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구계획서] 인공지능 연구계획서 개요

*은*
최초 등록일
2020.07.23
최종 저작일
2019.07
3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연구계획서] 인공지능 연구계획서 개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 제목

2. 연구 목적

3. 이론적 배경
1) CASA(Computers are social actors) 이론(Reeves & Nass, 1996)
2) 라포 형성을 위한 맞장구 행위가 대화에 끼치는 영향
3) 맞장구의 언어적 유형
4) 연구 가설

4. 연구 방법
1) 실험 참가자 및 통계분석 방법
2) 실험 도구
3) 실험 과정 및 과제

5. 함의점

본문내용

1. 연구 제목
관계적 상황에서 AI 스피커의 감정표현 맞장구 유무에 따른 상호작용 만족도 및 호감도

2. 연구 목적
AI 스피커의 맞장구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AI 스피커 사용 의도 및 호감도를 확인하고자 함.

3. 이론적 배경
 CASA(Computers are social actors) 이론(Reeves & Nass, 1996)
­ 컴퓨터가 사회적 표현을 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컴퓨터를 사회적 행위자(social actor)로 간주하며, 이에 따라 사람에게 대응하는 것과 유사한 형태로 사회적 반응(social response)을 보임.

 라포 형성을 위한 맞장구 행위가 대화에 끼치는 영향
­ 라포: 인간관계에 있어서 상호간의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관계를 형성한 상태

참고 자료

Bavister, S., & Vickers, A. (2008). NLP. Chicago, IL: Contemporary Books.
Berry, D. S., & Hansen, J. S. (1996).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4), 796.
Brody, H. (1994). " My story is broken; can you help me fix it?": Medical ethics and the joint construction of narrative. Literature and Medicine, 13(1), 79-92.
De Graaf, M. M., & Allouch, S. B. (2013). Exploring influencing variables for the acceptance of social robot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61(12), 1476-1486.
Reeves, B., & Nass, C. I. (1996). The media equation: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iss, A., & Bartneck, C. (2015, August). Meta analysis of the usage of the godspeed questionnaire series. In 2015 24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 (pp. 381-388). IEEE.
노은희. (2002). 청자의 맞장구 유형과 기능 연구. 화법연구, 4, 245-269.
이선민. (1994). 듣고 응답하기 (あいづち) 행동의 한일비교-사회언어학적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4, 121-143.
이현희, 김은정, &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935-946.
임규홍. (2001). 국어 담화의'끼어들기'유형에 대한 연구. 언어과학연구, 20, 321-352.
*은*
판매자 유형Silver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연구계획서] 인공지능 연구계획서 개요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