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만성폐쇄성 폐질환 연구 보고서

서혀닝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5.22
최종 저작일
2019.01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만성폐쇄성 폐질환 연구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란?
2) 위험성
3) 연구의 중요성
4) 추세

2. 본론
1) 원인
2) 발병기전
3) 특징(병태생리)
4) 종류
5) 예방
6) 관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성폐질환의 어원 그대로 해석하면 1년이상부터 평생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병세가 지속되는 기도 및 폐에 생겨 막히거나 흐름을 방해하는 질환이다. 구체적으로 만성 폐질환은 유해한 입자(담배가 대표적)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반응과 이에 동반되어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이다.[48]

-위험성-
담배를 피우면 폐암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만성폐쇄폐질환으로 사망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 만성폐쇄폐질환의 사망 원인은 전세계적으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20년쯤에는 사망원인 3위, 장애원인 5위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3년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전국 성인남녀 9243명을 대상으로 한 ‘만성폐쇄폐질환 전국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45세 이상 성인의 17.2% (남성 25.8%, 여성 9.6%)의 유병률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도 40세 이상의 성인 중 13.4% (남성 19.4%, 여성 7.9%) 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제는 이런 높은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20년 이상 담배를 피우고 호흡곤란 증상까지 있는 잠재환자의 92%가 병원진료조차 받지 않을 정도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만성폐쇄폐질환이 무서운 것은 폐 기능이 50% 이상 손실되기 전까지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초기에 진단이 어렵다는 것이다.[48]

-연구의 중요성-
일단 증상이 나타나면 급속히 악화되고 어떠한 약물치료도 폐기능을 호전 시킬 수 없으며 중증이 되면 24시간 지속적인 ‘산소요법’만이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이다. 한번 손상된 폐 기능은 다시는 회복되지 않기 때문인데 따라서 조기진단과 병의 악화를 막는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48]

