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Informa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 자격정보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토지, 산, 바다 등 수많은 지형과 공간에 대하여 측량을 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20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국토의 이용 및 개발, 건설공사, 공간정보 및 관련 DB 구축을 위하여 각종 측량 및 공간정보 구축에 대한 자료취득, 성과작성 및 점검 등의 세부적인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업체, 측량전문업체, 지도제작업체, 지리정보업체, 토목 및 국토개발관련 용역업체에 진출 가능.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우대

- 토목공사현장, 측량업체에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 수로직렬의 수로와 표지 직류, 도시계획과 토목, 측지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대한지적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1.5%를 가산함.

자격부여

-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측량법시행규칙에 의한 측량업, 성능검사대행자,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사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 · 안전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관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5.29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8.28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1.20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토털스테이션, 레벨 활용 능력 및 측량성과정리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토목 및 건축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응용측량
2)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3)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위성측위시스템(GNSS)
4) 측량학

- 실기

1) 측량및지형공간정보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1시간 50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10분

1 과목 : 응용측량
  • 1. 축척 1:500의 지형도에서 3번의 길이가 각각 20.5cm, 32.4cm, 28.5cm이었다면 실제면적은?
    288.5cm2
    866.6cm2
    1443.5cm2
    7213.3cm2
  • 2. 하천측량에서 일반적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과 그 측정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수면에서 측정하여 그 값을 평균유속으로 한다.
    보통 1점만을 측정하여 평균유속으로 결정할 때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 6/10인 곳에서 측정한다.
    2점을 측정할 때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10, 8/10인 곳을 측정하여 산술평균하여 평균유속으로 한다.
    3점을 측정할 때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1/10, 6/10, 8/10인 곳에서 유속을 측정하고 1/4(V0.2+2V0.6+V0.8)로 평균유속을 구한다.
  • 3. 교점 P에 접근할 수 없는 그림과 같은 곡선설치에서 C점으로부터 B, C까지의 거리 X는? (단, σ=50°, β=90°, γ=40°, CD=200m, R=300m)
    824.2m
    513.1m
    311.1m
    288.7m
  • 4. 하천의 수애선을 결정하는 수위는?
  • 5. 곡선반지름 R=500m인 원곡선을 설계속도 100km/h로 설계하려고 할 때, 켄트(cant)는? (단, 궤간 b는 1067mm)
  • 6. 토지의 면적분할에서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직선 DE로 △ADE : □BCED=2:3의 비가 되도록 면적을 분할하는 경우 AD의 길이는?
  • 7. 터널 내 측량 시 중심선의 이동과 관련하여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8. 아래 지역의 계산 결과가 940m3 이었다면 절토량과 설토량이 같게 되는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 9. 그림과 같은 토지의 면적을 심프슨 제1공식을 적용하여 구한 값이 44m2라면 거리 D는?
  • 10.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1.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흙의 토량은? (단, 각주공식을 사용하고, 주어진 면적은 양 단면적과 중앙 단면적이다.
  • 12. 유토곡선(mass curve)을 작성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 13.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일정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를 조사하는 것은?
  • 14. 노선 결정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노선측량에서 중심선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 16.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 장소 선정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노선의 단곡선에서 교각이 45°, 곡선반지름이 100m,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가 120.85m일 때 곡선 종점의 추가거리는?
  • 18. 노선 기점에서 400m 위치에 있는 교점의 교각이 80°인 단곡선에서 곡선반지름이 100m인 경우,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 19. 클로소이드(clothoid)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0. 터널 내 수준측량에서 천장에 측점이 설치되어 있을 때, 두 점 A, B간의 경사거리가 60m이고, 기계고가 1.7m, 시준고가 1.5m, 연직각이 3°일 때, A점과 B점의 고저 차는?
2 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21. 수치영상의 재배열(Resampling) 방법 중 하나로 가장 계산이 단순하고 고유의 픽셀값을 손상시키지 않으나 영상이 다소 거칠게 표현되는 방법은?
  • 22. 항공사진측량에 의해 제작된 지형도(지도)의 상으로 옳은 것은?
  • 23. 어느 지역의 영상과 동일한 지역의 지도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밭”의 훈련지역(training field)을 선택한 결과로 적합한 것은?
  • 24. 영상재배열(image resamp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5. 기복이 심한 지형을 경사로 촬영한 사진에 대하여 경사와 비고에 의한 편위를 수정한 정밀사진지도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은?
  • 26.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27. 동서 30km, 남북 20km인 지역에서 축척 1:50000의 항공사진 1장의 스테레오 모델에 촬영된 면적이 16.3km2이다. 이 지역을 촬영하는 데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단, 안전율은 30%이다.)
