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의 연쇄살인범에 대한 심리연구

*규*
최초 등록일
2011.07.14
최종 저작일
2010.02
3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의 연쇄살인범에 대한 심리연구 에 대한 논문자료입니다.
연도별로 연쇄살인범을 정리하고 문제점과 해결책을 찾는것이 목적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향 및 방법

제2장 연쇄살인범죄의 이론적 배경 및 유형
제1절 연쇄살인범죄의 이론적 배경
1. 연쇄살인범죄의 의의
2. 일반적인 특징

제2절 연쇄살인범죄의 원인
1. 선천적 요인
2. 어린 시절의 학대 등 충격적 경험
3. 사회적 스트레스
4. 촉발 요인
5. 자유 의지에 의한 선택

제3절 연쇄살인의 유형

제4절 연쇄살인 심리단계
1. 제1단계 심리적 준비 단계 (The Aura Phase)
2. 제2단계 낚시질 단계(The Trolling Phase)
3. 제3단계 구애단계(The Wooing Phase)
4. 제4단계 포획단계(Capture)
5. 제5단계 살인 (The Murder)
6. 제6단계 회상기 (The Totem Phase)
7. 제7단계 침체기 (The Depression Phase)

제3장 한국의 연쇄살인범죄의 사례분석
제1절 1970년대 연쇄살인

제2절 1980년대 연쇄살인
1. 김선자 연쇄독살사건
2.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살인사건(속칭 화성연쇄살인사건)

제3절 1990년대 연쇄살인

제4절 2000년대의 연쇄살인

제4장 연쇄살인범죄에 대한 대책
제1절 연쇄살인범죄에 대한 범죄자 프로파일링 적용
1. 미국 FBI의 이분법적 유형론
2. Homes와 Homes(1996)의 유형론
3. Canter와 Wentink(2004)의 통계적 유형 분석
4. 한국의 실제 사례에서 적용
5. 각국의 범죄자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

제2절 수사기관 간 피해자에 대한 정보의 공유

제3절 교정정책과 보호정책의 연계방안 마련

제4절 과학적인 수사기법의 개발

제5장 결론

본문내용

일반 살인의 경우에는 피해자의 신원과 평소 인간관계 등 상식적인 절차를 밟아나가다 보면 용의자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일반 살인 사건 해결률(범인검거율)은 99%에 이르며 그중 대부분은 1개월 이내에 해결된다. 반면에 ‘연쇄살인’의 경우에는 피해자 입장에서는 전혀 살해당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없으며 대부분 살인범과 피해자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범인 혼자만의 이유와 기준으로 피해자를 고르기 때문에 ‘누구든지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표창원,「한국의 연쇄살인」, 랜덤하우스, 2005, p44.

한국의 연쇄살인은 1970년대 2건 ‘김대두 사건’,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 추정 사건’
에서 시작해 현재에는 거의 1년에 1번의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그 수법 또한 잔인해지고 있다. 또한 사건의 피해자들이 여성, 노인, 혹은 아동 등 사회적 약자이다 보니 사회 전체에 공포심이 확산된다. 그렇기 때문에 살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미아, 혹은 실종자가 발생했을 때 연쇄살인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며, 만약 연쇄살인의 징후가 나타난다면 그에 맞먹는 사회적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80년도에서부터 2000년도 까지 한국에서 일어난 연쇄살인범죄를 분석해보고 연쇄살인범죄에 대한 대책 중 범죄자 프로파일링 기법에 대해 설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2절 연구의 방향 및 방법

앞에서 지적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그 동안 우리나라의 범죄 관련 학계에서 개별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연쇄살인의 정의는 대개는 미국 연방 수사국의 자료나 외국의 범죄학자의 견해를 번역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례들을 연구 분석해서 내놓은 정의가 아니다 보니 우리 실정에 맞는지 검증되지 않았고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다수의 살인사건을 근거로 한국형 연쇄살인의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둘째, 미국과 영국에서 연쇄살인사건의 수사와 연구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는 연쇄살인범의 심리단계를 알아본다.
셋째, 한국에서 발생한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연쇄살인범죄를 분석하고 연쇄살인범죄의 특징을 정리해 본다.
넷째, 연쇄살인범죄에 대한 대책 중 범죄자 프로파일링 기법과 한국의 프로파일링 활용실태를 살펴본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국내 서적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경찰학 관련 사이트나 범죄 관련 사이트를 참고하여 연구하였다.

제2장 연쇄살인범죄의 이론적 배경 및 유형

제1절 연쇄살인범죄의 이론적 배경

1. 연쇄살인범죄의 의의

연쇄살인범(serial killer)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미국 연방수사국 직원 로버트 케이 레슬러(Robert K. Ressler)이다. 박충민, 『연쇄 및 연쇄성 살인범죄 : 살인범죄 실태와 수사 실무 유형을 중심으로』, 한세대 경찰법무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6.