참고 자료

Vestbo, Jørgen (2013). 〈Definition and Overview〉 (PDF).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1–7쪽.
Reilly, John J.; Silverman, Edwin K.; Shapiro, Steven D. (2011).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ongo, Dan; Fauci, Anthony; Kasper, Dennis; Hauser, Stephen; Jameson, J.; Loscalzo, Joseph.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판. McGraw Hill. 2151–9쪽. ISBN 978-0-07-174889-6.
Decramer M, Janssens W, Miravitlles M (April 2012).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ancet》 379 (9823): 1341–51. PMID 22314182. doi:10.1016/S0140-6736(11)60968-9.
Rabe KF, Hurd S, Anzueto A, Barnes PJ, Buist SA, Calverley P, Fukuchi Y, Jenkins C, Rodriguez-Roisin R, van Weel C, Zielinski J (September 2007).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176 (6): 532–55. PMID 17507545. doi:10.1164/rccm.200703-456SO
Vestbo, Jørgen (2013). 〈Diagnosis and Assessment〉 (PDF).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9–17쪽.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COPD?”.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메드라인플러스
Gruber, Phillip (November 2008). “The Acute Present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Challenging Oxymoron”. 《Emergency Medicine Practice》 10 (11).
Weitzenblum E, Chaouat A (2009). “Cor pulmonale”. 《Chron Respir Dis》 6 (3): 177–85. PMID 19643833. doi:10.1177/1479972309104664.
〈Cor pulmonale〉. 《Professional guide to diseases》 9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120–2쪽. ISBN 978-0-7817-7899-2.
Ward, Helen (2012). 《Oxford Handbook of Epidemiology for Clinic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89–290쪽. ISBN 978-0-19-165478-7.
Laniado-Laborín, R (January 2009). “Smoking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rallel epidemics of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6 (1): 209–24. PMC 2672326. PMID 19440278. doi:10.3390/ijerph6010209.
Rennard, Stephen (2013). 《Clinical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판. New York: Informa Healthcare. 23쪽. ISBN 978-0-8493-7588-0.
Anita Sharma ; with a contribution by David Pitchforth ; forewords by Gail Richards; Barclay, Joyce (2010). 《COPD in primary care》. Oxford: Radcliffe Pub. 9쪽. ISBN 978-1-84619-316-3.
Goldman, Lee (2012). 《Goldman's Cecil medicine》 24판. Philadelphia: Elsevier/Saunders. 537쪽. ISBN 978-1-4377-1604-7.
Kennedy SM, Chambers R, Du W, Dimich-Ward H (December 2007).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exposures: do they affect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fferently in women and me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4 (8): 692–4. PMID 18073405. doi:10.1513/pats.200707-094SD.
Pirozzi C, Scholand MB (July 2012). “Smoking cessation and environmental hygiene”. 《Med. Clin. North Am.》 96 (4): 849–67. PMID 22793948. doi:10.1016/j.mcna.2012.04.014.
Halbert RJ, Natoli JL, Gano A, Badamgarav E, Buist AS, Mannino DM (September 2006). “Global burden of COP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Respir. J.》 28 (3): 523–32. PMID 16611654. doi:10.1183/09031936.06.00124605.
Foreman MG, Campos M, Celedón JC (July 2012). “Gene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d. Clin. North Am.》 96 (4): 699–711. PMC 3399759. PMID 22793939. doi:10.1016/j.mcna.2012.02.006.
Brode SK, Ling SC, Chapman KR (September 2012). “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a commonly overlooked cause of lung disease”. 《CMAJ》 184 (12): 1365–71. PMC 3447047. PMID 22761482. doi:10.1503/cmaj.111749.
Murphy DMF, Fishman AP (2008). 〈Chapter 53〉. 《Fishman's Pulmonary Diseases and Disorders》 4판. McGraw-Hill. 913쪽. ISBN 0-07-145739-9.
Calverley PM, Koulouris NG (2005). “Flow limitation and dynamic hyperinflation: key concepts in modern respiratory physiology”. 《Eur Respir J》 25 (1): 186–199. PMID 15640341. doi:10.1183/09031936.04.00113204.
Currie, Graeme P. (2010). 《ABC of COPD》 2판. Chichester, West Sussex, UK: Wiley-Blackwell, BMJ Books. 32쪽. ISBN 978-1-4443-2948-3.
O'Donnell DE (2006). “Hyperinflation, Dyspnea, and Exercise Intoleranc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3 (2): 180–4. PMID 16565429. doi:10.1513/pats.200508-093DO.
Vestbo, Jørgen (2013). 〈Introduction〉.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DF).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xiii–xv.
《Policy Recommendations for Smoking Cessation and Treatment of Tobacco Depende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15–40쪽. ISBN 978-92-4-156240-9.
[28] Jiménez-Ruiz CA, Fagerström KO (March 2013). “Smoking cessation treatment for COPD smokers: the role of counselling”. 《Monaldi Arch Chest Dis》 79 (1): 33–7. PMID 23741944.
Kumar P, Clark M (2005). 《Clinical Medicine》 6판. Elsevier Saunders. 900–1쪽. ISBN 0-7020-2763-4.
Tønnesen P (March 2013). “Smoking cessation and COPD”. 《Eur Respir Rev》 22 (127): 37–43. PMID 23457163. doi:10.1183/09059180.00007212.
Smith, Barbara K. Timby, Nancy E. (2005). 《Essentials of nursing : care of adults and childre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38쪽. ISBN 978-0-7817-5098-1.
Rom, William N.; Markowitz, Steven B., 편집. (2007).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4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21–2쪽. ISBN 978-0-7817-6299-1.
“Wet cutting”. Health and Safety Executive.
George, Ronald B. (2005). 《Chest medicine : essentials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5판.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72쪽. ISBN 978-0-7817-5273-2.
Vestbo, Jørgen (2013). 〈Management of Stable COPD〉.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DF).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31–8쪽.
[36] Drummond MB, Dasenbrook EC, Pitz MW, Murphy DJ, Fan E (November 2008). “Inhaled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300 (20): 2407–16. PMID 19033591. doi:10.1001/jama.2008.717.
van Dijk WD, van den Bemt L, van Weel C (2013). “Megatrials for bronchodilator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reatment: time to reflect”. 《J Am Board Fam Med》 26 (2): 221–4. PMID 23471939. doi:10.3122/jabfm.2013.02.110342.
Liesker JJ, Wijkstra PJ, Ten Hacken NH, Koëter GH, Postma DS, Kerstjens HA (February 2002).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bronchodilators on exercise capacity in patients with COPD”. 《Chest》 121 (2): 597–608. PMID 11834677. doi:10.1378/chest.121.2.597.
Chong J, Karner C, Poole P (2012). Chong, Jimmy, 편집. “Tiotropium versus long-acting beta-agonists for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9: CD009157. PMID 22972134. doi:10.1002/14651858.CD009157.pub2.
Karner C, Cates CJ (2012). Karner, Charlotta, 편집. “Long-acting beta(2)-agonist in addition to tiotropium versus either tiotropium or long-acting beta(2)-agonist alone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4: CD008989. PMID 22513969. doi:10.1002/14651858.CD008989.pub2.
Vestbo, Jørgen (2013). 〈Therapeutic Options〉 (PDF).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19–30쪽.
Gartlehner G, Hansen RA, Carson SS, Lohr KN (2006). “Efficacy and Safety of Inhaled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COP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Health Outcomes”. 《Ann Fam Med》 4 (3): 253–62. PMC 1479432. PMID 16735528. doi:10.1370/afm.517.
Shafazand S (June 2013). “ACP Journal Club. Review: inhaled medications vary substantively in their effects on mortality in COPD”. 《Ann. Intern. Med.》 158 (12): JC2. PMID 23778926. doi:10.7326/0003-4819-158-12-201306180-02002.
Mammen MJ, Sethi S (2012). “Macrolide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acute exacerbation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ol. Arch. Med. Wewn.》 122 (1–2): 54–9. PMID 22353707.
Herath, SC; Poole, P (2013년 11월 28일). “Prophylactic antibiotic therapy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CD009764. PMID 24288145. doi:10.1002/14651858.CD009764.pub2.
Vos T, Flaxman AD, Naghavi M, Lozano R, Michaud C, Ezzati M, Shibuya K, Salomon JA, Abdalla S, Aboyans V; 외. (December 2012).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Lancet》 380 (9859): 2163–96. PMID 23245607. doi:10.1016/S0140-6736(12)61729-2.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Fact sheet N°315”. WHO. November 2012.
네이버 지식백과 - 만성폐쇄성폐질환
서혀닝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만성폐쇄성 폐질환 연구 보고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