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전기기사
영문명 :
Engineer Electricity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2. 자격정보

□ 전기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주로 전기기계 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
공사 현장에서 공사를 시공,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 발전,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 관리업무를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건설 현장, 전기공작물시설업체, 아파트 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 가능.

-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 가능.

-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 부서 등으로도 취업 가능.

- 송유관사업법에 의해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책임자로, 전기사업법에 의해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로 내 배전선로의 관리소를 직접 통할하는 사업장에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 취업 가능.

-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 국공립 전기 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 가능.

- 전기공학 기술자로서 전기부품, 장비, 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 담당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 직렬의 전기, 항공우주 직류, 해양수산 직렬의 수로, 해양교통시설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경찰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음.

자격부여

- 전기기사의 자격을 취득하면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안전관리 대행자로 활동이 가능하고,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등의 자격이 주어짐.

- 전력기술관리법에 의한 전력기술인으로 활동할 수 있고, 전력설계업 및 감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 성능 검사대행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전기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실기

1)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전기자기학
  • 1. 반지름이 a[m]이고, 단위 길이에 대한 권수가 n인 무한장 솔레노이드의 단위 길이당 자기인덕턴스는 몇H/m 인가?
    μπa2n2
    μπan
    4μπa2n2
  • 2. 선전하밀도 p[C/m]를 갖는 코일이 반원형의 형태를 취할 때, 반원의 중심에서 전계의 세기를 구하면 몇 V/m인가? (단, 반지름은 r[m]이다.)
  • 3. 비투자율 ㎲는 역자성체에서 다음 어느 값을 갖는가?
    ㎲ = 0
    ㎲ < 1
    ㎲ > 1
    ㎲ = 1
  • 4. 도전율 σ, 투자율 μ인 도체에 교류 전류가 흐를 때 표피 효과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 자계와 전류계의 대응으로 틀린 것은?
  • 6. 다음의 관계식 중 성립할 수 없는 것은? (단, μ는 투자율, μ0는 진공의 투자율, x는 자화율, J는 자화의 세기이다.)
  • 7. 베이클라이트 중의 전속밀도가 D[C/m2] 일때의 분극의 세기는몇 C/m2인가? (단, 베이클라이트의 비유전율은 εr 이다.)
  • 8. 철심부의 평균 길이가 i2, 공극의 길이가 i1, 단면적이 S인 자기회로이다. 자속밀도를 B[Wb/m2]로 하기 위한 기자력[AT]은?
  • 9. 자성체의 자화의 세기 J=8kA/m 자화율 xm=0.02일 때 자속밀도는 약 몇 T인가?
  • 10. 진공중의 자계 10AT/m인 점에 5×10-3Wb의 자극을 놓으면 그 자극에 작용하는 힘[N]은?
  • 11. 전계와 자계와의 관계에서 고유임피던스는?
  • 12. 자성체 3×4×20[cm3]가 자속밀도 B=130mT로 자화되었을 때 자기모멘트가 48[Am2]이었다면 자화의 세기(M)는 몇 [A/m]인가?
  • 13. 그림과 같은 평행판 콘덴서에 극판의 면적이 S[m2], 진전하 밀도를 σ[C/m2], 유전율이 각각 인 유전체를 채우고 a, b 양단에 V[V]의 전압을 인가할 때 인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1, E2와의 관계식은?
  • 14. 쌍극자 모멘트가 M[C ㆍ m]인 전기쌍극자에 의한 임의의 점 P에서의 전계의 크기는 전기 쌍극자의 중심에서 축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 사이의 각이 얼마일 때 최대가 되는가?
  • 15. 원점에 +1[C], 점(2,0)에 -2[C]의 점전하가 있을 때 전계의 세기가 0인 점은?
  • 16. 반지름 2mm, 간격 1m의 평행왕복 도선이 있다. 도체간에 전압 6kV를 가했을 때 단위 길이당 작용하는 힘은 몇 N/m인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17. 유전율이 인 유전체 경계면에 수직으로 전계가 작용할 때 단위 면적당에 작용하는 수직력은?
  • 18. 진공 중에서 +q[C]과 -q[C]의 점전하가 미소거리 a/m 만큼 떨어져 있을 때 이 쌍극자가 P점에 만드는 전계[V/m]와 전위[V]의 크기는?
  • 19. 반지름 a[m]인 원형코일에 전류 I[A]가 흘렀을 때 코일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 [At/m]는?
  • 20. 손실 유전체에서 전자파에 대한 전파정수 r로서 옳은 것은?
2 과목 : 전력공학
  • 21. 송전거리, 전력, 손실률 및 역률이 일정하다면 전선의 굵기는?
  • 22. 보호계전기의 보호방식 중 표시선 계전방식이 아닌 것은?
