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러 비교 - 대외 관계에 관한 고찰 리포트.

*기*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10.23
최종 저작일
2013.05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200원1,54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들어가며
2. 한․러 관계의 시기별 고찰
3. 한국과 러시아, 그리고 제 3국의 관계
4.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지금까지 우리는 옐친 이후 러시아의 대외관계의 전반적인 원칙들은 이미 지난 발표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러나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대외 관계 원칙의 토대를 바탕으로 한 피상적인 고찰에 머물렀을 뿐, 시기별로 어떠한 관계를 맺어 왔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공부하지 못하였다. 더구나 1990년 국교를 수립한지 올해로 22년이 된 시점에서, 그리고 한국과 러시아, 두 국가 모두 비슷한 시기에 정권이 교체되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한국과 러시아는 어떠한 관계를 맺어나가야 하는가라는 당위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아래에서는 양국의 과거와 현재의 관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다. 다음으로 주변국들과 이익관계에 따른 한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는 어떠한 교집합이 성립하는지 알아볼 것이며, 특히 북한과의 관계에 있어 한국과 러시아는 어떠한 양가적 입장을 지니는지, 그리고 에너지 외교를 중심으로 한국과 러시아는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 자세한 고찰이 있을 것이다.

2. 한러 관계의 시기별 고찰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는 정권이 바뀜에 따라 급속도로 그 양상을 달리한다. 그것은 한국의 정권이 군사독재에서 민주정부로, 그리고 대북정책에서는 친북적인 성향에서 반(反)북적인 성향으로 선회함에 따르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범박하게 각 정권별 양국의 관계를 아래와 같이 호명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각각의 시기별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신범식(2010),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과 국제정치
우평균(2008), “소련 및 러시아의 대외인식과 한국관”, 정치정보연구
윤익중(2009), “21세기 극동ㆍ시베리아 가치에 관한 다각적인 고찰”, 한국 시베리아 연구
이경완(2007),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러시아의 자원 민족주의”, 러시아 연구
“한-EU FTA 공식 사이트”(http://www.fta.go.kr/eu)
“네이버 백과사전”, 표제어 ‘카틴 숲 학살사건’
네이버 ‘논리맨’의 블로그, ‘천안함 사건과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의 입장차이’ 참조.(http://mycosmostg.blog.me/20106761579)
네이버 ‘야생닭’의 블로그, ‘북핵실험 강행, 러시아 유래없는 강경대응’ 참조.(http://tformania.blog.me/150048228632)
2010년 4월 2일자 “헤럴드경제” 기사, ‘한ㆍ러 정상이 채택한 10개항 공동성명 내용’ 참조.(http://news.heraldm.com/view.php?ud=20080929000125&md=20100402163339_4)
2010년 7월 8일자 “한겨례 신문” 기사, ‘천안함 조사 러시아 “1번어뢰, 침몰과 무관”’ 참조.(http://hani.co.kr/arti/politics/defense/429593.html)
2010년 10월 9일 “한겨례 신문” 기사, ‘‘왕따’당한 외교부, 러 대사에 항의‘ 참조.(http://hani.co.kr/arti/politics/diplomacy/429713.html)
2010년 11월 10일자 “아시아 투데이”기사, “포스코, 극동·시베리아 자원개발에 본격 나선다”참조.(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15574)
2011년 9월 27일자 “동아일보” 기사, ‘北 독침살해 의혹 15년… 정부, 러에 故최덕근 영사 사건 공소시효 연장 요청’참조.(http://news.donga.com/3/all/20110927/40629724/1)
2012년 1월 22일자 “아시아 경제” 기사, ‘기업사냥꾼 중국에 석유시장 떨고 있다’참조.(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12122484770100)
2012년 3월 19일자 “아주경제” 기사, ‘한진그룹, 중앙아시아 국제 물류 허브 개발’ 참조.(http://www.ajnews.co.kr/view_v2.jsp?newsId=20120320000328)
2012년 5월 14일자 “한겨례 신문” 기사, ‘아시아~유럽 물류혁신 박차…‘남북평화’도 실어나른다’참조.(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532842.html)
*기*
판매자 유형Platinum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러 비교 - 대외 관계에 관한 고찰 리포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