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Informa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 자격정보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토지, 산, 바다 등 수많은 지형과 공간에 대하여 측량을 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20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국토의 이용 및 개발, 건설공사, 공간정보 및 관련 DB 구축을 위하여 각종 측량 및 공간정보 구축에 대한 자료취득, 성과작성 및 점검 등의 세부적인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업체, 측량전문업체, 지도제작업체, 지리정보업체, 토목 및 국토개발관련 용역업체에 진출 가능.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우대

- 토목공사현장, 측량업체에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 수로직렬의 수로와 표지 직류, 도시계획과 토목, 측지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대한지적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1.5%를 가산함.

자격부여

-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측량법시행규칙에 의한 측량업, 성능검사대행자,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사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 · 안전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관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5.29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8.28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1.20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토털스테이션, 레벨 활용 능력 및 측량성과정리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토목 및 건축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응용측량
2)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3)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위성측위시스템(GNSS)
4) 측량학

- 실기

1) 측량및지형공간정보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1시간 50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10분

1 과목 : 응용측량
  • 1. 완화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완화곡선 반지름은 종점에서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
    완화곡선 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하고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
  • 2. 노선측량의 곡선설치법에서 단곡선의 요소에 대한 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R은 곡률반지름, I는 교각이다.)
    곡선길이 = C.L = R·I(I는 라디안)
    장현 = C = 2R·sin(I/2)
    접선길이 = T.L = R·tan(I/2)
    중앙종거 = M = R(sec(I/2)-1)
  • 3. 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곡선시점의 좌표가 (1000.500m, 200.400m), 곡선반지름이 300m, 교각이 60°일 때, 곡선시점으로부터 교점의 방위각이 120°일 경우, 원곡선 종점의 좌표는?
    (680.921m, 328.093m)
    (740.692m, 350.400m)
    (1233.966m, 433.766m)
    (1344.666m, 544.546m)
  • 4. 단곡선 설치 방법 중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정확도가 비교적 높은 것은?
  • 5. 터널 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 6. 다음 표에서 성토부분의 총 토량으로 옳은 것은? (단, 양단면 평균법 공식 적용)
  • 7. 10m 간격의 등고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구릉지에서 구적기로 면적을 구한 값이 Ao=100m2, A1=150m2, A2=300m2, A3=450m2, A4=800m2일 때 각주 공식에 의한 체적은? (단, 정상(Ao)부분은 평탄한 것으로 가정)
  • 8. 평균 유속을 2점법으로 결정하고자 할 때, 수면으로부터의 관측수심 위치는? (단, h:수심)
  • 9. 수로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 그림에서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선분 DE로 △ADE:□BCED=2:3으로 분할하려고 할 때 AD의 길이는? (단, AB의 길이=50m)
  • 11. 수애선(水涯線)과 수애선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2. 지중레이다(GPR, Ground Penetration Radar) 탐사기법은 전자파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는가?
  • 13. 하천의 수면 기울기를 결정하기 위해 200m 간격으로 동시 수위를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서 구간 1~5의 평균 수면 기울기(하향)는?
  • 14. 그림과 같이 터널 내의 천정에 측점을 정하여 관측하였을 때, AB 두 점의 고저 차가 40.25m이고 a=1.25m, b=1.85m이며, 경사거리 S=100.50m이었다면 연직각(α)은?
  • 15.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6. 원곡선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7. 어느 도면상에서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400m2이었다. 이 도면이 가로, 세로 1%씩 축소되어 있었다면 이때 발생되는 면적오차는?
  • 18. 세 변의 길이가 각각 20m, 30m, 40m인 삼각형의 면적은 약 얼마인가?
  • 19. 클로소이드 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R:곡선의 반지름, L:곡선 길이, A:매개변수)
  • 20. 다음 중 주로 종단곡선으로 사용되는 것은?
2 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21. 영상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영상은?
  • 22. 레이다 위성 영상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3. 항공사진의 촬영사진기 중 보통각 사진기의 시야각은?
  • 24. 사진 표정작업 중 절대표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25. 항공사진측량의 촬영계획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 26.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의 한 화소(Pixel)에 해당하는 지상거리 X, Y를 무엇이라 하는 가?
  • 27. 인공위성 센서의 지상 자료 취득 방식 중 푸시브룸(Push-Broo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8. 단사진에서 기복변위 공식의 적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9. 초점거리가 150mm이고 촬영고도가 1500m인 수직 항공사진에서 탑(Tower)의 높이를 계산하려고 한다. 주점으로부터 탑의 밑 부분까지 거리가 4cm, 탑의 꼭대기까지 거리가 5cm라면 이 탑의 실제 높이는?
