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줄기세포 복제 연구 윤리에 관한 그리스도교 윤리신학적 고찰

*찬*
최초 등록일
2015.09.04
최종 저작일
2013.11
5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1. 복제연구에 대한 이해
1.1. 용어의 정의
1.1.1. 기술적 정의
1.1.1.1. 핵이식복제술
1.1.1.2. 할구분할복제술
1.1.2. 목적적 정의
1.1.2.1. 인간개체복제-생식복제
1.1.2.2. 치료복제
2. 복제연구의 중심인 줄기세포연구
2.1. 세포와 줄기세포
2.1.1. 세포
2.1.2. 줄기세포
2.2. 줄기세포의 종류
2.3. 줄기세포의 추출
2.4.1. 배아줄기세포의 추출
2.4.1.1. 불임치료를 위해 획득된 잉여배아로부터 추출
2.4.1.2. 핵치환 배아복제로부터 추출
2.4.2. 비배아줄기세포인 성체줄기세포의 추출
2.4.2.1. 조혈줄기세포
2.4.2.2. 신경줄기세포
2.4.2.3. 중간엽 줄기세포
2.4.2.4. 췌장줄기세포
2.4.2.5. 간줄기세포
2.4.2.6. 상피줄기세포
3. 줄기세포의 활용
3.1. 세포의 재생
3.2. 이식용 장기의 생산
3.3. 신약 개발
3.4. 유전자 치료
4. 복제 연구에 대한 각 학문 분야별 해석
4.1. 법률적 해석
4.1. 법률적 논쟁
4.1.1. 개정이전 생명윤리법의 한계
4.1.2. 개정된 생명윤리법을 통한 보완노력
4.1.2.1. 배아줄기세포주
4.1.2.2. 배아줄기세포주의 수립
4.1.2.3. 체세포핵이식배아연구와 단성생식배아연구
4.1.2.4. 배아줄기세포주 등록, 제공, 이용
4.1.2.5. 배아줄기세포주 연구 이외의 줄기세포 연구
4.2. 의료 윤리적 해석
4.2.1. 배아의 의료 윤리적 지위의 문제점
4.2.2.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적 문제점
4.2.3. 냉동잔여배아 처리의 딜레마
4.2.4. 배아줄기세포 연구가설의 전도
4.2.5. 여성 신체의 도구화
4.2.6. 복제인간의 출현
4.3. 윤리 철학적 해석
4.3.1.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이론
4.3.1.1. 책임윤리의 배경과 방법
4.3.2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4.3.2.1. 생명의 내면성과 자기 목적성
4.3.2.2. 생명의 원리로서의 변증법적인 자유
4.3.2.3. 생명의 목적성과 가치
4.3.3. 생명에 대한 책임윤리의 당위성
4.3.3.1. 책임의 존재론적 근거
4.3.3.2. 책임의 감정
4.3.4. 생명에 대한 책임
4.3.4.1. 인간의 생명에 대한 책임
4.3.4.2.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4.3.5. 배아의 도덕적 지위 문제
4.3.5.1. 개체로서의 배아
4.3.5.2. 고통 감지능력
4.3.5.3. 생물학적 발달상태
4.3.5.4. 인격성
4.3.5.5. 잠재성
4.3.6.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전면적 허용 입장
4.3.7.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전면적 금지 입장
4.3.8.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제한적 허용 입장
5. 복제연구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윤리 신학적 해석
5.1. 교황청 문헌
5.2. 교황문헌
5.2.1. 생명의 복음 22항

Ⅱ.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날의 사회는 산업혁명 이래로 문명사회가 최고조로 발달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산업 혁명은 인류에게 획기적인 삶의 질의 전환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사상적으로도 인간중심주의적 인 사조로 발달할 수 있는 촉매제의 역할을 해 왔다. 이에 따라서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으 로 하여금 무엇이든지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이른바 인간만능주의로까 지 인간의 생각의 지평이 확장되었음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달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획기적인 삶의 질의 전환을 가져다 주었 지만, 그러한 전환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를 내포하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 고 있다. 특히, 생명연구분야에 있어서 생명공학의 발전을 통하여 암과 같은 난치병들과 유전 자의 변이로 인하여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발생한 이른바 불치병이라 불리우는 질병들에 맞 써 싸우려는 시도들이 전개되었다는 점은 긍정적인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겠다. 하지만 그러 한 생명공학의 연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연구의 기초, 근원이 되는 세포에 대한 인위적인 조 작은 인간의 존엄성의 가치에 대한 논쟁이라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측 면을 야기 시켜왔다.

