, 용접자세 등을 토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용접하는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용접일반
2) 용접재료
3) 기계제도(비절삭부분)

- 실기

1) 일반 용접작업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2시간 10분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30분

1 과목 : 용접일반
  • 1. 구조물의 본 용접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맞지 않는 것은?
    위빙 폭은 심선 지름의 2~3배 정도가 적당하다.
    용접 시단부의 기공 발생 방지 대책으로 핫 스타트(hot start) 장치를 설치한다.
    용접 작업 종단에 수축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크를 빨리 끊어 크레이터를 남게 한다.
    구조물의 끝 부분이나 모서리, 구석부분과 같이 응력이 집중되는 곳에서 용접봉을 갈아 끼우는 것을 피하여야 한다.
  • 2. 대전류, 고속도 용접을 실시하므로 이음부의 청정(수분, 녹, 스케일 제거 등) 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는 용접은?
    수동 피복 아크 용접
    반자동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가스 용접
  • 3. CO2 가스 아크 용접시 작업장의 CO2 가스가 몇 %이상이면 인체에 위험한 상태가 되는가?
    1%
    4%
    10%
    15%
  • 4. 안전을 위하여 가죽장갑을 사용할 수 있는 작업은?
  • 5. CO2가스 아크용접을 보호가스와 용극가스에 의해 분류했을 때 용극식의 솔리드 와이어 혼합 가스법에 속하는 것은?
  • 6. 다음 중 연소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 7. 그림과 같이 길이가 긴 T형 필릿 용접을 할 경우에 일어나는 용접변형의 영향은?
  • 8. 플라스마 아크 용접장치에서 아크 플라스마의 냉각가스로 쓰이는 것은?
  • 9. 용접부의 외관검사시 관찰사항이 아닌 것은?
  • 10. 용접균열의 분류에서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서 분류한 것은?
  • 11.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에서 고주파 전류를 사용할 때의 이점이 아닌 것은?
  • 12. 용접부 시험 중 비파괴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 13. MIG용접에서 와이어 송급방식이 아닌 것은?
  • 14. 다음 중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하면 냉각하면서 고온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 15. 다음 용착법 중에서 비석법을 나타낸 것은?
  • 16. 알루미늄을 TIG 용접법으로 접합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전원과 극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7. 연납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가재는?
  • 18. 충전가스 용기 중 암모니아 가스 용기의 도색은?
  • 19. 다음 그림에서 루트 간격을 표시하는 것은?
  • 20.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에 주로 사용하는 실드 가스는?
  • 21. 이음형상에 따라 저항용접을 분류할 때 맞대기 용접에 속하는 것은?
  • 22. 용접기의 보수 및 점검사항 중 잘못 설명한 것은?
  • 23. 교류아크 용접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24. 용접봉에서 모재로 용융금속이 옮겨가는 용적이행 상태가 아닌 것은?
  • 25. 교류와 직류 아크 용접기를 비교해서 직류 아크 용접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26. 가스용접에서 탄화불꽃의 설명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 27. 전기용접봉 E4301은 어느 계인가?
  • 28. 가스 절단 작업시의 표준 드래그 길이는 일반적으로 모재 두께의 몇 % 정도인가?
  • 29. 산소용기의 표시로 용기 윗부분에 각인이 찍혀 있다. 잘못 표시된 것은?
  • 30. 피복 아크 용접기의 아크 발생 시간과 휴식시간 전체가 10분이고 아크 발생 시간이 3분일 때 이 용접기의 사용률(%)은?
  • 31. 다음 절단법 중에서 두꺼운 판, 주강의 슬랙 덩어리, 암석의 천공 등의 절단에 이용되는 절단법은?
  • 32. 다음 중 직류 정극성을 나타내는 기호는?
  • 33. 용접에서 직류 역극성의 설명 중 틀린 것은?
  • 34.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에 합금제로 첨가되는 것은?
  • 35. 100A 이상 300A 미만의 피복 금속 아크 용접시 차광유리의 차광도 번호가 가장 적합한 것은?
2 과목 : 용접재료
  • 36. 가스절단에서 절단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37. 두께가 6.0㎜인 연강판을 가스용접하려고 할 때 가장 적합한 용접봉의 지름은 몇 ㎜인가?
  • 38. 가스의 혼합비(가연성 가스 : 산소)가 최적의 상태일 때 가연성가스이 소모량이 1이면 산소의 소모량이 가장 적은 가스는?
  • 39. 가변압식 토치의 팁 번호 400번을 사용하여 표준불꽃으로 2시간 동안 용접할 때 아세틸렌가스의 소비량은 몇 ℓ인가?
  • 40. 두랄루민(duralumin)의 합금 성분은?
  • 41. 탄소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2. 액체 침탄법에 사용되는 침탄제는?
  • 43. 다음 금속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4. 다이캐스팅 합금강 재료의 요구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5. 강을 담금질할 때 다음 냉각액 중에서 냉각효과가 가장 빠른 것은?
  • 46. 주석청동 중에 납(Pb)을 3~26% 첨가한 것으로 베어링 패킹재료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은?
  • 47.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징이 아닌 것은?
  • 48. Mg(마그네슘)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 49. 다음 주강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 50. 가볍고 강하며 내식성이 우수하나 600℃ 이상에서는 급격히 산화되어 TIG 용접시 용접토치에 특수(shield gas) 장치가 반드시 필요한 금속은?
3 과목 : 기계제도
  • 51. 그림의 형강을 올바르게 나타낸 치수 표시법은? (단, 형강 길이는 K이다.)
  • 52. 기계제도에 관한 일반사항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3. 그림과 같은 제3각 투상도에 가장 적합한 입체도는?
  • 54. 배관 제도 밸브 도시기호에서 일반 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은?
  • 55. 다음 용접기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6. 정투상법의 제1각법과 제3각법에서 배열위치가 정면도를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놓이는 투상도는?
  • 57. 다음 중 원기둥의 전개에 가장 적합한 전개도법은?
  • 58. 판의 두께를 나타내는 치수 보조 기호는?
  • 59. KS 재료기호 SM10C에서 10C는 무엇을 뜻하는가?
  • 60. 다음 투상도 중 표현하는 각법이 다른 하나는?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