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명지대 예술과 창조성 A+ 개인과제 '뭉크의 절규'

국가근로생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4.23
최종 저작일
2020.05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명지대 예술과 창조성 A+ 개인과제 '뭉크의 절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중의 〈절규〉

2. 죽음과 가까운 삶
1) 병과 죽음
2) 비관적인 여성관과 사랑
3) 죽음의 공포

3. 죽음을 직시하는 태도
1) 표현주의
2) 생의 프리즈
3) 죽음의 승화

4. 뭉크의 〈절규〉
1) 절규의 경험
2) 〈절규〉의 내면세계

5. 죽음을 극복하는 방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중의 〈절규〉

뭉크의 〈절규, 1893〉는 모두에게 익숙한 그림이다. 해골같이 창백한 얼굴. 시끄러운 소리라도 들리는지 귀를 막고 괴로워하는 몸짓. 우리는 작품명 그대로 절규하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전해지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 그림은 옷이나 자석 등 다양한 형태로 상품화가 되었을 만큼 대중에게 친근한 작품 중 하나이다. 호러물로 손꼽히는 영화 〈Scream, 1996〉도 <절규>의 얼굴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당시 많은 사람들의 손에 땀을 쥐게 만들었다. 할로윈이 되면 길거리에 스크림 가면이 걸려있을 정도로 〈절규〉의 인기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다만 의문인 점은 행복감을 주는 작품이 아님에도 어떻게 대중의 곁에 다가갈 수 있었냐는 것이다. 만약 사람들이 무서운 것을 즐긴다면 이것보다 더 무섭고 기괴한 작품들을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그 해답은 바로 우리들의 마음속에 있다.

우리의 삶은 평탄하지 않다.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서 행복해졌다가도, 아끼던 물건을 잃어버려 좋았던 기분이 곤두박질 칠 때도 있다.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도 있는 것처럼 행복은 언제까지고 지속되지 않는다. 우리 모두가 그 사실을 알고 있기에 마음 한 구석에는 언제나 ‘불안감’이 맺혀있다. 현재가 유지되었으면 하는 바람은 오히려 위기의 예측불가능성을 강하게 만들어줄 뿐이기에, 불안감은 그런 면에서 피할 수 없는 위기의 예방주사와도 같다. 대중의 인기를 끈 이유는 바로 일상생활 속에 잠재한 스트레스와 긴장감, 즉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경험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는 자극추구성향의 사람들이 공포물을 즐기려는 것과는 다른 성격이다.

그림을 통해 겪는 불안감, 공포심에 대해 일반 사람들은 다양한 답변을 내놓는다. 삐쩍 마른 몰골의 허기에 허덕이는 부랑자, 잊어버린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남자, 사업의 실패, 주변으로부터 느끼는 소외감 등 형태를 가리지 않고 가지각색이다. 모두가 느끼는 보편적인 감정이면서 이처럼 다양한 이유는 각자가 가지는 불안요소들이 다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권나현, 『프리다 칼로의 생애와 작품에 나타난 에로스(Eros)와 타나토스(Thanatos)』, 한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pp.9-10
김경선,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적 양상에 따른 작가연구: 달리, 뭉크, 쉴레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p.35, p.37
김동연·전순영, 「에드바르드 뭉크의 작품에 나타난 불안과 죽음의 상징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 연구』, 2001, p.16, p.19
김보람, 『에드바르드 뭉크(Edvard Munch)의 목판화 작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pp.3-4
김지우, 『현대미술에 나타난 죽음의 표현과 의미에 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p.42
김현혜, 『예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미술치료적 표현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p.46
박정미, 『미술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회화 작품연구: 뭉크의 유화작품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p.29, p.31
신미현, 『죽음 그리고 삶 죽음과 삶의 소통적 양상에 관하여: 에드바르드 뭉크(Edvard Munch)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pp.15-16
에드바르드 뭉크, 이충순 역, 『뭉크 뭉크』, 다빈치, 2005, p.18
요세프 파울 호딘, 이수연 역, 『에드바르 뭉크』, 서울: 시공아트, 2010, p.99
윤보라, 『에드바드 뭉크(Edvard Munh)의 작품에서 나타난 내면 의식 연구-판화작품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p.25
이하경, 『융(C.G.Jung)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시각예술 상징의 표상적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pp.67-68, p.74
조영환, 『돈 들릴로(Don DeLillo)의 〈지하세계〉와 프로이트의 죽음충동』,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p.17
조이한, 『위험한 미술관-발칙함을 넘어 금기를 깬 천재 예술가들의 문제작』, 웅진지식하우스, 2007, pp.180-181
카테다 세이지·니시 켄. 홍성태 역, 『태초에 철학이 있었다』, 서울: 새길, 1998, p.220
네이버 지식백과, 승화, 2020.04.2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7770&cid=40942&categoryId=32783
그림1. 에드바르드 뭉크, 〈병든 아이 (The Sick girl)〉, 1936, 바젤 미술관
그림2. 에드바르드 뭉크, 〈어머니와 딸 (Mother and Daughter)〉, 1897,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그림3. 에드바르드 뭉크, 〈여자의 세 단계 (The Three Stages of Woman)〉, 1894, 라스무스 메이어 컬렉션
그림4. 에드바르드 뭉크, 〈절규 (The-Scream)〉, 1893, 오슬로 국립미술관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국가근로생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명지대 예술과 창조성 A+ 개인과제 &#039;뭉크의 절규&#039;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