<중 략>

Ⅱ. 결론
지금까지 복제연구의 다양한 견해들과 더불어서 복제연구란 무엇이며, 복제연구의 분야로 서의 줄기세포 연구에 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특히 그러한 연구의 흐름과 그것들이 추구하 는 방향에 있어서의 법률적 측면에서의 시야와 더불어 의료 윤리적 측면에서의 측면, 그리고 윤리철학적 특히 한스 요나스의 윤리학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었고, 마지막으로 가톨릭 교회 의 공식적인 입장들을 토대로 하여 복제연구윤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런데 몇 년전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었던 황우석박사의 세 계최초의 배아줄기세포 복제 성공에 관한 연구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러한 연구 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참고 자료

이성란,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1
임종식 ·구인회 , 『삶과 죽음의 철학』, 아카넷, 2003
Jay Phelan, 『생명과학: What is Life. A Guide to Biology』, 한규웅 대표역자, 범문에듀케이션, 2010,
Christopher Thomas Scott, 「줄기세포」 이한음 역 . 한승 2006,
우재명 , 「유전자 진단과 치료」,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 』,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5,
구영모, 「치료용 인간배아복제-무엇이 문제인가」, 『임상윤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년,
이동호, 「인간 유전체 연구에 대한 윤리 -신학적 관점 」, 『제 7회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학술대회 - 인간
유전체와 생명운리 』,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1,
최성준·유소영 ·김해원,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재생의학적 응용」, 『생화학분자생물학소식 』, 생화학분자생
물학회 2011 9월호,
윤종갑,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67집 2012, 제1권,
정문식 , 「배아줄기세포 연구시 배아의 생명권과 존엄성 」, 한양법학회 , 『한양법학』 제 18집 , 2005.
조명수·오선경 ·이학섭 , 『배아줄기세포의 대안으로써 전분화능유도줄기세포의 활용가능성 및 한계점 』, 「인
구의학연구논집 」 제 22권, 2009,
성혜·남명진, 『생명과학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생명윤리 」 제10권 제1호, 한국생명윤리학회 , 2009,
Monica Lopez Barahona, 「난자기증과 연구에 관한 생명윤리적 문제들 - 과학적 , 임상적 관점에서 」,
『난자의 기증과 연구윤리의 문제』, 가톨릭대학교 생명윤리연구소, 2009,
오갑현, 「황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신학전망』 제152호, 광주가톨릭대학
교출판부, 2006
백수진,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 ·법적 논쟁의 변화」, 『생명윤리 』 제 13권 제1호(통권 제25호), 한국생명
윤리학회 , 2012,
정영화, 「현대 헌법의 인간존엄과 바이오(생명 )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헌법학연구』, 제16권 제4호, 사
단법인 한국 헌법학회 , 2010,
김현철, 「개정생명윤리법에 따른 줄기세포연구의 법적 쟁점 」, 『법학논집 』 제 16권 제 3호, 이화여자대학
교출판부, 2012.
류화신,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법학논고』 제 42집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서경 , 「착상 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대한산부회지 』 제 51권 제 3호, 2008,
진교훈,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동서사상』 제 7집 , 동서사상연구소, 2009,
구인회 , 「착상 전 배아진단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배아연구의 윤리적 문제점들」, 『신학과 사상』 제 45
호, 신학과사상학회 , 2003,
최경석 ,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와 잠재성 개념 」, 『철학』 vol.86, 한국철학회 , 2006,
문성학, 정창록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철학논총』 제62집 제4권, 새한철학회 , 2010,
이종민 『연구목적의 난자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광
주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 2011.
김태정 , 『줄기세포(stem cell)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광주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 2009
김상호, 『인간배아복제 및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
2007.
