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영재교육과정의 개념, 영재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적, 영재교육과정의 유형과 형식, 영재교육과정의 실태, 영재교육과정의 쟁점, 영재교육과정의 사례,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영재교육과정 관련 제언 분석

*태*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0.11.19
최종 저작일
2010.11
1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6,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영재교육과정의 개념, 영재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적, 영재교육과정의 유형과 형식, 영재교육과정의 실태, 영재교육과정의 쟁점, 영재교육과정의 사례,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영재교육과정 관련 제언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영재교육과정의 개념
1. 미국 교육부(USOE, 1976)의 이론
2. Virgil Ward(1961)의 이론

Ⅲ. 영재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적
1. 교육적 차원
2. 개인적 차원
3. 국가적 차원

Ⅳ. 영재교육과정의 유형과 형식
1. Renzulli의 심화학습 3단계 모형(Enrichment Triad Model)
2. 학교전체 심화학습모형(Schoolwide Enrichment Model: SEM)
3. 퍼듀 3단계 심화모형(Purdue Three-stage Enrichment Model)
4. Treffinger의 자기주도적 학습모형(Self-directed Learning Model)
1) 교사주도 수업단계(command style)
2) 영재주도학습 1단계(task style)
3) 영재주도학습 2단계(peer-partner style)
4) 영재주도학습 3단계(self-directed style)
5. 피라미드 프로젝트 모형(Pyramid Project Model)
6. Osborn-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법
1) 문제의 발견
2) 사실발견
3) 아이디어 발견
4) 결과발견
5) 인정발견

Ⅴ. 영재교육과정의 실태

Ⅵ. 영재교육과정의 쟁점
1. 일반 능력 vs 특수 전문 능력
2. 속진 학습 vs 심화학습
3. 분과 vs 통합
4. 인지적 영역의 학습 vs 정의적 영역의 학습
5. 개인 중심의 학습 vs 집단 중심의 학습
6. 대학 중심과 교육청 중심
7. 과학 중심 영재교육과 여타 분야

Ⅶ. 영재교육과정의 사례
1. 경기도 용인 보라초등학교의 재능반 운영
2. 전북 구례군 옥구초등학교의 특수재능교육 운영

Ⅷ.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1.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
1)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은 잠재력이 뛰어난 모든 아이들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둔다
2)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은 그 대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한다
3) 영재성의 판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 결과를 적절히 활용한다
2. 영재교육과정의 구성 및 운영
3. 영재교육 담당 교원
1) 영재교육은 영재교육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교원이 담당한다
2)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은 정기적으로 연수를 받아야 한다
4. 영재교육기관의 운영

Ⅸ. 영재교육과정 관련 제언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영재성은 오랜 세월에 걸친 성장, 발달 결과로 어느 시기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한 영재교육으로 극대화할 수 있다. 대단히 뛰어난 아동들만이 아니라 가능성이 있는 아동은 누구나 영재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가능성이 있는 아동이란 지능이 대단히 높은 아이 뿐만이 아니라, 어떤 과제에 특별한 흥미를 보이고 과제집착력이 강한 아이, 특별히 창의성이 뛰어난 아이 등을 말한다. 연구에 의하면 지능이 대단히 높지 않아도 과제집착력이 유난히 강하거나 흥미를 강하게 보이는 아동은 뛰어난 성취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서 영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아동은 상위 20% 이내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한 수준, 또는 한 종류의 영재교육 프로그램만으로 상위 20% 이내의 모든 아이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다. 상위 20% 이내에 해당하는 아동은 대단히 다른 특성을 갖는 아동이다. 따라서 영재교육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은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영재교육을 영재들만 별도로 모아 놓고 하는 방법보다 일반아동과 섞여서 공부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방법이 만병통치약 일 수는 없다. 영재라고 생각되는 아이들간에도 개인차가 대단히 크다. 특별학교에서 영재교육이 필요한 아이가 있는가 하면, 일반 학급에서 일반 아동과 섞여서 공부하는 것이 더 적절한 아동도 있다. 어떤 아동은 방과 후 또는 주말에만 영재교육을 받는 것으로 충분한 아동도 있다. 영재성이 강한 아동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영재들끼리만 공부하는 것이 더 좋다. 그러나 나이가 어리거나, 그다지 뛰어나지 않은 아동은 일반 아동과 공부하면서 가끔씩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아이들의 특성에 따라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경험하게 될 개념 및 내용의 수준, 사고 과정의 종류 및 수준, 산출물의 종류 및 수준도 각기 달라야 한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다루는 양도 지금보다는 다양해져야 한다. 많은 학자들은 재능의 종류가 다양하며, 각각의 재능은 독립적이라고 주장한다. 언어적 재능, 수학적 재능, 공간적 재능, 음악적 재능, 신체적 재능, 사회적 재능, 자기 통찰의 재능 등 다양한 재능이 있을 수 있다. 때로는 이 모든 분야에서 재능을 나타내는 아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아이들은 이중 몇 가지 분야에서 재능을 나타내기도 어렵다. 그러므로 각 아동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재능을 나타내는지, 즉 적성을 잘 파악하여 그 재능을 키워주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시행방안 해설, 2002
김재운·장영숙,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세, 서울 교육과하가사, 1986
구자억 외,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2002
김정휘·주영숙, 영재학생을 위한 교육, 교육과학사, 1998
조석희, 영재성과 영재교육 교육학 대백과 사전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서울 하우동설, 1998
V.Z.엘리히, 영재교육, 배영사, 1994
*태*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영재교육과정의 개념, 영재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적, 영재교육과정의 유형과 형식, 영재교육과정의 실태, 영재교육과정의 쟁점, 영재교육과정의 사례,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영재교육과정 관련 제언 분석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