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A+자료] 간호연구 계획서, 간호 논문 계획서

*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9.13
최종 저작일
2020.06
1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자가통증조절장치 사용지식과 수술 후 통증 및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주제로 한 간호연구 계획서입니다.
한 학기 동안 국내외 다양한 논문들 참고하여
서론부터 문헌고찰, 연구방법까지 꼼꼼하게 작성하였고,
부록에 설문지까지 작성하여 A+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의 가설
4.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 수집 방법
5. 자료 분석 방법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오늘날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수술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수술 후 통증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수술 후 환자들은 오심, 구토, 통증, 불안 등과 같이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불편감을 느끼게 되는데[1], 그 중 수술 후 통증은 전신마취로 인한 신체적, 정서적 부담으로 인하여 가장 큰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2,3]. 통증이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관련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 같은 손상으로 인한 불쾌한 신체적, 정서적 경험을 말한다[4]. 수술 환자의 80% 이상은 수술 후 통증을 경험하고, 약 75% 이상은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나[5], 수술 후 통증의 약 90%는 적절한 통증 관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수술 후 통증이 조절되지 않음에 따라 스트레스도 동반하게 되는데, 스트레스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보다 내적 또는 외적인 요구가 지나쳐 자신의 안녕이 위협당하는 것을 의미한다[7]. 수술 후 통증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는 환자의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8] 의료기관에서는 수술 후 환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환자의 회복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9]
수술 후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대체요법, 이완요법, 약물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가장 효과가 빠르고 적용이 간편한 자가통증조절장치(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가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가통증조절장치란 환자 자신이 진통제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진통제를 일정한 양과 속도로 지속적으로 투여하고,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버튼을 누르면 추가로 정해진 양의 약물이 투여되어 통증이 조절되는 장치를 말한다[10]. 자가통증조절장치는 시술이 간편하고, 통증이 발생 할 경우 간호사의 호출 없이 환자 스스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호 업무량을 줄여주기도 한다[11].

참고 자료

김진현, 이영희, 양봉민. 전국 의료기관의 수술 후 통증관리 실태 분석.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8;55(4). 458-466.
김윤정, 조계화. Nurse Presence 프로그램이 산부인과 수술환자의 불안 및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과학회지, 2014;16(4), 326-333.
최미선, 이은자. 수술실의 소음차단이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2;21(3), 317-25.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1986). IASP Terminology. http://www.iasp-pain.org/terminology?navItemNumber=576
Gan, T. J., Habib, A. S., Miller, T. E., White, W., & Apfelbaum, J. L. Incidence, pati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post-surgical pain: Results from a US national survey.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014;30(1), 149-160.
이희선, 안지혜. 간호사와 환자에게 제공된 수술통증관리 교육이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008;14(2), 5-17.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Splinger Publishing.
Wu CL, Raja SN. Treatment of acute postoperative pain. The Lancet. 2011;377(9784):2215-25. https://doi.org/10.1016/S0140-6736(11)60245-6
김명숙, 박광희. 교육요구에 근거한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의 효과 : 전신마취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14(4), 1975-86.
Ferguson R, Williams ML, Beard B. Combining quality improvement and staff development efforts to decrease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ump errors.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10;26(5):E1-E4. https://doi.org/10.1097/NND.0b013e3181b1b9d2
Grass, J. A. (2005).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esthesia and Analgesia, 101(5 Suppl), S44-61.
S44-61.
Goebel, J. R., Sherbourne C. D., Asch, S. M., Meredith, L., Cohen, A. B., Hagenmaier, E., et al. (2010). Addressing patients' concerns about pain management and addiction risks. Pain Management Nursing, 11(2), 92-98.
서효신, 박경숙, 수술 전 통증자가조절기에 관한 교육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2;14(3), 449-458.
이진희, 조현숙, 체계적인 통증자가조절기에 대한 교육이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과 태도, 통증 및 진통제 사용량에 미치는 효과 : 대장암 수술 환자를 중심으로. 임상간호연구, 2011;17(3), 455-466.
전수란, 박효정,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이 양성종양 자궁절제술 환자의 통증, 불확실성,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7;22(1), 39-47.
류수향, 조현숙, 실물 통증자가조절기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 고관절수술 환자의 통증 진통제 사용량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016;22(2), 152-160.
김춘애, 박형숙, 스마트 폰 앱 교육을 받은 정형외과 척추마취 하지수술 환자의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지식과 통증관리, 기본간호학회지, 2016;24(4), 255-264.
Knoerl DV, Faut-Callahan M, Paice T, Shott S. Preoperative PCA teaching program to manage postoperative pain. Med￾surg Nursing. 1999;8(1):25-33
Sartain, J., & Barry. J. The impact of an acute pain service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1999;27(4), 375-380.
Cline, M. E., Herman. J., Shaw, E. R., & Morton, R. D.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1992;41(6), 378-380.

자료후기(1)

*아*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A+자료] 간호연구 계획서, 간호 논문 계획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