  • 23. 중성점 직접 접지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4. 단상 변압기 3대를 △결선으로 운전하던 중 1대의 고장으로 V결선 한 경우 V결선과 △결선의 출력비는 약 몇 %인가?
  • 25. 전력선에 영상 전류가 흐를 때 통신선로에 발생되는 유도 장해는?
  • 26. 변압기의 결선 중에서 1차에 제3고조파가 있을 때 2차에 제 3고조파 전압이 외부로 나타나는 결선은?
  • 27. 3상 3선식의 전선 소요량에 대한 3상 4선식의 전선 소요량의 비는 얼마인가? (단, 배전거리, 배전전력 및 전력손실은 같고, 4선식의 중성선의 굵기는 외선의 굵기와 같으며, 외선과 중성선간의 전압은 3선식의 선간전압과 같다.)
  • 28. 수전단의 전력원 방정식이 으로 표현되는 전력계통에서 가능한 최대로 공급할 수 있는 부하전력 Pr과 이때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무효전력 Qr은 각각 얼마인가?
  • 29. 그림과 같이 부하가 균일한 밀도로 도중에서 분기되어 선로전류가 송전단에 이를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할 경우 선로의 전압강하는 이 송전단 전류와 같은 전류의 부하가 선로의 말단에만 집중되어 있을 경우의 전압강하보다 어떻게 되는가? (단, 부하 역률은 모두 같다고 한다.)
  • 30. 컴퓨터에 의한 전력 조류 계산에서 슬랙(slack)모선의 지정값은?(단, 슬랙 모선을 기준모선으로 한다.)
  • 31. 동일 모선에 2개 이상의 급전선(Feeder)을 가진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지락사고에 대한 보호계전기는?
  • 32. 차단기의 차단능력이 가장 가벼운 것은?
  • 33. 한류리액터의 사용 목적은?
  • 34. 통신선과 평행인 주파수 60㎐의 3상 1회선 송전선이 있다. 1선 지락 때문에 영상전류가 100A 흐르고 있다면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자유도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영상전류는 전 전선에 걸쳐서 같으며, 송전선과 통신선과의 상호인덕턴스는 0.06mH/㎞, 그 평행 길이는 40㎞이다.)
  • 35. 중거리 송전선로의 특성은 무슨 회로로 다루어야 하는가?
  • 36. 전력용 콘덴서의 사용전압을 2배로 증가시키고자 한다. 이 때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동일 용량으로 유지하려면 승압전의 정전용량보다 어떻게 변화하면 되는가?
  • 37. 발전기의 단락비가 작은 경우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 38. 송전선로에서 1선 지락시에 건전상의 전압 상승이 가장 적은 접지 방식은?
  • 39. 배전 선로의 손실을 경감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40. 댐의 부속설비가 아닌 것은?
3 과목 : 전기기기
  • 41. 정격출력이 7.5kW의 3상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운전에서 2차 저항손이 300W이다. 슬립은 약 몇%인가?
  • 42. 직류 분권 발전기를 병렬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발전기 용량 P와 정격전압 V는?
  • 43. 권선형 유도 전동기 기동 시 2차측에 저항을 넣는 이유는?
  • 44. 변압기에서 철손을 구할 수 있는 시험은?
  • 45.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2차 권선의 전압 sEs 같은 위상의 전압 Ec를 공급하고 있다. Ec를 점점 크게 하면 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속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 46. 주파수 60㎐ 슬립 0.2인 경우 회전자 속도가 720rpm일 때 유도 전동기의 극수는?
  • 47. 단락비가 큰 동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8. 유도전동기의 1차 전압 변화에 의한 속도 제어시 SCR을 사용하여 변화시키는 것은?
  • 49. 비철극형 3상 동기발전기의 동기 리액턴스 Xs=10Ω, 유도기전력 E=6000V 단자전압 V=5000V 부하각 δ=30°일 때 출력은 몇 kW인가? (단, 전기자 권선저항은 무시한다. )
  • 50. 3상 유도전동기 원선도에서 역률[%]을 표시하는 것은?
  • 51. 상수 m, 매극 매상당 슬롯수 q인 동기 발전기에서 n차 고조파분에 대한 분포계수는?
  • 52. 유도 전동기 1극의 자속 및 2차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토크와의 관계는?
  • 53. 동기 전동기의 기동법 중 자기동법에서 계자권선을 저항을 통해서 단락시키는 이유는?
  • 54. 슬롯수 36의 고정자 철심이 있다. 여기에 3상 4극의 2층권으로 권선할 때 매극 매상의 슬롯수와 코일 수는?
  • 55. 3단자 사이리스터가 아닌 것은?
  • 56. 단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할 경우 부하 전류의 분담은?
  • 57. 6극 직류 발전기의 정류자 편수가 132, 유기기전력이 210V, 직렬 도체수가 132개이고 중권이다. 정류자 편간 전압은 약 몇 V인가?
  • 58.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이 아닌 것은?
  • 59. 3000V의 단상 배전선 전압을 3300V로 승압하는 단권 변압기의 자기 용량은 약 몇 kVA인가? (단, 여기서 부하 용량은 100kVA이다.)
  • 60. 변압기 운전에 있어 효율이 최대가 되는 부하는 전부하의 75%였다고 하면, 전부하에서의 철손과 동손의 비는?
4 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61. 단위 피드백 제어계의 개루프 전달함수가 일 때 단위 계단 입력에 대한 정상 편차는?
  • 62. 에서 점근선의 교차점을 구하면?
  • 63. 그림의 블록선도에서 K에 대한 폐루프 전달함수 의 감도는?
  • 64. 다음의 전달함수 중에서 극점이 영점이 -2인 것은?
  • 65. 비례요소를 나타내는 전달함수는?
  • 66. 다음의 논리회로를 간단히 하면?
