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매체미학]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발제

*순*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1.10.20
최종 저작일
2011.10
2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Ⅰ.들어가며

오귀스트 르누아르
<사마리부인의 초상>

몇 년 전, 필자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전시회에서 잊지 못할 그림 한 점을 보았다. 구석 모퉁이에 걸려있던 분홍빛의 낯선 여인을 그린 초상화가 필자를 말없이 몇 분 동안 같은 자리에서 서있게 했던 것이다. 하얀 얼굴과 대비되는 아름다운 붉은 입술, 그윽하면서도 우아한 분위기를 풍기는 까만 눈동자, 그림을 가득 채운 분홍빛의 화려하면서도 따뜻한 색체는, 필자로 하여금 시공간을 넘어 한 순간 그림 속의 모델을 진정으로 사랑하게 했다. 전시회를 다녀온 후 이후에도 그녀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결코 잊을 수 없었다. 마치 당시의 경험은 19세기 프랑스의 작가 스탕달이 겪은 증상처럼, 온몸에 힘을 빠지게 하고 보는 이로 하여금 온몸에 전율을 일으키는 흥분과 감동이었다.
그 후, 그 그림을 다시 보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녀를 우연히 만난 곳은 전시를 위한 박물관이나 미술관도 아니었고, 토론을 위한 학술의 공간도 아니었다. 편의점 한 구석에 진열된 차가운 우유팩들 속에 그녀의 초상화는 화려한 액자도 없이 그려져 있었다. 그녀는 잘 판매되지 않는 ‘상품’이었는지 가장 손길이 닿지 않는 하단 진열대에 쓸쓸하게 놓여있었다. ‘이것이 내가 사랑하던, 그 누구보다 행복한 표정을 짓던 그녀였을까.’ 필자의 만감이 교차하던 순간이었다.

목차

Ⅰ. 들어가기: 스탕달신드롬과 아우라

Ⅱ. 발터 벤야민 대한 이론적 논의
1. 아우라의 정의와 가치평가: 정의, 양가성
2.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1) 회화와 예술사진의 비교 2) 연극과 영화의 비교

Ⅲ. 예술과 정치의 관계 및 사례
1. 정치의 심미화: 파시즘적 예술전략의 사례
2. 예술의 정치화: 사회주의 예술전략의 사례

Ⅳ. 아우라 상실의 결과 그리고 현재
1.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a. 팝아트 b. 디지털 아트
2. 아우라 붕괴에 대한 비판적 입장들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가며
오귀스트 르누아르
<사마리부인의 초상>

몇 년 전, 필자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전시회에서 잊지 못할 그림 한 점을 보았다. 구석 모퉁이에 걸려있던 분홍빛의 낯선 여인을 그린 초상화가 필자를 말없이 몇 분 동안 같은 자리에서 서있게 했던 것이다. 하얀 얼굴과 대비되는 아름다운 붉은 입술, 그윽하면서도 우아한 분위기를 풍기는 까만 눈동자, 그림을 가득 채운 분홍빛의 화려하면서도 따뜻한 색체는, 필자로 하여금 시공간을 넘어 한 순간 그림 속의 모델을 진정으로 사랑하게 했다. 전시회를 다녀온 후 이후에도 그녀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결코 잊을 수 없었다. 마치 당시의 경험은 19세기 프랑스의 작가 스탕달이 겪은 증상처럼, 온몸에 힘을 빠지게 하고 보는 이로 하여금 온몸에 전율을 일으키는 흥분과 감동이었다.
그 후, 그 그림을 다시 보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녀를 우연히 만난 곳은 전시를 위한 박물관이나 미술관도 아니었고, 토론을 위한 학술의 공간도 아니었다. 편의점 한 구석에 진열된 차가운 우유팩들 속에 그녀의 초상화는 화려한 액자도 없이 그려져 있었다. 그녀는 잘 판매되지 않는 ‘상품’이었는지 가장 손길이 닿지 않는 하단 진열대에 쓸쓸하게 놓여있었다. ‘이것이 내가 사랑하던, 그 누구보다 행복한 표정을 짓던 그녀였을까.’ 필자의 만감이 교차하던 순간이었다.
우유팩 속의 <사마리부인의 초상>