  • 30. 원격탐사 자료처리 중 기하학적 보정에 해당되는 것은?
  • 31. 영상처리 방법 중 토지피복도와 같은 주제도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은?
  • 32.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3. 항공삼각측량 방법 중 상좌표를 사진좌표로 변환시킨 다음 사진좌표로부터 절대좌표를 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은?
  • 34. 촬영고도 6000m에서 찍은 연직사진의 중복도가 종중복도 50%, 횡중복도 30%라고 하면 촬영종기선장(B)과 촬영횡기선장(C)의 비(B:C)는?
  • 35. 다음 중 과고감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사진기는?
  • 36. 초점거리가 f이고, 사진의 크기가 a×a인 항공사진이 촬영 시 경사도가 이었다면 사진에서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는?
  • 37. 상호표정의 인자로만 짝지어진 것은?
  • 38. 원격탐사의 탐측기에 의해 수집되는 전자기파 0.7μm~3.0μm 정도 범위의 파장대를 가지고 있으며 식생의 종류 및 상태조사에 유용한 것은?
  • 39.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로 촬영고도 3000m에서 찍은 연직사진의 축척은?
  • 40. 다음과 같이 어느 지역의 영상으로부터 '논'의 훈련지역(training field)을 선택하여 해당 영상소를 'P'로 표기하였다. 이때 산출되는 통계값으로 옳은 것은?
3 과목 : GIS 및 GPS
  • 41.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
  • 42. GPS에서 채택하고 있는 타원체는?
  • 43.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 44. 도시 계획 및 관리 분야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GIS) 활용 사례와 거리가 먼 것은?
  • 45. 부영상소 보간방법 중 출력영상의 각 격자점 (x, y)에 해당하는 밝기를 입력영상좌표계의 대응점 (x′, y′) 주변의 4개 점 간 거리에 따라 영상소의 경중률을 고려하여 보간하며 영상에 존재하는 영상값을 계산하거나 표고값을 계산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보간 방법은?
  • 46.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를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7.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정확도 향상 방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 48. 다음 중 래스터 데이터 구조의 자료를 압축 저장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49. 우리나라 측지측량 좌표 결정에 사용되고 있는 기준타원체는?
  • 50. 지리정보시스템에 이용되는 GIS 소프트웨어의 모듈기능이 아닌 것은?
  • 51.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의 응용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것은?
  • 52. 지리정보시스템(GIS) 소프트웨어가 갖는 CAD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 53. GPS 신호는 두 개의 주파수를 가진 반송파에 의해 전송된다.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 54. 다음의 래스터 데이터에 최댓값 윈도우(max kernel)를 3×3 크기로 적용한 결과로 옳은 것은?
  • 55. GNSS 측량의 직접적인 활용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
  • 56.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7. 다음 중 공간정보자료 파일 형식 중 벡터 데이터가 아닌 것은?
  • 58. 새주소(도로명)사업 등 GIS 업무에 있어서 경위도 또는 X, Y 등과 같은 지리적인 좌표를 기록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 59.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등간격(equal interval) 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그룹으로 분류(classify)한 결과로 옳은 것은?
    {2, 10,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 60. GPS를 이용한 반송파 위상관측법에서 위성에서 보낸 파장과 지상에서 수신된 파장의 위상차만 관측하므로 전체 파장의 숫자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 가?
4 과목 : 측량학
  • 61. 그림과 같은 교호수준측량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100m이다.)
    a1=1.8m, a2=1.2m, b1=1.0m, b2=0.4m
  • 62. A점은 20m의 등고선 상에 있고, B점은 30m의 등고선 상에 있다. 이때 AB의 경사가 20%이면 AB의 수평거리는?
  • 63. 수평각관측법 중 조합각관측법으로 한 점에서 관측할 방향 수가 일 때 총 각관측 수는?
  • 64. 등고선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65. 타원체의 적도반지름(장축)이 약 6378.137km이고, 편평률은 약 1/298.257이라면 극반지름(단축)과 적도반지름의 차이는?
  • 66. 표준길이보다 7.5mm가 긴 30m 줄자를 사용하여 420m를 관측하였다면 실제 거리는?
  • 67. 삼각측량에 대한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 68. 최소제곱법의 관측방정식이 X=L+V 와 같은 행렬식의 형태로 표시될 때, 이 행렬식을 풀기 위한 정규방정식이 A+AX=ATL일 때, 미지수 행렬 X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69. 측량의 오차와 연관된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0. 그림과 같이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량하기 위하여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40.25m인 A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2.65m를 관측했다. 42m 등고선 위의 점 B에서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 71. 강철줄자에 의한 거리측량에 있어서 강철줄자의 장력에 대한 보정량 계산을 위한 요소가 아닌 것은?
  • 72. 트래버스 측량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1100m이고, 위거 오차가 +0.23m, 경거 오차가 -0.35m일 때 폐합비는?
  • 73. 줄자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따라 50m의 거리를 관측한 경우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한 보정량이 4cm일 때의 양단 고저차는?
  • 74. 삼각망 조정을 위하여 만족되어야 하는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 75. 측량업의 등록취소 등의 관련 사항 중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 76. 측량기준점에서 국가기준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77.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필수적 사항이 아닌 것은?
  • 7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용어에 대한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 79. 심사를 받지 않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 80. 공공측량의 실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