요한바오로 2세, 『생명의 복음 - 교황 요한바오로 2세의 회칙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제 2판, 2006,
“Cloning: the disappearance of direct parenthood and denial of the family” 교황청 가정평의회 ,
<http://www.vatican.va/roman_curia/pontifical_councils/family/documents/rc_pc_family_doc_
20030808_cloning-trujillo_en.html>
“CONSIDERATIONS OF THE HOLY SEE ON HUMAN CLONING IN VIEW OF THE DEBATE AT T
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ON AN INTERNATIONAL CONVENTION A
GAINST THE REPRODUCTIVE CLONING OF HUMAN BEINGS”
교황청 인터넷 사이트, <http://www.vatican.va/roman_curia/secretariat_state/diplomazia-multila
terale/1-onu-ass-gen/commissioni-principali/com-6-legal/documents/rc_seg-st_20040927_clo
ning_en.html>
“DECLARATION ON THE PRODUCTION AND THE SCIENTIFIC AND THERAPEUTIC USE OF HU
MAN EMBRYONIC STEM CELLS“ 교황청생명학술원, <http://www.vatican.va/roman_curia/pontif
ical_academies/acdlife/documents/rc_pa_acdlife_doc_20000824_cellule-staminali_en.html#_ed
n8>
“줄기세포에 관한 도전들, 성체줄기세포가 더 바람직하다”, 교황청 생명학술원, <http://www.vatican.v
a/news_services/or/or_quo/commenti/2009/269q01b1.html>
"Cloning",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Cloning>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http://en.wikipedia.org/wiki/Somatic-cell_nuclear_transfer>
“Dolly(Sheep)", <http://en.wikipedia.org/wiki/Dolly_(sheep)>
“돌리의 복제과정 ” http://en.wikipedia.org/wiki/File:Dolly_clone.svg
“이배체”, doopedia,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
AS_IDX=101013000865285>
“somatic cell",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Somatic_cell>
"복제양 돌리 ", doopedia,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
&MAS_IDX=101013000854297>
“Therapeutic cloning”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Therapeutic_cloning>,<http://e
n.wikipedia.org/wiki/File:Cloning_diagram_english.svg>
“세포”,doopedia,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
IDX=101013000710773>
“줄기세포”,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EC%A4%84%EA%B8%B0_%EC%84%B8%ED
%8F%AC>
“복제배아줄기세포 VS 유도만능줄기세포” http://blog.daum.net/dietism/7
“인간체세포 핵이식 줄기세포” http://hgc9395.egloos.com/7634161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www.law.go.kr/lsSc.do?menuId=0
&p1=&subMenu=1&nwYn=1&query=%EB%B3%B4%EA%B1%B4%EB%B3%B5%EC%A7%80%EB%B6%
80%EB%A0%B9+%EC%A0%9C180%ED%98%B8&x=-729&y=-208#liBgcolor0,>
“조혈모세포” 네이버지식백과,<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105&cid=576&
categoryId=576>
"Neural stem cell"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Neural_stem_cell>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개념도”, <http://cfs1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
ndle=YmxvZzI3NjYxNUBmczE0LnRpc3RvcnkuY29tOi9hdHRhY2gvMC81NC5qcGc%3D>
"차바이오앤, ‘배아줄기세포 유래 망막변성치료제’ 임상 결과 시기능 호전 나타내", 한국일보,<http://eco
nomy.hankooki.com/lpage/stock/201311/e2013110410233592480.htm>
“치매, 줄기세포로 고친다…증상악화 늦추는 치료에서 진일보”, 네이버뉴스, <http://news.naver.com/
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5478675&viewType=pc>
“Toddler gets new windpipe from her own stem cells”,<http://edition.cnn.com/2013/05/01/he
alth/toddler-stem-cells-windpipe/index.html?iref=allsearch>
"이종이식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4536&ci&cid=20000000
0&categoryId=200000926>
“희귀질환 줄기세포 연구, 신약개발로 잇는 한양대병원 난치성 신경계질환 세포치료센터 김승현 센터장,
e-의료정보, <http://www.kmedinfo.co.kr/news/view.asp?idx=7932&msection=1&ssection=0&p
age=1>
“[줄기세포 발견 50년, 어디까지 왔나] 〈3〉눈앞에 다가선 줄기세포화” 네이버 뉴스,<http://news.naver