  • 67. 근궤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68. F(s) = s3 + 4s2 + 2s + K = 0 에서 시스템이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
  • 69. 전달함수 인 제어계의 임펄스응답 c(t)는?
  • 70. 는?
  • 71. 전하 보존의 법칙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 72. 그림과 같은 직류 전압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면?
  • 73. i = 3t2 + 2t[A] 의 전류가 도선을 30초간 흘렀을 때 통과한 전체 전기량[Ah]은?
  • 74. 인덕턴스 L=20[mH]인 코일에 실효값 E=50[V], 주파수 f=60[㎐]인 정현파 전압을 인가했을 때 코일에 축적되는 평균 자기에너지는 약 몇 J인가?
  • 75. 그림의 사다리꼴 회로에서 부하전압 VL의 크기는 몇 V인가?
  • 76. 전압비 106을 데시벨[dB]로 나타내면?
  • 77. 상전압이 120V인 평형 3상 Y결선의 전원에 Y결선 부하를 도선으로 연결하였다. 도선의 임피던스는 1 + j[Ω] 이고 부하의 임피던스는 20 + j10[Ω] 이다. 이때 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약 몇 V인가?
  • 78.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100Ω이고, 부하저항이 400Ω일 때 전압 정재파비 S는 얼마인가?
  • 79. 구동점 임피던스 함수에 있어서 극점은?
  • 80. 그림과 같은 파형의 파고율은?
5 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81. 태양전지 발전소에 시설하는 태양전지 모듈, 전선 및 개폐기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2. 가요전선관 공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 전 문제로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83. 직류 귀선은 궤도 근접 부분이 금속제 지중 관로와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전기부식 방지를 위한 상호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84.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방세목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 85. 시가지내에 시설하는 154kV 가공 전선로에 지락 또는 단락이 생겼을 때 몇 초 안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 86.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시설부지 조성을 위해 산지를 전용할 경우에 전용하고자 하는 산지의 평균 경사도는 몇 도 이하이어야 하는가?
  • 87.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지물의 강도 계산에 적용하는 갑종 풍압하중을 계산할 때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 값[Pa]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 88. 특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횡단보도교, 철도 또는 궤도와 제 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제 몇 종 보안공사에 의하여야 하는가?
  • 89. 통신선과 저압 가공전선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다중 접지를 한 중성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인가?
  • 90. 철탑의 강도계산에 사용하는 이상시 상정하중이 가하여지는 경우의 그 이상시 상정 하중에 대한 철탑의 기초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91. 사용전압 22.9kV인 가공 전선과 지지물과의 이격거리는 일반적으로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 92. 전기방식시설의 전기방식 회로의 전선 중 지중에 시설하는 것으로 틀린 것은?
  • 93. 수소 냉각식 발전기 또는 이에 부속하는 수소 냉각 장치에 관한 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
  • 94. 전동기의 절연내력 시험은 권선과 대지간에 계속하여 시험전압을 가할 경우, 최소 몇 분간은 견디어야 하는가?
  • 95. 고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 가공전선과 안테나 사이의 수평이격거리는 최소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가공전선으로는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 96. 옥내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를 초과하는 방전등 공사에 사용되는 네온 변압기 외함의 접지공사로 옳은 것은?
  • 97. 주택의 옥내를 통과하여 그 주택 이외의 장소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옥내 배선을 공사하는 방법이다.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은폐된 장소에서 시행하는 공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단, 주택의 옥내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이다.)
  • 98. 전기 울타리의 시설에 관한 규정 중 틀린 것은?
  • 99. 주택 등 저압 수용 장소에서 고정 전기설비에 TN-C-S 접지 방식으로 접지공사 시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PEN)를 알루미늄으로 사용할 경우 단면적은 몇 mm2이상이어야 하는가?
  • 100. 유도장해의 방지를 위한 규정으로 사용전압 60kV 이하인 가공 전선로의 유도전류는 전화선로의 길이 12km마다 몇 μA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2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