미국 연방수사국(FBI)에서는 연쇄살인을 연속(spree)과 연쇄(classic)로 구분하여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살인(spree serial)과 연쇄살인(classic serial)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개별 살인행위 사이의 심리적 냉각기(cooling off period)의 유무이다. 시간적으로 보면, 연속살인도 며칠이 걸리고 아주 먼 거리를 옮겨 다니며 살인을 저지르기도 하지만 살인에 이르게 된 흥분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인데 반해서 연쇄살인은 각 살인 사이에 충분한 시간간격이 있어서 살인범의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은 후에 다시 살인을 저지른다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그래서 대개의 연쇄살인범은 살인사건을 저지를 때 마다 자신의 범행을 연구하고 분석해서 다음 범행 때는 한 단계 발전한 수법을 사용하여 수사를 어렵게 만드는 치밀함을 보인다.
우리나라 사건 중 1980년대 초 의령에서 발생한 우범곤 순경 주민 학살 사건처럼 극도의 흥분 상태에서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닥치는 대로 살해하는 행동은 연속살인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유영철 사건처럼 살해할 때마다 계획적으로 준비하고 행위 후에는 증거 인멸 등 뒤처리까지 하는 독립적이고 완결적인 행동들이 10여 차례 반복되는 경우는 연쇄살인의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 자료

- 단행본 -
1.경찰청, 「2008 경찰백서」
2.이수정, 「최신 범죄심리학」, 도서출판 북카페, 2006
3.임준태, 「프로파일링」, 대영문화사, 2009
4.표창원, 「한국의 연쇄살인」, 랜덤하우스, 2005.

- 논문 자료-
5.강은영*박형민,『살인범죄의 실태와 유형별 특성: 연쇄살인, 존속살인 및 여성살인 범죄자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8.
6.박충민, 『연쇄 및 연쇄성 살인범죄 : 살인범죄 실태와 수사 실무 유형을 중심으로』, 한세대 경찰법무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006.
7.임재식,『무동기 범죄와 범죄자 프로파일링 기법』, 전북대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007.

- 신문자료 -
1.경향신문, 《정남규 사진》, 2006년 4월 24일(강윤중 기자)
2.노컷 뉴스, 《정남규는 누구인가》, 2006년 6월 17일 (임진수 기자)
3.뉴시스, 《강호순 사진》, 2009년 2월 1일 (강종민 기자)
4.매일경제, 《정남규와 박형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간의 면담 일지》, 2009년 2월 2일 (임태우 기자)
5.매일경제, 《실종자 7명의 암매장 위치》, 2009년 1월 30일 (우세윤 기자)
6.매일경제, 《강호순은 전형적인 사이코 패스》, 2009년 1월 30일 (윤종식 기자)
7.서울신문, 《한국 연쇄살인범의 특징》, 2009년 2월 3일.(이경주 * 김민희 기자)
8.세계일보, 《유영철 사진》, 2009년 1월 30일 (정진수 기자)
9.한겨레신문, 《화성 연쇄살인사건》, 2006년 4월 1일. (김기성기자)
10.파이낸셜 뉴스, 《1920년부터 강호순까지》, 2009년 2월 4일 (정지우 기자)

- 기타자료 -
1.http://blog.naver.com/mizniharasi?Redirect=Log&logNo=140038743506 (4월 27일 검색)
2.http://www.cwpyo.com(2009년 4월 30일 검색)
3.http://blog.naver.com/3idrail?Redirect=Log&logNo=80067564277(5월 2일 검색)
4.http://blog.naver.com/inhyesee?Redirect=Log&logNo=110041673456 (2009년 5월 1일 검색)
5.http://www.mysteryhouse.co.kr/main.asp?mh_cate=home(2009년 5월 10일 검색)
6.http://cafe.naver.com/abroadpt(2009년 5월 10일 검색)
7.http://ko.wikipedia.org(2009년 5월 10일 검색)
8.http://ko.wikipedia.org/wiki/%EA%B0%95%ED%98%B8%EC%88%9C(2009년 5월 10일 검색)
9.http://cafe.naver.com/cmn3r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7(2009년 5월 12일 검색)
10.http://www.psi.go.kr/member/search_result_view.php?dataTable=sboard&mainkey=868&search=프로파일링(5월 15일 검색)
11.국립과학수사연구소 홈페이지 : http://www.nisi.go.kr/
12.한국형사정책연구원 홈페이지 : http://www.kic.re.kr/pub_data/publication_view.asp?idx=777
13 국회도서관 : http://www.nanet.go.kr/main/index.jsp
*규*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의 연쇄살인범에 대한 심리연구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