.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8&aid=0002381404&viewType=pc>
“차바이오 '동맥질환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시험 승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
e=LSD&mid=sec&sid1=102&oid=018&aid=0002879082&viewType=pc>
“유전자 치료”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EC%9C%A0%EC%A0%84%EC%9E%90_%
EC%B9%98%EB%A3%8C>
유전병의 예방과 치료",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
cle_id=b18a0940b024>
“유전자치료”, 두산백과사전 온라인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
hod=view&MAS_IDX=101013000703561>
줄기세포 이식술 환자 손해배상서 패소”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
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867396&viewType=pc>
“판례 속보”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http://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
ork?currentPage=undefined&searchWord=%C1%D9%B1%E2%BC%BC%C6%F7&searchOption=&seq
num=2810&gubun=4>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http://file.scourt.go.kr//Attac
hDownload?file=1287456908341_115508.pdf&path=001&downFile=2007%B4%D93162.pdf>
“생명윤리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
n=1&query=%EC%83%9D%EB%AA%85%EC%9C%A4%EB%A6%AC%EB%B2%95&x=-729&y=-208>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 10605호 2011년 4월 28일 시행”,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www.l
aw.go.kr/lsInfoP.do?lsiSeq=137037&lsId=009628&ancYd=20130323&ancNo=11690&chrClsCd=0102
02&urlMode=lsEfInfoR&viewCls=lsOldAndNew#>
“모든 생명공학 연구 윤리검증 받아야”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
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266648>
“Cloning Is Used to Create Embryonic Stem Cells” 미국 타임지 , <http://healthland.time.com/2
013/05/15/first-success-in-using-human-egg-to-reprogram-cells-back-to-embryonic-state/>
“‘줄기세포 논문 조작 의혹 미국판 ‘황우석 사건’ 되나” 채널A, <http://news.ichannela.com/inter/3/
02/20130524/55395080/1>
“줄기세포치료 부작용 '종양' 제거기술 찾았다”, 네이버 뉴스,<http://news.naver.com/main/readnhn.
?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435093&viewType=pc>
“Cloning Is Used to Create Embryonic Stem Cells” 뉴욕타임즈, <http://www.nytimes.com/2013
/05/16/science/scientists-use-cloning-to-create-embryonic-stem-cells.html?_r=0>
*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워포인트파일 생명 복제 ppt 23페이지
    구홍일 ,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윤리적 성찰 . ... 도봉희 ,『 인간복제관한 윤리고찰 』,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 ... 안전에 관한 법률” . - 사례 구가인 , 인공생명체 연구 , 채널 A
  • 파워포인트파일 배아복제윤리적 쟁점 26페이지
    [2001] 생명의료윤리에 관한 신학고찰/천영숙[2001] 생명윤리와 ... ] 복제인간에서 나타날 생명윤리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과제/김홍진(기독교 ...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김계정(통일사당 연구 노총, Vol. 9 No,-[2001
  • 한글파일 인간생명 시작은 언제인가? 6페이지
    기독윤리연구」, 장로회 신학대학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최근 황우석 박사의 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 사건이후 우리 사회는 이 질문에 ... 황우석 박사의 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인간 생명을 파괴하는, 마치 살인과도
  • 한글파일 [환경윤리]인간복제관한 윤리고찰 12페이지
    { { { { { { 인간복제관한 윤리고찰 { { 과 목 : 교 수님 ... 『한국사회와 기독윤리』-박충구, (서울: 성서연구사, 1995), 4. ... -양승렬, 『기독교사회윤리』,제2집 2.
  • 한글파일 [생명윤리] 인간배아복제와생명윤리 10페이지
    통한 줄기세포 연구 실험소식으로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생명윤리 논쟁을 ... 문제제기 최근 우리나라의 황우석 박사를 중심으로 한 줄기세포 연구팀이 인간배아복제를 ... 새로운 경향들 5.3 기독교적 입장 5.4 새로운 관계 조성 5.5 대화의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줄기세포 복제 연구 윤리에 관한 그리스도교 윤리신학적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