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프랑스,대만,영국,호주)의 다문화 교육정책 비교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

*수*
최초 등록일
2014.02.06
최종 저작일
2014.01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 동화주의
2. 다문화주의

Ⅲ. 다문화 교육정책의 차이
1. 한국의 다문화 교육정책
(1) 동화주의 모델
(2) 한국의 다문화 교육
2. 프랑스의 다문화 교육
3. 대만의 다문화 교육
4. 영국의 다문화 교육
5. 호주의 다문화 교육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우리 역사는 몇 년?” “민족의 시조는 누구?”라는 질문에 ‘반만년’과 ‘단군’이란 답이 무심결에 입에서 나올 만큼 한국인 모두는 단군의 자손으로 하나의 핏줄이란 단일민족 의식이 초역사적 실체이자 신화화된 집단기억(collective memory)으로 우리 뇌리 깊숙이 똬리를 틀고 있다. 광복 이후 초·중·고등학교의 사회과 교과서들이 단일민족 관념을 반복 학습시켜 미래세대의 머릿속 깊숙이 새겨 넣었기 때문이다.
농·어촌지역 신혼부부 열 쌍 중 두 쌍 이상이 국제결혼으로 맺어지는 오늘 코리안 드림을 품고 이 땅에 살고 있는 이주노동자도 공식으로는 100만 명, 미등록을 포함할 경우 150만 명을 헤아린다. 인구의 3%를 점하는 피부색과 생김새가 다른 이들은 더 이상 낯선 타자가 아니다. 함께 숨 쉬며 살아가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다. 한국사회는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접어든 지 이미 오래다. 이는 단일민족이라는 이념 또는 국가정체성을 넘어, 실제적인 현상의 측면에 있어 변화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숫자가 1990년대 중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로 들어오면서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외국인 아내의 숫자는 22,265명으로 외국인 남편의 숫자 7,497명에 비하여 압도적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인 남자와 결혼한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으로 중국(7,549명)과 베트남(7,636명), 필리핀(2,072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이렇듯 더 이상 단일민족이라는 패러다임으로써 한국을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런 가운데 낯선 이들을 상대하는 국가 정책의 문제는 핵심적인 역할로써 주목받고 있다.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다문화’이고 ‘다문화 정책’이다.

참고 자료

곽한영. 2010. “영국과 호주의 다문화교육”. 교육개발 vol.37 no.4 통권 174호: 45-50.
김갑성. 2011. “대만의 다문화교육 현황 사례”. 위험사회와 국제이해교육 제12차 국제이해교육 학술대회: 267-287.
김보흠·김학실. 2009. “다문화가정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정책 :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보 제14권 제1호: 129-150.
김계선. 2011. “한국의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순호. 2009. “다문화교육에 대한 의식과 정책적 함의 : 대구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5권 제4호 통권56호: 464-477.
서형순. 2010. “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 익산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이가야. 2009. “프랑스의 다문화사회 : 동화에서 통합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28집: 255-287.
이경수. 2011. “프랑스 다문화교육 정책 무엇이 강점인가 : 우리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35집: 751-776.
정희영. 2009. “보육시설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 실태와 정책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제3권 2호: 3-34.
조현용. 2007. “다문화 사회' 한국 외국인 정책 발상의 전환을”. 교포정책자료 통권 제165호: 26-27.
최동주. 2009. “영국의 이민 관련 제도와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다문화사회연구 제2권 1호: 93-133.
조우찬. 2012. “다문화 정책 모델과 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계획”.
설동훈·이혜경·조성남.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한국사회학회.
여성가족부. 2012. “2012년도 다문화가족지원정책 시행계획”.
원일초등학교. 2011. “다문화 시범학교 운영보고서: 체험중심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외국인 자녀의 생활적응력 신장”.
이민경. 2010. “이주가정 자녀 사회통합 정책”. IOM이민정책연구원.
미디어의 역할과 다문화 교육 패러다임 전환
다문화 교육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2012, 커뮤니케이션북스)
*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프랑스,대만,영국,호주)의 다문화 교육정책 비교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