본 조의 발제와 관련이 깊은 위의 사례는 스탕달신드롬 뛰어난 미술품이나 예술작품을 보았을 때 순간적으로 느끼는 각종 정신적 충동이나 분열 증상을 의미한다.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100.nhn?docid=771978). 2010년 9월 15일
을 겪은 필자의 실제 경험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스탕달신드롬을 왜 겪는 것일까? 스탕달의 주장에 따르면, 그것은 예술 작품만의 압도적인 힘이 작품을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신적 충동이나 분열 증상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예술 작품이 갖고 있는 힘은 무엇일까? 본 조의 핵심적인 주제이기도 한 이것을 벤야민은 ‘아우라’라고 정의하였다. 신비하고 미묘한 느낌을 주는 ‘아우라는 정확히 어떤 것일까’, ‘아우라는 어떠한 매체와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가’, ‘마술적인 힘을 가진 아우라가 정치적으로 사용될 때 무슨 일이 발생할 것인가’, ‘아우라는 존재해야하는 것일까 아닌 사려져야하는가’, ’21세기에도 아우라는 실존하는가’ 라는 질문이 앞으로 본 조가 ‘아우라’에 대해 연구할 방향이다. 마지막으로 본조는 21세기에서 가장 대두되는 예술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 예술-팝아트와 디지털아트-과 벤야민의 논의를 연결 시켜 21세기와 아우라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참고 자료

-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100.nhn?docid=771978). 2010년 9월 15일
- 박설호,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개념에 관하여)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 9집 2001
- 발터 벤야민, <사진의 작은 역사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옮김 민음사 1983
- 김광남. <발터 벤야민의 미학에서 아우라의 몰락과 지각의 변화> 대진대 대학원 2005.
- http://cafe.naver.com/dcarworld.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22 2010년 9월 12일
- Jacques Eerrida, <"Ein Portrait Benjamins," in Burkhardt Linder, Hrsg, Walter Benjamin im Kontext. 2 Aufl>
- 최성만. <(2007. 봄). 벤야민 횡단하기IV.> 문화과학 49호.
- 고형재 <기계 복제시대의 미술작품에 있어서 ‘Aura`에 대한 연구> 경기대 조형대학원
- 김길옹. <벤야민의 매체이론과 브레히트의 서사극이론에 나타난 “예술의 정치화” 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와 현대 연극> 제 11집. 2003.
-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외> 최성만 옮김 2007.
- 조광석. <미술작품에서 유일성의 Aura와 kitsch>
- 진중권.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서울 휴머니스트
-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마학 숭고와 시뮬라르크의 이중주> 2003 아트북스
- GS. Ⅶ 1. S. 357
- 브리태니커
- 박태순, <정치의 예술화, 예술의 정치화>
- 정성윤, <대중독재의 두 패러다임 : 정치의 심미화와 신성화>
- 이탈리타 토니로에서 발간되는 <라 스탐파 La Stampa>지에서 인용
- 심혜련,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예술 이론에 대한 맑스주의 미학의 해석에 관하여>
- Dsiga Wertoff의 <Drei Lieder um Lenin>
- Joris Ivens의 <Borinage>
- Sergei Eisenstein의 <Battleship Potemkin>
- 김길용, <벤야민의 매체이론과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에 나타난 ”예술의 정치화“>
- Hildegard Brenner, <Die Kunstpolitik des Nationalsozialismus>, Hamburg 1963
- Walter Benjamin,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 Mike Sandbothe und Walter Ch. Zimmerli (Hrsg.), Zeit-Medien-Wahmehmung, Darrnsatadt 1994,
- 심혜련, <대중매체에 관한 발터 벤야민의 미학적 고찰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 Norbert Bolz, <Theorie der neuen Medien>
- 심혜련, <기술 발전과 시각체계의 상관관계>
- 박종현, <변화된 미술 환경에서의 예술작품과 아우라 연구>
-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 아도르노의 <부정성 미학 연구: 예술 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한 시론>
- Jean Baudrillard. <시뮬라시옹> 하태환 옮김 서울:민음사
- Jean Baudrillard. <보드리야르의 문화읽기> 배영달 편저 서울:백의 1998
*순*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매체미학]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발제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