  • 28. 항공사진측량에서 산악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9.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지구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은?
  • 30. 인공위성궤도의 종류 중 태양광 입사각이 거의 일정하여 센서의 관측 조건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 31. 초점거리 11cm, 사진크기 18cm×18cm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축척 1:200000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의 주점기선장이 72mm일 때 비고 50mm에 대한 시차 차는?
  • 32. 촬영고도 5000m를 유지하면서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실제 길이 800m인 교량의 길이는?
  • 33. 해석적 표정에 있어서 관측된 상좌표로부터 사진좌표로 변환하는 작업은?
  • 34. 초점거리 15cm, 사진크기 23cm×23cm의 카메라로 축척 1:20000인 항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기준면(표고 0m)에서 종중복(over lap)이 60%였을 때 표고 200m인 평탄지의 종중복도는?
  • 35. 도화기의 발달과정 경로를 옳게 나열한 것은?
  • 36.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7. 일반적으로 오른쪽 안경렌즈에는 적색, 왼쪽 안경렌즈에는 청색을 착색한 안경을 쓰고 특수하게 인쇄된 대상을 보면서 입체시를 구성하는 것은?
  • 38. 사진측량의 분류 중 촬영방향에 의한 분류에 속하는 것은?
  • 39. SAR(Synthetic Aperyure Radar)영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 40. 다음 중 1장의 사진으로 할 수 있는 작업은?
3 과목 : GIS 및 GPS
  • 4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활용 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2. GNSS 관측을 통해 직접 결정할 수 있는 높이는?
  • 43. 위상(Topology)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입력 방법이 아닌 것은?
  • 45. 다각형의 경계가 인접지역의 두 점들로부터 같은 거리에 놓이게 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은?
  • 46.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cation Model)의 활용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 47. GPS 기준국과 이동국 사이의 기선벡터가 각각 △X=200m, △Y=300m, △Z=50m일 때 기준국과 이동국 사이의 공간 거리는?
  • 48. GNSS 측량을 우주부분에 활용할 때 적당하지 않은 것은?
  • 4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 50. 다음 중 GPS 위성 궤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1. 레스터데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52. GNSS(Global Navigational Sateonal System)위성과 관련 없는 것은?
  • 53.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의 유지ㆍ보안과 관련이 없는 것은?
  • 54. 화재나 응급 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 또는 항공기의 운항경로 등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은?
  • 5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간데이터를 설명하는 기능을 가지며 데이터의 생산자, 좌표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 56.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다루어지는 지리정보의 특성이 아닌 것은?
  • 57.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 Relational DBM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58. 래스터(또는 그리드)저장 기법 중 셀 값을 대별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각각의 변 진행에 대하여 속성값, 위치, 길이를 한 번씩만 저장하는 방법은?
  • 59.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의 저장방식을 파일 저장방식과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방식으로 구분할 때 파일 저장방식에 비해 DBMS 방식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다음 중 벡터파일 형식에 해당되는 것은?
4 과목 : 측량학
  • 61. 수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2.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에 적합하여 하천측량, 노선측량, 터널측량 등에 이용되는 삼각망은?
  • 63. 우리나라 수치지형도의 표기방법 중 7자리 숫자의 도엽번호는 축척이 얼마인가?
  • 64. 한 기선의 길이를 n회 반복 측정한 경우,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5. 강철줄자로 실측한 길이가 246.241m이었다. 이 때 온도가 10℃라면 온도에 의한 보정량은?
  • 66.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A점의 표고는 308m, B점의 표고는 346m일 때, A점으로부터 AB상에 있는 표고 332m 지점까지의 거리는? (단, AB는 등경사이며, 도상거리는 12.8mm이다.)
  • 67. 지구표면에서 반지름 55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한다면 거리의 허용정밀도는?
  • 68.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표적눈금의 읽음값에 생긴 오차와 시준거리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 69. 그림과 같이 4개의 삼각망으로 둘러싸여 있는 유심삼각망에서 γ1234=360° 00‘ 08” 에 대한 삼각망 조정 결과로 옳은 것은?
  • 70. 오차 중에서 최소제곱법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은?
  • 71. 수준측량에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0mm라면 2km 왕복측정에 대한 허용오차는?
  • 72. 삼각점을 선정할 때의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3. 각과 거리 관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4. 망원경의 배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5. 기본측량성과의 검증을 위해 검증을 의뢰받은 기본측량성과 검증기관은 며칠 이내에 검증결과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 76. 측량기기인 토털 스테이션(Total Station)과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성능검사 주기는?
  • 77.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78. “측량기록”의 용어 정의로 옳은 것은?
  • 79.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 80. 측량기준점에서 국가기준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